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3
" 로봇 도입"으로 검색하여,
24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년 10월22일 북중남미 경제동향은 미국, 캐나다, 브라질을 포함한다. 미국 전자상거래업체는 물류창고에 로봇을 도입해 직원 추가 고용을 줄일 방침이다.케나다 정부는 연간 순수입이 C$ 9만 달러 이하인 국민의 치과 진료비를 보조하고 있지만 일부는 계산 착오로 지원을 받은 것으로 드러났다. 500만 명의 국민이 건강보험에 가입돼 있다.브라질 항공기 제조업체는 상업용 항공기의 주문이 확대되며 9년내 최고치의 수주잔고액을 기록했다. 고객에게 인도하는 항공기의 숫자도 확대되는 중이다.▲ 미국 글로벌 전자상거래업체인 아마존(Amazon)의 물류창고 전경 [출처=홈페이지] ◇ 미국 아마존(Amazon), 향후 로봇을 도입해 60만 명의 직원을 대체할 것미국 글로벌 전자상거래업체인 아마존(Amazon)은 향후 로봇을 도입해 60만 명의 직원을 대체할 것이라고 밝혔다. 2018년 이후 아마존의 미국 직원은 120만 명으로 3배나 증가했다.현재 추진하고 있는 자동화로 2027년까지 16만 명의 직원을 추가 고용할 필요가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인건비가 줄어들면 아마존이 취급하는 제품당 30센트씩 관리비용이 절감된다.2033년까지 아마존이 현재보다 2배나 많은 제품을 판매해도 추가로 직원을 고용할 필요가 없다. 최소 60만 명의 직원이 요구되지 않아 대규모 비용 절감이 가능해진다.◇ 캐나다 보건부(Health Canada), 약 7만 명의 국민이 치과 보험에 적합하지 않지만 승인을 받아캐나다 보건부(Health Canada)에 따르면 약 7만 명의 국민이 치과 보험에 적합하지 않지만 승인을 받은 것으로 드러났다. 현재 500만 명의 국민이 국가보험에 가입돼 있지만 절반 이상은 치과에 간 경험이 없다.현재 규정대로면 승인을 받은 7만 명 중 약 2만8000명만 적절한 상황이다. 가입자의 수입을 계산하는 과정에서 착오를 발견했다.현재 규정에 적합하지 않았지만 치과 진료를 받은 국민은 비용을 내지 않아도 된다. 현재 보건부는 연간 순수입이
-
2025-05-16▲ 현대차·기아-서울대학교, 소프트웨어 중심 공장 구현 위한 MOU 체결(왼쪽부터 서울대학교 정밀기계설계공동연구소 부소장 박용래 교수, 기계공학부 조규진 교수, 소장 안성훈 교수, 현대차·기아 E-FOREST 센터장 이재민 상무, 제조SI기술개발실 최영태 상무, 제조SW개발실 민정국 상무) [출처=현대자동차그룹]현대자동차(회장 정의선)에 따르면 현대차·기아 제조솔루션본부 E-FOREST센터가 2025년 5월13일(화) 서울대학교 정밀기계설계 공동연구소와 서울대 차세대자동차연구센터(서울 관악구 소재)에서 ‘소프트웨어 중심 공장(Software Defined Factory, 이하 SDF) 구현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E-FOREST는 고객의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 모든 것을 유기적으로 연결해 제조시스템의 혁신을 추구하는 현대차·기아의 스마트공장 브랜드다.현대차·기아는 인공지능(AI)과 로봇을 활용한 자동화 기술 및 인간 친화적인 스마트 기술을 도입해 제조 시스템을 혁신하고 나아가 모빌리티 산업 전체를 고도화하는 것을 목표하고 있다.이번 협약에 따라 현대차·기아와 서울대는 제조 기술 혁신을 위해 손을 잡고 SDF 구현을 위한 핵심 기술 공동 연구, 개발에 협력하기로 했다.