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3
" 리튬이온전지"으로 검색하여,
29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11-04▲ LG화학, 중국 시노펙과 소듐이온전지 소재 공동개발 협약 체결 [출처=LG화학]LG화학(대표이사 신학철 부회장)에 따르면 2025년 10월30일(목) 중국 시노펙과 소듐이온전지(Sodium-ion Battery, SIB) 핵심 소재 개발을 위한 공동개발 협약을 체결했다.중국 최대 종합 에너지·화학 기업 시노펙(SINOPEC)과 손잡고 차세대 전지소재 개발에 나선다. 시노펙(Sinopec)은 중국 최대 규모의 종합 에너지·화학 기업이다. 석유·가스 탐사 및 개발, 정유, 화학, 신에너지, 신소재 사업을 아우른다.이번 협약으로 양사는 소듐이온전지의 핵심 소재인 양극재와 음극재 등을 공동개발하고 안정적인 공급망 구축과 원가 경쟁력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소듐이온전지는 리튬이온전지에 비해 자원 접근성이 뛰어나고 가격 경쟁력이 우수하면서도 리튬인산철(LFP) 전지보다 저온에서 성능 저하가 적다는 장점이 있다.또한 기존 리튬이온전지보다 안전성과 충전 속도가 높아 글로벌 시장에서 차세대 전지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시장조사기관에 따르면 소듐이온전지 시장은 2025년 10기가와트시(GWh)에서 2034년 292GWh 규모로 연평균 약 45퍼센트(%)의 고성장이 예상된다.특히 중국은 2030년까지 전 세계 소듐이온전지 제조 물량의 90%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는 주요 생산 거점으로 주목받고 있다.LG화학과 시노펙은 이번 공동개발을 통해 중국 등 글로벌 에너지저장장치(Energy Storage System, ESS) 및 보급형 EV 시장을 타깃으로 소듐이온전지의 사업 모델을 다각화하고, 향후 친환경에너지 및 고부가 소재 분야로 협력 범위를 확대할 예정이다.한편 시노펙(Sinopec)은 중국 최대 규모의 종합 에너지·화학 기업 중 하나로, 석유·가스 탐사 및 개발, 정유, 화학, 신에너지, 신소재 사업을 아우르는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최근 시노펙은 녹색·청정 개발 전략을 전면적으로 시행하며,
-
일본 가전제품제조기업인 파나소닉(パナソニック)에 따르면 와카야마(和歌山)공장에서 전기자동차(EV)용 신형 리튬이온전지인 4680의 양산을 검토 중이다. 2022년 중에도 수백억엔을 투자해 생산 라인을 성립해 본격적인 양산 준비를 시작하고 있다. 미국 전기자동차 제조기업인 테슬라에의 공급을 상정해 생산효율을 높이고 안정성 검증을 진행하고 있다. 4680 전지는 일반적인 건전지와 동일한 원통형으로 직경 4.6센티미터, 길이는 8.0센티미터이다. 테슬라용으로 현재 납품하고 있는 전지와 대비해 직경은 2배 이상, 용량은 약 5배로 대폭 늘린다. 자동차 1대당의 장착하는 전지 수를 줄이면 효율적으로 적재할 수 있기때문에 주행거리를 20% 정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파나소닉(パナソニック) 로고
-
일본 글로벌 자동차 제조기업인 토요타자동차(トヨタ自動車)에 따르면 파나소닉(パナソニック)과의 전지합작회사의 리튬이온전지 생산능력을 확대할 계획이다. 프라임 플래닛 에너지&솔루션(Prime Planet Energy & Solutions Inc)사의 국내와 중국의 생산거점에 새로운 생산라인을 추가하는 등 생산 체계를 강화하며 자동차용 전지 생산을 늘린다.일본 철강업체인 JFE홀딩스(JFEホールディングス)에 따르면 2024년까지 해상풍력발전 설비 국내 생산 부문에 약 400억엔을 투자할 계획이다. 해상풍력발전 설비의 기본 부분을 국내에서 생산해 국산화하기 위한 목적이다. 탈탄소 사회의 유력한 수단인 해상풍력발전 설비의 대부분은 아직까지 해외에서 수입하고 있다. 일본 중공업회사인 가와사키중공업(川崎重工業)에 따르면 2021년 동안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액화 수소의 수송 실증실험을 진행할 계획이다. 탈탄소 사회를 목적으로 수소를 액화해 운반하는 것은 세계 최초인 것으로 조사됐다. 기체 수소를 영하 253도로 냉각해 액화하면 부피의 800분의 1 수준으로 대량 운반이 가능하다. ▲가와사키중공업(川崎重工業)이 건조한 잠수함(출처 : 홈페이지)
