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뉴저지"으로 검색하여,
5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LS에코에너지 베트남 생산법인 LS-VINA 전경[출처=LS전선]LS전선(이사회 의장 구자엽, 대표이사 사장 구본규)에 따르면 LS에코에너지( 대표이사 이상호)와 함께 미국에 MV급 알루미늄 전력 케이블을 처음으로 공급하며 미국 시장 공략을 강화한다.양사는 미국 태양광 EPC 업체에 US$ 2500만 달러(약 363억 원) 규모의 35킬로볼트(kV)급 알루미늄 전력 케이블을 공급한다. 이 케이블은 캘리포니아, 뉴저지, 인디애나 등 미국 전역의 태양광 발전단지 전력망 구축에 사용된다.고온·강우·먼지 등 극한 환경에서도 높은 내구성과 안정적인 고전압 전송 성능을 갖춰 태양광 시스템의 신뢰성을 강화한다.LS전선과 LS에코에너지는 미국 태양광 시장의 지속적인 성장에 대응하기 위해 고품질 알루미늄 케이블 개발과 미국 안전 규격인 UL 인증 획득 등 선제적인 노력을 기울여왔다.또한 이번 수주는 미국 정부의 ‘탈중국’ 정책과 맞물려 양사의 경쟁력을 더욱 부각시킨다. 최근 미국은 중국산 케이블에 총 45퍼센트(%)의 관세를 부과하고 중국산 소재를 활용한 우회 수출에 대한 규제도 강화하고 있다.LS전선과 LS에코에너지는 2024년 통신(UTP) 케이블의 대미 수출이 전년 대비 약 15% 증가하며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2025년 알루미늄 전력 케이블까지 수출이 확대되며 더욱 뚜렷한 성장세가 예상된다.회사 측은 "LS전선과 LS에코에너지는 물론 가온전선 등 전선 관계사들은 원자재 품질과 공급망 안정성을 고려해 중국산 알루미늄과 구리를 사용하지 않는다. 태양광뿐만 아니라 다양한 전력 인프라 사업으로 시장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고 밝혔다.
-
2024-12-11▲ GC녹십자 로고[출처=GC녹십자]GC녹십자(회장 허일섭)에 따르면 2024년 12월11일(수요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ABO 홀딩스의 지분 전량을 인수한다고 공시했다.GC녹십자는 이번 혈액원 인수를 통해 혈장분획제제의 원료 확보에서부터 생산, 판매에 이르기까지 수직계열화가 완성됐다. 혈액원 인수를 퀀텀점프의 발판으로 삼아 글로벌 탑티어 혈액제제 회사로 도약할 계획이다.GC녹십자는 2024년 7월부터 미국으로 수출하고 있는 혈액제제 알리글로의 사업 확대를 위한 안정적 원료 공급처 확보 목적으로 혈액원 인수를 추진했다.ABO 홀딩스는 미국 캘리포니아주에 위치한 회사로 뉴저지, 유타, 캘리포니아 등 3개 지역에 6곳의 혈액원을 운영하고 있다.텍사스주에 2곳의 혈액원이 추가로 건설 중이며 완공이 되는 오는 2026년부터 총 8곳의 혈액원이 가동될 예정이다.한편 알리글로는 2023년 12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품목허가를 획득한 면역글로불린 혈액제제로 선천성 면역 결핍증으로도 불리는 일차 면역결핍증(Primary Humoral Immunodeficiency)에 사용되는 정맥투여용 면역글로불린 10% 제제다.이 제품은 회사의 독자적인 ‘CEX 크로마토그래피(Cation Exchange Chromatography)’ 공법을 통해 제조, 혈액응고인자(FXIa) 등 불순물 검출을 최소화하는 등 기존 약물 대비 뛰어난 안전성을 강점으로 갖고 있다.
