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기술 탑재"으로 검색하여,
6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6-26▲ 광주광역시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리는 ‘2025 광주미래산업엑스포’에 마련된 삼성전자 부스 소개 [출처=삼성전자]삼성전자(회장 이재용)에 따르면 2025년 6월25일(수)부터 28일(토)까지 광주광역시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리는 ‘2025 광주미래산업엑스포’에 참가해 ‘비스포크 인공지능(AI)’ 가전의 차별화된 기술력과 서비스를 선보인다.광주미래산업엑스포는 2009년부터 17회째 진행된 가전·로봇 전시회로 2025년 약 270개 업체가 참가한다.삼성전자는 △누구나 쉽게 쓰고(Easy) △시공간과 에너지를 절약하며(Save) △가족을 돌보고(Care) △집을 안전하게 지켜주는(Secured) 2025년형 ‘비스포크 AI 가전’과 스마트싱스 기반의 서비스를 소개한다.◇ 가전에 탑재된 터치스크린을 통해 매끄럽게 연결되는 ‘AI 홈’ 경험 선보여삼성전자는 2025년형 비스포크 AI 가전으로 구현한 ‘AI 홈’을 전시한다. 특히 가전에 탑재된 터치스크린을 통해 별도의 허브 없이 주방·리빙 가전과 사물인터넷(IoT) 기기까지 매끄럽게 연결하는 모습을 선보인다.삼성전자 가전에 탑재된 터치스크린은 ‘와이파이(Wi-Fi)’, ‘지그비(Zigbee)’, ‘스레드(Thread)’ 등 다양한 프로토콜을 지원해 ‘매터(Matter)’나 ‘HCA(Home Connectivity Alliance)’ 표준의 가전은 물론 조명·스위치 등 IoT 기기까지 연결하고 조작할 수 있다. (모델에 따라 지원하는 프로토콜이 다를 수 있음)삼성전자는 이러한 강력한 연결성을 기반으로 사용자 라이프스타일에 맞춰 알아서 가전이 동작하는 자동화 기능도 다양하게 선보인다.사용자가 외출하면 에어컨 등의 가전제품을 자동으로 종료하고 로봇청소기나 식기세척기를 작동시
-
▲ 삼성전자 Neo QLED 8K 제품[출처=삼성전자]삼성전자(회장 이재용)에 따르면 2025년 1월7일~10일(현지시간)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가전·정보기술(IT) 전시회 CES 2025에서 구글과 공동 개발한 3D 오디오 기술 ‘Eclipsa Audio(이클립사 오디오)’를 탑재한 TV를 업계 최초로 선보인다.이클립사 오디오는 IAMF(Immersive Audio Model and Formats) 기술을 기반으로 소리의 위치와 강도, 공간 반사음 등의 음향 데이터를 디바이스 환경에 맞게 최적화해 3차원 공간에 있는 듯한 몰입감 있는 사운드 경험을 구현한다.IAMF 기술은 삼성전자를 포함한 구글·넷플릭스·메타 등 다양한 글로벌 기업이 속한 ‘오픈미디어 연합(AOM)’에서 최초로 채택한 오디오 기술 규격으로 오픈소스 기반으로 제공되는 첫 번째 개방형 오디오 기술이다.오픈미디어 연합(AOM, Alliance for open media)은 콘텐츠 제작자들이 비용 부담 없이 멀티미디어 전송 기술을 사용할 수 있도록 기술 개발과 공유를 목표로 운영하는 비영리 산업 컨소시엄이다.IAMF 기술은 다수의 글로벌 기업이 주도해 표준을 확립함으로써 생태계 확장에 이바지하고, 향후 다양한 서비스로 확산이 가능할 전망이다.삼성전자는 2025년형 크리스탈 UHD 모델부터 Neo QLED 8K까지 전 라인업에 IAMF 기술을 공식 지원한다.삼성전자와 구글은 TV 전용 유튜브 앱을 통해 소비자들이 IAMF 기술이 적용된 3D 오디오 콘텐츠를 즐길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한편 삼성전자와 구글은 IAMF 오디오 인증 프로그램 도입을 추진 중이다.양사는 외부 인증기관인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와 함께 Eclipsa Audio 기술이 적용된 기기의 오디오 품질을 보장하기 위한 테스트 기준을 마련하며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 손태용 부사장은 &ldqu
-
2018-11-23일본 로봇제조업체인 이쿠시스(イクシス)에 따르면 SLAM(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기술을 탑재한 인프라 점검 로봇을 개발했다.SLAM은 레이저 센서를 이용하 주변의 지도를 작성하고 자기 위치를 추정할 수 있는 기술을 말한다. 로봇이 자동으로 장애물을 피하면서 목표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공장의 시설을 점검하는 목적으로 운영한다면 로봇이 정기적으로 순찰활동을 하는 것만으로 개별 시설, 벽과 기둥, 기타 시설의 변호 등을 쉽게 시각화할 수 있다.직원들이 퇴근한 이후 야간에 로봇의 가동을 시작해 아침에는 수집된 데이터를 확인해 인프라 시설을 점검하는 방식을 채용하면 된다.로봇의 크기는 W370 × D445 × H290mm, 무게는 18kg, 최고속도는 초당 1m, 배터리는 2.5세대 배터리라 불리는 리튬철(Li-Fe)이 장착돼 있다. 배터리 대신에 전선을 활용해 외부전원과 연결도 가능하다.▲이쿠시스(イクシス)의 로봇(출처 : 홈페이지)
-
일본 공작기계업체인 오쿠마(オークマ)는 2016년 11월 공작기계를 움직이는 수치제어장치에 탑재하는 인공지능(AI)기술을 개발했다고 발표했다.인터넷 등에 접속하지 않아도 기계가 자율적으로 스스로의 이상을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고장 방지를 통해 생산성 향상 등으로 연결할 수 있다.AI를 사용한 공작기계의 진단기술은 세계 최초로 동사는 이 기술을 통해 경쟁력을 높이고 부진하고 있는 공작기계 수주량을 확대할 계획이다.
-
일본 자동차제조업체인 닛산자동차(日産自動車)는 2016년 8월에 발표할 미니밴 '세레나'에 자동운전기술 '프로파일럿'을 탑재한다고 발표했다.고속도로의 단일차선에서 자동주행이 가능한 기능으로 국내업체에서 자동운전기능을 추가한 자동차를 판매하는 것은 최초이다. 귀성 등 장거리 이용이 많은 미니밴에 자동운전기능을 탑재해 소비자의 구매의욕을 촉진할 계획이다.
-
[일본] 토요하시기술대학, 타이세이건설과 세계 최초 배터리 미탑재 전기자동차(EV) 개발 및 주행실험 실시...그물모양의 강철와이어를 장착한 타이어로 전용도로 '전자고속도로'에서 전기를 공급받아 모터 구동해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