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로봇 혁신"으로 검색하여,
7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9-24▲ CFS 오토메이션 엔지니어들이 업무 아이디어를 나누고 있다 [출처=쿠팡]쿠팡(대표이사 박대준)에 따르면 쿠팡풀필먼트서비스(CFS)의 오토메이션 직군 인력 규모가 2024년 초와 비교해 가파르게 늘어나고 있다.오토메이션을 비롯한 AI 자동화 관련 물류현장 기술인재 인력은 9월 현재 750여명으로 2024년 1월 330명 대비 2배 이상 늘어났다. 2024년 9월 대비로는 약 50퍼센트(%) 증가한 수치다.인공지능(AI) 기반 자동화와 로봇 기술 도입에 속도를 내면서 물류현장에서 고부가가치 일자리 창출이 본격화되고 있다.AI 물류 혁신 기반의 최첨단 자동화 기술과 로봇이 물류현장에 늘어나자, 최첨단 신기술을 전문으로 다루는 기술 분야 일자리가 동반 창출되는 선순환 효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AI 기반 자동화 기술·로봇 전문 기술인재 채용 확대… 연말까지 180명 추가 일자리 창출CFS의 오토메이션은 AI 기반의 자동화 설비와 로봇을 운영하고 유지·보수하는 정규직 엔지니어들이 주축을 이룬다. 설비 유지·보수 인력은 물론이고 산업공학·운송장비 등 AI기술을 전문으로 다루는 직무들도 새롭게 생겨났다.CFS는 연말까지 180여명의 오토메이션 인재를 추가 채용한다는 계획이다. 쿠팡은 풀필먼트센터를 단순한 보관·이송 공간을 넘어 대규모 투자를 통해 AI 기반의 자동화 시설과 로봇의 최첨단 혁신기지로 고도화하고 있다.▲ 박소진 CFS 오토메이션 엔지니어가 풀필먼트센터에서 자동화 설비 롤러 컨베이어를 정비하는 모습 [출처=쿠팡]이 과정에서 수년 전부터 △자율운반로봇(AGV) △소팅 봇(sorting bot) △로보틱 배거(Robotic Bagger) 등 자동화 설비를 도입하고, 이를 안정적으로 운영·관리할 기술 인력을 확대하고 있다.기계·전기·제어·로봇 분야를 아우르는 오토메이션 직군은 △기계공학 △메카트로닉스 등 관련 전공자이
-
2025-05-16▲ 현대차·기아-서울대학교, 소프트웨어 중심 공장 구현 위한 MOU 체결(왼쪽부터 서울대학교 정밀기계설계공동연구소 부소장 박용래 교수, 기계공학부 조규진 교수, 소장 안성훈 교수, 현대차·기아 E-FOREST 센터장 이재민 상무, 제조SI기술개발실 최영태 상무, 제조SW개발실 민정국 상무) [출처=현대자동차그룹]현대자동차(회장 정의선)에 따르면 현대차·기아 제조솔루션본부 E-FOREST센터가 2025년 5월13일(화) 서울대학교 정밀기계설계 공동연구소와 서울대 차세대자동차연구센터(서울 관악구 소재)에서 ‘소프트웨어 중심 공장(Software Defined Factory, 이하 SDF) 구현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E-FOREST는 고객의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 모든 것을 유기적으로 연결해 제조시스템의 혁신을 추구하는 현대차·기아의 스마트공장 브랜드다.현대차·기아는 인공지능(AI)과 로봇을 활용한 자동화 기술 및 인간 친화적인 스마트 기술을 도입해 제조 시스템을 혁신하고 나아가 모빌리티 산업 전체를 고도화하는 것을 목표하고 있다.이번 협약에 따라 현대차·기아와 서울대는 제조 기술 혁신을 위해 손을 잡고 SDF 구현을 위한 핵심 기술 공동 연구, 개발에 협력하기로 했다.구체적인 협력 분야는 △제조 인공지능(Manufacturing AI) △제조 특화 대규모 언어모델(LLM, Large Language Model) △예지보전(PHM, Predictive Health Monitoring) △디지털 트윈 △시뮬레이션 기반 생산 최적화 등이다.현대차·기아 E-FOREST 센터장 이재민 상무는 “서울대와의 협력을 통해 스마트 팩토리 구현을 위한 핵심 기술 경쟁력을 강화하고, 글로벌 제조 혁신을 가속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서울대 정밀기계설계공동연구소 소장 안성훈 교수는 “서울대의 혁신적인 로보틱스, AI에 기반한 자율 제조
-
2024-10-10▲ 아이지의 스마트 라벨링 로봇 시스템[출처=아이지]아이지(대표이사 김창일)에 따르면 2024년 9월30일(월요일)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 이하 산업부)로부터 제44차 사업재편계획 심의위원회에서 스마트 라벨링 로봇 시스템 신규 사업을 최종 승인받았다.아이지는 기존 ‘스마트팩토리’ 관련 사업을 더욱 확장해 ‘스마트 라벨링 로봇 시스템’을 본격적으로 도입, 자동화 혁신을 추진하게 됨으로서 신산업 분야로 진출할 수 있게 됐다. 산업부는 제44차 사업재편계획 심의위원회에서 '아이지의 스마트 라벨링 로봇 시스템 신규 사업을 포함해 총 17개 기업의 사업재편계획을 최종 승인했다.심의위원회에서 승인된 기업들은 로봇, 전기차, 2차 전지, 의료기기, IT 등 6개 주요 분야에서 신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향후 5년간 총 1830억 원 규모의 투자가 계획되고 있다. 산업부는 2024년 7월 신기업활력법 시행과 9월 동남권 사업재편 현장지원센터 개소를 통해 기업과 산업 구조의 신속한 재편을 위한 지원체계를 강화하고 있다. 향후 국내 기업들의 경쟁력 강화와 선제적인 사업재편을 지원해 나갈 예정이다.기존 라벨링 시스템은 미리 인쇄된 라벨을 롯트별로 작업자가 공정을 멈추고 라벨지 롤을 교체해 부착하는 방식으로, 설비 운영 방식이 비효율적이며 여러 종류의 라벨지 재고를 보유해야 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이번에 개발해 도입하는 스마트 라벨링 로봇 시스템은 DX기반 자동화 기술을 도입해 MES와 연동함으로써 필요한 라벨을 즉시 프린팅하고 스마트 라벨링 장비의 핵심 구성품인 롤 스테커를 이용해 공정의 환경에 맞도록 속도와 라벨지 재고 등을 조정할 수 있게 했다.또한 로봇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와 크기에 부착할 수 있어 작업자 오류를 100%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 공정 자동화 시스템과 연동해 생산성 및 품질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현재 아이지의 스마트 라벨링 로봇 시스템은 국내 대기업의 해