구체적인 협력 분야는 △제조 인공지능(Manufacturing AI) △제조 특화 대규모 언어모델(LLM, Large Language Model) △예지보전(PHM, Predictive Health Monitoring) △디지털 트윈 △시뮬레이션 기반 생산 최적화 등이다.현대차·기아 E-FOREST 센터장 이재민 상무는 “서울대와의 협력을 통해 스마트 팩토리 구현을 위한 핵심 기술 경쟁력을 강화하고, 글로벌 제조 혁신을 가속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서울대 정밀기계설계공동연구소 소장 안성훈 교수는 “서울대의 혁신적인 로보틱스, AI에 기반한 자율 제조
-
2024-10-10▲ 아이지의 스마트 라벨링 로봇 시스템[출처=아이지]아이지(대표이사 김창일)에 따르면 2024년 9월30일(월요일)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 이하 산업부)로부터 제44차 사업재편계획 심의위원회에서 스마트 라벨링 로봇 시스템 신규 사업을 최종 승인받았다.아이지는 기존 ‘스마트팩토리’ 관련 사업을 더욱 확장해 ‘스마트 라벨링 로봇 시스템’을 본격적으로 도입, 자동화 혁신을 추진하게 됨으로서 신산업 분야로 진출할 수 있게 됐다. 산업부는 제44차 사업재편계획 심의위원회에서 '아이지의 스마트 라벨링 로봇 시스템 신규 사업을 포함해 총 17개 기업의 사업재편계획을 최종 승인했다.심의위원회에서 승인된 기업들은 로봇, 전기차, 2차 전지, 의료기기, IT 등 6개 주요 분야에서 신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향후 5년간 총 1830억 원 규모의 투자가 계획되고 있다. 산업부는 2024년 7월 신기업활력법 시행과 9월 동남권 사업재편 현장지원센터 개소를 통해 기업과 산업 구조의 신속한 재편을 위한 지원체계를 강화하고 있다. 향후 국내 기업들의 경쟁력 강화와 선제적인 사업재편을 지원해 나갈 예정이다.기존 라벨링 시스템은 미리 인쇄된 라벨을 롯트별로 작업자가 공정을 멈추고 라벨지 롤을 교체해 부착하는 방식으로, 설비 운영 방식이 비효율적이며 여러 종류의 라벨지 재고를 보유해야 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이번에 개발해 도입하는 스마트 라벨링 로봇 시스템은 DX기반 자동화 기술을 도입해 MES와 연동함으로써 필요한 라벨을 즉시 프린팅하고 스마트 라벨링 장비의 핵심 구성품인 롤 스테커를 이용해 공정의 환경에 맞도록 속도와 라벨지 재고 등을 조정할 수 있게 했다.또한 로봇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와 크기에 부착할 수 있어 작업자 오류를 100%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 공정 자동화 시스템과 연동해 생산성 및 품질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현재 아이지의 스마트 라벨링 로봇 시스템은 국내 대기업의 해
-
스위스 제네바 본사인 크루즈운영기업인 MSC 크루즈(MSC Cruises)에 따르면 최신 MSC Virtuosa 크루즈에 로봇 바텐더인 롭(Rob)을 도입했다.전문 바텐더처럼 롭은 고객 맞춤형 칵테일이나 16가지 칵테일 중 고객이 선택한 1가지 칵테일을 만들어 제공할 수 있다. 우주선에서 영감을 받아 만든 바(bar)와 선박용 로봇 바텐더인 롭을 제작하는데 6년이 소요됐다.롭은 8개 언어를 구사할 수 있어 다양한 외국 고객들이 선호하는 언어로 롭에게 주문하고 대화도 가능하다. 롭은 표현력이 뛰어난 얼굴 표정과 대화를 통해 고객들과 교류할 수 있다.MSC 크루즈는 중국발 코로나-19 팬데믹이 일어나기 훨씬 이전인 지난 6년 동안 롭과 MSC 스타쉽 클럽을 만들어왔다. 결과적으로 비접촉 편의시설에 중점을 둔 크루즈 서비스 사업 방향이 선견지명적이었던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MSC 크루즈(MSC Cruises) 홈페이지
