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드론시스템"으로 검색하여,
2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4-07-24▲ 건설신기술 지정 현황[출처=국토교통부]국토교통부(장관 박상우)에 따르면 ’24년 상반기 총 12건을 건설신기술로 지정해 건설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할 전망이다.이번에 지정된 건설신기술에는 △디지털트윈 기술을 적용한 자율주행 드론시스템과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외관 조사 기술 △레이저와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처리기반 교량변위 측정기술 △출입구 유입 미세 오염물질 저감을 위한 에어샤워 시스템 기술 등 3건의 스마트 건설신기술이 포함됐다.건설신기술 지정 제도는 민간의 기술혁신을 통해 건설기술 발전을 선도하고 건설산업의 도약과 성장을 유도하고자 ’89년부터 추진하고 있다. ’20년부터는 IT 등 첨단기술이 융합된 스마트 건설기술 활성화를 위해 스마트 건설기술의 신기술 지정 심사 시 가점(첨단기술성 항목 10점)을 부여하고 있다.그 결과 ‘20년(3건)→‘21년(2건)→’22년(4건)→‘23년(8건)→’24년上(3건) 등 현재까지 총 20건의 스마트 건설기술이 신기술로 지정됐다.디지털트윈 기술을 적용한 “자율주행 드론시스템”과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외관 조사 기술』은 드론 점검 자동화 기술이다.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파손, 철근노출 등의 손상을 분석하는 외관조사 기술로 시설물 안전관리 및 사고예방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자율주행 드론 및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활용한 디지털 트윈 기반 시설물 손상분석 기술[출처=국토교통부]레이저와 카메라를 이용한 비접촉 무타겟 영상 처리기반 교량변위 측정기술은 레이저와 영상을 이용해 안전점검 시 교량 처짐을 측정하는 기술이다.교량 하부에 하천이나 도로, 철도 등의 지장물이 있는 경우에 활용이 가능해 교량 안전관리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출입구 유입 미세
-
2020-01-09미국 드론 스타트업 기업인 선플라워랩(Sunflower Labs)에 따르면 CES 2020에서 집을 지키도록 설계된 자율 보안 드론시스템을 공개했다.CES(Consumer Electronics Show)는 국제전자제품박람회로서 2020년에는 1월 7일부터 10일까지 미국 라스베가스에서 개최되고 있다.자율 보안 드론시스템은 정원 조명을 모방하도록 설계된 센서와 이를 통합하는 중앙 프로세서 및 집을 순찰하는 드론을 포함한다.선플라워(Sunflowers), 벌(bee) 및 하이브(Hive)로 명명된 구성을 포함한다. 선플라워는 단순한 정원 조명처럼 보이지만 자동차, 사람 및 동물을 집이나 근처에서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는 모션 및 진동 센서에 해당된다.벌은 라이브 스트림 비디오를 위해 카메라가 탑재되어 자체적으로 배치 및 비행하는 완전 자율 드론에 해당된다. 하이브는 벌의 충전 스테이션으로서 수집된 모든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두뇌 역할을 수행한다.드론은 기본적으로 전통적인 패시브 모니터링을 보완하도록 설계됐다. 필요할 때 배치해 더 자세한 정보와 집(또는 부동산)에서 감지된 모든 행동에 대한 실시간 보기를 제공할 수 있다.참고로 선플라워랩은 2016년에 설립됐으며 현재 $999달러의 보증금으로 사전 주문을 받고 있다. 2020년 중순부터 고객에게 첫 제품을 배송할 방침이다.▲ USA-Sunflower-Drone▲ 선플라워랩(Sunflower Labs)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