1 / 1
"쉐브론"으로 검색하여,
7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8-13▲ 현대제철, 글로벌 CCUS 공동 연구 협약 체결 [출처=현대제철]현대제철(대표이사 서강현)에 따르면 2025년 8월7일(목) 싱가포르에서 오스트레일리아(호주) BHP, 쉐브론, 일본 미쓰이상사, 인도 JSW스틸, AM/NS 인디아(아르셀로미탈과 일본제철의 합작사) 등 5개사와 컨소시엄을 꾸려 'CCUS 허브스터디(Hub Study)'를 본격화하기 위한 공동 연구 협약(JSA)을 체결했다.공동 연구 협약(Joint Study Agreement, JSA)은 특정 주제에 대해 공동으로 연구 개발을 진행하기 위해 연구 목표 및 범위, 참여 기관의 비용 분담, 지식 재산권 귀속 등을 명시한 문서다.글로벌 철강사 및 유관업체들과 손잡고 탄소포집·활용·저장(CCUS) 허브 발굴을 위한 공동 연구에 나섰다. 탄소포집·활용·저장(CCUS, Carbon Capture, Utilization & Storage)은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다양한 용도로 활용하거나 지하에 영구 저장함으로써 대기중으로 이산화탄소 방출을 방지하는 기술이다.'CCUS 허브스터디'는 여러 산업 시설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한 곳에 모아 압축·처리하는 핵심 거점(Hub)을 발굴하는 연구 프로젝트로 글로벌 엔지니어링 업체인 Hatch 사가 운영을 담당하게 된다. 지상 허브로 모인 이산화탄소는 최종적으로 해양 저장소로 옮겨져 지하에 보관될 예정이다.현대제철을 비롯한 참여사들은 18개월의 연구를 통해 동남아 및 오스트레일리아 북부에 허브 후보군을 선정하고 허브 건설의 사업화 가능성을 모색한다.이번 공동 연구 협약 체결로 현대제철은 아시아 최초로 산업계가 주도하는 CCUS 연구에 동참하게 됐다. 해당 분야의 글로벌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계기를 마련했다.현대제철은 지금까지 자체적인 이산화탄소 감축 노력과 더불어 해외 산업체들과 연계해 이산화탄소를 감축하는 방안을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중요한 수단 중 하나로 검토해왔다.현대제철 관계
-
2020-10-07나이지리아 석유기업인 쉐브론(Chevron Nigeria)에 따르면 비용 절감 차원에서 국내 현지 인력 25%를 감축할 계획이다. 중국발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석유 수요가 감소하며 유가가 하락했기 때문이다. 쉐브론은 나이지리아국영석유공사(NNPC)와 합작법인으로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쉐브론은 석유산업계에서의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인력 조정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했다. 또한 노동자 및 일자리를 해외로 옮길 계획은 없는 것으로 분석된다.이번 감원 조치가 회사 전체의 근로자들에게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참고로 코로나-19로 인해 항공산업 다음으로 석유산업이 큰 타격을 받고 있다.▲쉐브론(Chevron Nigeria) 홈페이지
-
2019-05-07글로벌 석유 및 가스 대기업인 쉐브론(Chevron)에 따르면 2020년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WA)주의 주도인 퍼스(Perth)에 새로운 본사를 건축할 계획이다.이번 결정은 4년간의 지연 이후 성사됐으며 $A 3억6000만달러를 투자한다. 본사의 위치는 퍼스 중앙상업지구인 엘리자베스키(Elizabeth Quay)로 결정됐다.29층 규모의 빌딩으로 부동산개발업체인 브룩필드(Brookfield)와 계약을 체결했다. 2020년부터 빌딩 건설을 시작해 2023년 완공할 예정이다.▲쉐브론(Chevron) 홈페이지
-
미국 글로벌 석유및가스 대기업 쉐브론(Chevron)에 따르면 자회사 쉐브론오스트레일리아(Chevron Australia)는 오스트레일리아 고등법원 항소심을 철회했다.쉐브론오스트레일리아는 오스트레일리아 국세청(ATO)과 세금협상에서 $A 3억4000만달러의 세금부과에 항소할 계획이었다.국세청은 쉐브론이 향후 10년 동안 가격을 해외로 이전함으로써 100억달러 이상의 매출액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이번 결정으로 오스트레일리아 정부와 국민 모두 세금혜택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쉐브론오스트레일리아(Chevron)홈페이지
-
오스트레일리아 석유기업인 쉐브론(Chevron)은 고르론LNG프로젝트가 최대 2개월 정도 가동을 중단해야 할 것이라록 밝혔다. 현재 가동중인 1개 액화시설에서 기술적인 문제가 발생했기 때문이다.지난 7년 동안 $US 540억달러의 막대한 예산을 투입해 건설했지만 사소한 기술적 문제로 다시 암초에 직면하게 된 것이다.지난 3월 21일 배로우섬에서 LNG를 싣고 첫번째 출항한 배가 일본 주부전력에 배송은 완료했다. 첫번째 생산라인에서 연간 520만톤을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고장으로 두번째, 세번째 생산공정은 영향을 받지 않아 차질없이 진척되고 있다.쉐브론은 고르곤의 지분 46%를 보유하고 있으며 엑슨모빌과 쉘이 각각 25%를 소유하고 있다. 고객인 일본 오사카가스, 도쿄가스, 주부전력은 아주 적은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배로우섬에 위치한 고르곤 가스처리시설(출처: 쉐브론 홈페이지) ▲ 3월 21일 일본으로 LNG선박이 처음으로 출항하는 장면(출처: 쉐브론 홈페이지)
-
[오스트레일리아] 쉐브론(Chevron), 현재 가동중인 1개 액화시설이 기술적인 문제로 2개월정도 중단해야 할 것으로 전망...지난 7년 동안 막대한 예산을 투입해 건설했지만 사소한 기술적 문제로 다시 암초 직면
-
LG에서 분리된 이후 GS의 경영성과를 보면 ‘보통’수준으로 평가할 수 있다. 종합상사를 인수하고, 홈쇼핑과 편의점 사업이 성장한 것은 맞지만 높은 평가를 할 수 있을 정도는 아니다.계열기업은 많지만 그룹의 매출이 GS칼텍스에 집중된 점도 해결해야 할 숙제다. GS칼텍스의 사업이 위축되면 바로 그룹이 위기에 직면하게 된다.사업다각화를 위해 조선, 물류 등 관련 기업을 M&A하려고 시도했지만 실패하면서 성장동력을 확보하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기도 한다. GS의 성과(Performance)를 이익(profit)과 위험(risk) 관점에서 진단해 보자.◇ GS칼텍스, GS리테일 등 안정적인 성장세 유지GS칼텍스는 정유, 윤활유, 석유화학 등 다각화된 사업포트폴리오를 갖고 있다. 정유사업은 휘발유, 석유 등 석유류 제품과 석유화학 원료를 생산한다. 윤활유사업은 윤활유의 원료가 되는 기유와 윤활유를 생산한다.석유화학사업은 정유공장에서 생산되는 납사와 가스오일, 천연가스를 원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