-
2018-10-26일본 글로벌 전자제품제조업체인 파나소닉(パナソニック)에 따르면 중국 훠궈 대기업인 하이디라오(海底撈)에 주방자동화 시스템을 공급했다.2018년 10월 28일 베이징에서 주방 자동화시스템을 설치한 1호점을 오픈했다. 자동화시스템은 고객이 식탁에서 주문한 재료를 주방의 냉장창고의 선반에서 꺼내 싣고 옮긴다.접시에 전자태그가 있어서 유통기한도 관리할 수 있다. 외식업체들의 주방은 여전히 구시대적으로 관리되고 있어 과감하게 자동화시스템을 도입하기로 결정한 것이다.양사는 2018년 3월 관련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싱가포르에 합작회사를 설립했다. 이후 5월에 베이징이 관련 자회사를 세워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중이다.참고로 하이디라오는 중국 최대 샤브샤브 체인점으로 전 세계에 370개 직영점을 운영하고 있다. 중국에만 340개 점포가 있는데, 우선적으로 중국 점포에 자동화시스템을 도입할 계획이다.▲하이디라오(海底撈) 주방쇼 장면(출처 : 홈페이지)
-
2018-10-18일본 교토신용금고(京都信用金庫)에 따르면 인공지능(AI)을 연구하기 위한 연구소인 'OPEN AI LAB KYOTO'를 설립했다. 2018년 7월 제휴한 IT벤처기업인 그루브노트(Groovenauts)와 제휴했다.연구소는 월 1회 자체적으로 개발한 기계학습도구를 활용한 체험 프로그램을 운용한다. 기초 지식과 활용사례를 배울 수 있을뿐만 아니라 자사에 도입할 수 있는 방안도 상담받을 수 있다.일본 기업들은 고령화 등으로 인해 노동인구가 줄어들면서 인공지능이나 로봇의 도입을 고려하는 기업이 늘어나고 있어 시장전망은 밝은 셈이다.현재 과거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매출과 고객수를 예측하는 기계학습은 보편화된 기술이다. 금융기관이 고객들에게 인공지능에 대한 호감도를 높이기 위해 연구소를 설립한 것은 이례적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그루브노트(Groovenauts) CEO 佐々木 久美子(출처 : 홈페이지)
-
2018-08-26세계은행(WB)에 따르면 중국의 제조업체가 로봇을 도입할 경우에 현재 일자리의 77%가 사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제조 2025' 정책으로 로봇의 도입을 강화하고 있는 정부의 고민이 깊을 수 밖에 없다.중국 정부에 따르면 2020년까지 국내에서 판매되는 산업용 로봇의 50%를 국내 제조용으로 대체할 계획이다. 현재는 국내제조 로봇의 시장 점유율은 27%에 불과하다.국제로봇연맹(International Federation of Robotics)에 따르면 2017년 기준 중국에서 판매된 산업용 로봇은 14만1000대에 달해 글로벌 수요의 약 1/3을 차지하고 있다.2020년까지 추가로 20% 정도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정부는 2025년까지는 이 비율을 70%까지 끌어올릴 방침이다.산업용 로봇은 제조업의 제품 품질과 경쟁력을 향상시킨다는 점에서 보석과 같은 존재이다. 문제는 로봇이 인간의 일자리를 빼앗아가서 실업률을 높인다는 점이다.현재 단순 인간노동에 의존하고 있는 중국의 제조업은 산업용 로봇을 도입해 자동화하는 수요가 매우 높은 편이다. 독일과 일본 등과 같은 자동화비율을 상향하려면 아직도 엄청난 규모의 로봇을 도입해야 하는 실정이다.