-
2020-12-21미국 농기계제조업체인 존디어(John Deere)에 따르면 세계 최대 IT전시회인 'CES 2021'의 로봇 부문에서 CES 혁신상(CES Innovation Award)을 수상했다.액티비전(ActiveVision) 카메라 기술이 장착된 새로운 X-시리즈 콤바인으로 받은 것이다. 이 콤바인은 농부들이 콤바인의 곡물 탱크 내부를 보고 관찰해 개별 알갱이까지 수확된 곡물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돕는다.개발된 기술은 독점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농부들에게 정보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농부들이 순간적으로 중요한 결정을 내리고 데이터를 수집해 향후 조치를 내릴 수 있다.X9 1100모델은 이전 모델에 비해 시간당 최대 70% 더 많은 밀을 수확할 수 있다. X 시리즈에 포함된 인공지능, 컴퓨터 비전, 현장 기계 간 통신, 통합 센서 및 자율주행 기능은 수확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이번 수상은 존디어가 향상된 정밀도, 자동화, 속도 및 효율성을 통해 고객의 경제적 가치를 실현할 수 있도록 노력한 것을 인정받은 것으로 평가된다.▲ USA-JohnDeere-AI▲ 존디어(John Deere)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독일 자율로봇 솔루션을 제공하는 아이디얼웍스(IDEALworks)에 따르면 물류 솔루션을 위한 혁신적인 로봇 및 관리 소프트웨어를 개발했다. 아이디얼웍스는 글로벌 자동차제조업체인 BMW의 완전 자회사이다.아이디얼웍스는 생산 물류의 디지털화 및 자동화와 함께 몇 가지 고유한 솔루션을 개발했다. 특히 물류 로봇 공급업체로서 스마트 운송 로봇(STR:Smart Transport Robot)을 생산한다.로봇은 2015년 프라운호퍼연구소(Fraunhofer Institute)와 협력해 개발했다. 평평한 자율 이동형 로봇으로서 최대 1톤의 상품을 목적지까지 운반할 수 있다. 또한 독립적으로 최적의 경로를 계산할 수 있다.이를 통해 로봇은 SLAM(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탐색 방법을 사용해 공간을 자유롭게 이동한다. 차세대 로봇은 2020년 말 출시될 예정이다.현재 130개 이상의 로봇이 여러 BMW그룹 생산 현장에서 운용되고 있다. 아이디얼웍스는 장기적으로 산업용 물류 로봇 공급업체 중 최고로 성장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Germany-IDEALworks-robot▲ 아이디얼웍스(IDEALworks)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2020-10-27영국 솔퍼드대(University of Salford)에 따르면 잉글랜드 북부 로봇공학 혁신센터(North of England Robotics Innovation Centre)를 건설할 계획이다.£1300만 파운드 규모의 건설공사는 유럽지역개발기금(European Regional Development Fund)으로부터 일부 자금을 지원받는다.2만2580평방 피트 건물의 건설 공사는 모건신드올건설(Morgan Sindall construction)에 의해 2021년 초 시작될 예정이다. 혁신센터는 대학의 로봇 공학 및 자동화 전문가가 작업을 확장할 수 있도록 돕게된다.여기에는 지능형 인프라, 디지털 자동화 및 공급망 개선을 위한 로봇 공학은 물론 건강, 웰빙 및 통합 치료 기술이 포함될 수 있다. 혁신센터는 £25억파운드의 크레센트 마스터 플랜(Crescent masterplan)의 일부이다.해당 계획은 240에이커 규모의 재생 계획이다. 솔퍼드대, 솔퍼드 시의회(Salford City Council) 및 영국 도시기금(The English Cities Fund)가 참여한다.한편 모건신드올건설은 SSE 빌딩으로 알려진 대학의 과학, 공학 및 환경 과정을 위한 £6,500 만 파운드의 교육 블록을 건설하는 계약을 체결했다.이와같은 솔퍼드대의 마스터 플랜은 도시를 위한 변혁적 미래를 개발하는 대담한 비전을 반영하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UK-UniversityofSalford RoboticCenter-Robot▲ 솔퍼드대의 로봇공학 혁신센터(University of Salford's Robotic Center)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중국] 美 로봇비즈니스리뷰(RBR),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로봇회사 50강’에 중국기업 3개 포함... ‘신송로봇자동화공사·다장혁신기술공사·폭스콘과학기술그룹’으로 中 로봇산업 선두주자 역할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