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루이지애나"으로 검색하여,
3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현대차그룹 로고[출처=현대차그룹] 현대자동차그룹(회장 정의선)에 따르면 2025년부터 2028년까지 4년간 미국에서 자동차, 부품 및 물류, 철강, 미래 산업 등 주요 분야에 $US 210억 달러를 투자한다.현대차그룹은 준공식을 앞둔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 생산능력을 30만 대에서 향후 50만 대로 확대하는 한편 루이지애나주에 전기로 일관 제철소 건설을 추진한다.로보틱스, AI 등 미래 산업 분야에서 미국 기업들과 협력을 확대하고 에너지 관련 인프라 투자도 시행할 계획이다.미국은 현대차그룹의 최대 해외 투자 국가이자 사업 국가이며 미래 분야에서 세계 최고의 기술력을 보유한 국가다.현대차그룹은 이번 투자를 통해 미국 제조업 재건 등 미국 행정부의 정책에 대응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사업 기회를 확대해 미국에서 톱티어 기업으로서 위상을 강화한다는 전략이다.무엇보다 다각적인 미국 현지 사업 기반 확대를 통해 모빌리티를 비롯한 미래 사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기업 신뢰도를 높여 지속가능한 기업으로 확고히 자리매김한다는 구상이다.동시에 현대차그룹의 투자로 한국과 미국의 경제 활성화가 촉진되고, 양국 간의 경제협력이 더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또한 국내 연관 산업의 성장은 물론,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동안 현대차그룹의 해외 투자는 해외 현지 브랜드 가치를 향상시키고 글로벌 수요를 증가시켰다.그 결과 국내 자동차 및 부품 산업의 성장으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형성해 왔다. 더불어 현대차그룹은 국내에 올해 역대 최대 규모인 연간 24조3000억 원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 ◇ 미국 현지생산 120만 대 체제 구축, 전기로 제철소 설립, 미래 산업 역량 강화에 투자현대차그룹은 구체적으로 △자동차 △부품·물류·철강 △미래 산업·에너지 부문에 투자를 집행한다. 자동차 부문에서 현대차그룹은 미국 현지생산 120만 대 체제 구축을 위해 총 86억 달러를 투자한다.
-
▲ 캔자스 시티 사우던(Kansas City Southern, KCS) 철도 [출처=홈페이지]미국 캔자스 시티 서던(Kansas City Southern, KCS)은 루이지애나 슈리브포트 작업장(Shreveport Yard)의 ISO 14001 환경 및 45001 산업보건안전에 대한 ISO 인증을 획득했다고 밝혔다.슈리브포트 작업장은 2019년부터 운영이 시작됐다. 국제표준화기구(ISO)는 KCS의 사업 및 업무 수행 방식이 실용적이고 사용 가능한 건강, 안전 및 환경(HSE) 관리 시스템과 일치하는지 평가했다.시스템은 철도의 미국 및 멕시코 네트워크를 통해 기타 KCS 위치로 적용 및 이전할 수 있도록 개발됐다. 건강과 안전 환경 위험이 능동적으로 해결되고 KCS가 위험 관리 프로세스에 대해 정당한 확신을 가질 수 있다. ISO 45001은 산업안전보건(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OH&S) 경영 시스템에 대한 요구사항을 명시하고 있다.이는 조직이 기업의 산업안전보건 성과를 능동적으로 개선하고 그 과정에서 업무 관련 질병 및 부상을 예방해 더 안전하고 더 건강한 작업장을 제공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한다.ISO 14001은 조직이 오염 및 탄소 발자국을 포함한 환경 영향을 줄일 수 있도록 효과적인 환경 관리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기준을 설정하고 있다.KCS은 미국, 멕시코 및 파나마에 철도 투자를 하는 순수 운송 지주회사로 KCS 철도 네트워크는 미국과 멕시코의 약 7299마일의 선로를 소유하고 있다.참고로 미국 지상교통위원회(Surface Transportation Board, STB)는 철도 운송업체의 연간 수익을 기준으로 Class I, Class II, Class III로 분류한다.Class I 철도는 1900년 기준 132개에 달했지만 합병과 도산 등으로 통합되면서 2021년 8월 기준 7개만 남았다. KCS는 Class I급 철도 운
-
미국 루이지애나 주정부에 따르면 석유·가스 시설 인근에서 드론을 비행할 경우 벌금을 최대 US$ 4000달러(약 450만원)까지 부과할 계획이다.현행법 상 발전소나 석유·가스 파이프라인 등 주요 시설 인근에서 드론을 비행할 경우 최대 2000달러의 벌금이 부과된다. 또한 1년 이하의 징역에 처해질 수도 있다.이런 강력한 시행 규칙과는 달리 지금까지 주요 시설에서 감지된 드론만 5만8000여건에 달했다. 특정 목적도 있었지만 어린이들의 취미용 드론으로 밝혀진 것도 적지 않았다.주 의회는 더욱 강력한 법 시행과 계도 활동으로 시민들에게 드론 비행 규칙을 주지시킬 필요성을 절감했다. 결국 기존보다 벌금형과 징역형을 강화하는 법안을 마련한 것이다.특히 에너지 관련 시설은 군사용도로 관리되는 곳이 많기 때문에 보안을 철저하게 관리해야 한다. 하지만 드론에 대비한 보안 시스템을 전부 구축하려면 비용과 시간이 만만치 않다.드론에 대응할 수 있는 체계가 미비한 지금, 제도적 장치로 그 공백을 메우려는 정부의 의도가 짙게 깔린 것으로 해석된다. 아직 해당 법안이 통과되지 않았지만 국가안보라는 명목에 사실상 반대할 이유도 없다.최근 미국립핵안보청(NNSA)은 테네시주 오크리지에 소재한 Y-12 국립안보단지(NSC) 상공을 드론 비행금지구역이라고 강조했다. 앞으로 국가 주요시설에 관한 드론 비행규칙이 더욱 강화될 것으로 전망된다.▲드론 비행금지구역 표시(출처 : 연방항공청)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