중국 정부는 산업용 로봇을 공장 외에도 다른 산업 부문에도 도입하기를 희망하고 있다. 식당, 은행, 화물배달 등에도 로봇에 대한 수요는 높은 편이다.최근 개최된 베이징의 의료컨퍼런스에서 선보인 의료보조용 로봇은 최대 150개의 질병을 진단할 수 있는 능력을 발휘했다. 국가의료자격증 시험도 높은 성적으로 합격할 정도로 우수한 실력을 보유했다.의료보조용 로봇은 2018년 3월 이후 일부 병원에서 운영 중이며 4000회의 질병진단 실적을 기록했다. 대도시보다는 시골이나 도서 지역에 배치할 경우에 좋은 성과를 낼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자동이동로봇 사진(출처 : 국제로봇연맹 홈페이지)
-
2017-11-28최근 싱가포르 엔지니어업계는 항공화물 작업장에 로봇(Robots)을 도입하기 위해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대표적인 기업은 ST Dynamics와 TUM Create다.첫째, ST Dynamics에 따르면 당사의 프로토타입은 3D스캐닝 시스템을 통해 화물의 사이즈와 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 이후 자동화 지게차에 탑재된 소프트웨어로 적정위치에 화물을 적입하는 것이다.둘째, TUM Create에 따르면 당사의 프로토타입은 3D카메라를 통해 화물을 스냅샷할 수 있다. 인공지능(AI) 시스템이 화물의 보관장소를 판단하고 로봇팔을 이용해 화물을 이동시키는 것이다.ST Dynamics측은 이같은 로봇시스템은 현재 항공화물 하역처리과정에 투입되는 인력의 40%만을 가지고도 충분히 현행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반면 항공화물전문가들은 로봇시스템의 화물 적재능력은 아직 사람에 비해 8분 정도 느리다고 말한다. 로봇을 하역과정 전반에 적용하는 것은 시기상조라고 덧붙였다.▲ST Dynamics 홈페이지
-
싱가포르 통신업체 스타허브(StarHub)에 따르면 2018년 호텔에서 지원하는 라운드리서비스에 '로봇(Robot)'을 도입할 예정이다.당사는 무선와이파이(wifi) 기술을, 로봇기기는 기기업체 ST Kinetics에서 각각 담당할 계획이다. 호텔 내 도입은 우선 3곳만 선정했다.라운드리로봇은 인터넷, IT, 로봇티스가 결합됐다. 엘리베이터를 타고 서비스할 층에 도달한 후 직접 룸별 세탁물을 수거할 수 있다.동선은 세탁실, 객실수거함, 중앙창고실로만 구성돼 있어 복잡한 경로탐색이 필요없다. 특히 호텔 내 투숙객의 안전에 초점을 맞췄다.로봇전문가들은 단순노무적인 서비스는 로봇을 통해 대체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한다. 다른 고객서비스를 향상시킬 수 있다고 덧붙였다.라운드리로봇이 우선 도입될 곳은 Capri By Frasers Changi City Point, Four Points by Sheraton, Grand Copthorne Waterfront 등이다.▲ST Kinetics(ST Engineering) 홈페이지
-
2017-04-18일본 식품업체 샐러드클럽(サラダクラブ)에 따르면 2017년 4월 컷야채 및 패키지샐러드 공장에 로봇을 도입할 예정이다.국내 7개 직영공장 중 한 곳을 대상으로 수작업에 의존하는 생산라인을 로봇으로 교체한다. 양배추와 같이 무게가 있는 야채를 자르는 작업과 세척 등을 자동화시킨다.생산성을 높이는 동시에 직원의 작업부담을 줄이기 위한 목적이다. 당사는 향후 해당 공장을 참고해 다른 공장에도 도입해 나갈 방침이다.▲샐러드클럽 홈페이지
1
2
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