-
미국 뉴저지주 프린스턴 의회(Princeton Council)에 따르면 대마초 태스크포스 논의를 위한 회의를 연기하기로 결정했다. 1월 18일로 예정된 프린스턴 대마초 소매점 허용 논의를 적어도 3월로 연기하려는 것이다.2021년 12월 21일 의제 설정 회의에서 2022년 1월 회의 일정이 게시되지 않아 연기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3월로 연기된 회의 역시 날짜나 형식 등이 아직 정해지지 않은 상태이다.2021년 11월 30일 22명으로 구성된 Princeton Cannabis Task Force회의에서 Princeton Council에 권장 사항을 제출했다. 권장사항은 참석자들로부터 비판과 찬사를 동시에 받았다.이때 태스크포스는 대마초 소매업을 허용하기 위한 구역으로 5개의 상업 지역을 추천했다. 저지대 Alexander Street의 딘키(Dinky) 기차역, Nassau Street 동쪽 Jugtown 인근, 업무중심지구, Green Street와 Leigh Avenue 사이 Witherspoon Street, Cherry Valley Road 인근 Route 206 등이다.대마초 상점의 근접성은 교회, 놀이터, 공원 등과의 최소 거리는 정해져 있지 않다. 다만 주류 판매점의 규정에 준하고 있으며 주류 판매점은 학교에서 200피트 이상 떨어져 있어야 한다.태스크 포스 구성원들은 주류 판매점에 대한 200피트 요구 사항이 미성년자 음주로 이어졌다는 객관적 증거가 없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대마초 상점에도 동일한 200피트 표준이 적용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현재 연방정부의 학교 주변 마약 금지 구역은 1000피트이다.현재 대마초 소매점을 최대 3개까지 허용하자는 제안에 대해 반대의 목소리가 높으며 800여명이 청원서에 서명한 상태다. 청원서에는 프린스턴의 학교, 운동장, 주거 지역 인근 대마초 소매점을 허용하는 것에 반대한다는
-
2022-01-04미국 뉴저지주 몬머스카운티 키포트 자치구 의회는 도시 내 대마초 사업에 대한 표준을 채택했다. 대마초 사업을 운영할 수 있는 설치 장소에 관한 조례, 대마초 사업 운영자가 면허를 받을 수 있는 표준 등을 채택했다.지난 2020년 뉴저지주 유권자들은 마리화나를 합법화하기 위한 헌법 수정안을 승인했다. 이후 2021년 2월 주 의원들은 A-21 법안을 통과시켰다.A-21 법안은 뉴저지 대마초 규제(New Jersey Cannabis Regulatory), 집행 지원(Enforcement Assistance) 및 시장 현대화법(Marketplace Modernization Act) 등의 내용으로 구성됐다.해당 법률은 특정 성인이 마리화나를 레크레이션 용도로 사용하는 것으로 허용한다. 또한 소량의 마리화나 및 해시시(마리화나 농축액) 소지를 인정한다. 마리화나를 스케줄 I(Schedule I) 약물에서 제외했다. 스케줄 I이란 남용 가능성이 매우 높은 약물을 말한다.또한 법안에는 허가된 마리화나 사업을 영위하기 위한 경작자, 제조업체, 도매업체, 유통업체, 소매업체, 배송업체 등 6개 이해관계자의 사업 조건이 명시됐다.6개 이해관계자는 특정 구역과 적절한 위치에서 대마초 사업을 진행할 수 있다. 특히 대마초 소매업체와 배송업체는 고속도로 상업지구, 산업지구, 일반 상업지구의 정해진 장소에서만 영업해야 한다.▲ keyport▲ 뉴저지 키포트(Keyport) 시 홈페이지
-
일본 화장업체인 시세이도(資生堂)는 2016년 5억엔을 투자해 미국 뉴저지주의 연구시설을 확장했다고 발표했다.메이크업분야의 연구개발을 강화하는 것 외에 일본에서 다뤘던 제품의 안정성보증 및 지적재산 관리 기능을 이관해 연구개발을 결합하는 체제로 정비할 계획이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