-
2021-06-04일본 기술서비스기업인 JFE테크노리서치(JFEテクノリサーチ)에 따르면 리튬이온전지 프로토타입의 수탁 사업을 강화할 계획이다. 차량 부문의 전동화 수요가 높아지며 리튬이온전지 수요도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매출을 기존의 1.5배의 수준으로 올리는 것을 목표로 했다. ▲JFE테크노리서치(JFEテクノリサーチ) 로고
-
2021-05-25일본 글로벌 자동차 제조기업인 토요타자동차(トヨタ自動車)에 따르면 파나소닉(パナソニック)과의 전지합작회사의 리튬이온전지 생산능력을 확대할 계획이다. 프라임 플래닛 에너지&솔루션(Prime Planet Energy & Solutions Inc)사의 국내와 중국의 생산거점에 새로운 생산라인을 추가하는 등 생산 체계를 강화하며 자동차용 전지 생산을 늘린다.자동차의 전동화가 가속되며 수요 확대가 전망되기 때문이다. 국내 히메지공장의 생산능력은 전기자동차 환산으로 연간 8만대로 높일 방침이다. ▲토요타자동차(トヨタ自動車) 라브4(출처 : 홈페이지)
-
2017-05-02일본 전자기기업체 파나소닉(パナソニック)에 따르면 2017년 4월 중국에서 전기자동차(EV)에 탑재하는 리튬이온전지를 증산시킬 방침이다.장쑤성 쑤저우시에 위치한 공장에서 2017년 내에 노트북, 휴대전화용 배터리 생산라인의 일부를 자동차용으로 전환시킬 계획이다.현재 중국에서는 정부의 지원을 받아 현지 자동차업체가 EV의 생산을 확대하고 있다. 이에 당사는 배터리 수요증가에 대응하려는 것이다.▲파나소닉 로고
-
2017-02-21일본 섬유업체 테이진(帝人)에 따르면 2017년 2월 리튬이온전지용 세퍼레이터의 생산능력을 기존 대비 70% 확대할 방침이다. 2020년까지 자동차 LIB용을 생산하기 위해서다.기존에는 스마트폰, PC 등에 탑재하는 LIB용을 판매해왔다. 하이브리드자동차(HV), 전기자동차(EV) 등이 증가해 자동차 LIB용 세퍼레이터 사업에 진출하기 위한 목적이다.당사는 한국의 세퍼레이터제조 자회사에서 생산설비를 증설해 생산능력을 연간 3600만평방미터에서 6000만평방미터로 늘린다.▲한국 세퍼레이터제조 자회사 이미지(출처: 테이진)
-
일본 전자기기업체 파나소닉(パナソニック)에 따르면 2017년 1월 미국 테슬라모터스와 공동으로 운영하고 있는 대규모공장 ‘기가팩토리’에서 리튬이온전지의 양산을 시작했다.당사는 대량생산을 통해 전기자동차(EV)의 배터리생산 비용을 기존 대비 30% 이상 인하시킨다. 이에 EV의 가격을 낮춰 보급확대로 연결시킬 목적이다.참고로 테슬라는 2018년까지 EV용 생산능력을 연간 50만대까지 확대하고 공장을 풀가동할 경우 6500명의 직원 고용을 목표로 수립했다.▲기가팩토리공장(출처 : 테슬라모터스)
-
일본 기계제조업체인 히타치제작소(日立製作所)는 2016년 12월 충전 1회로 400킬로미터를 주행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EV)용 리튬이온전지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용량은 기존 전지 대비 2배로 현재 EV보다 주행거리는 40% 정도 늘어난다. 전극에 니켈 합금 등을 사용해 두께를 증가시킨 방법 등으로 대량의 전기를 쌓을 수 있게 만든 것이다.내구성을 높여서 충전과 방전을 반복해도 성능이 떨어지지 않도록 했으며 이 기술을 적용한 제품을 2020년까지 실용화할 방침이다. ▲히타치제작소(日立製作所) 로고
-
일본 자동차엔진부품업체인 야스나가(安永)는 2016년 11월 리튬이온전지의 수명을 12배 증가시키는 신기술을 개발했다고 발표했다.전극판의 제조과정에서 알루미늄박의 집전체와 리튬 이온을 흡착한 활물질의 결합을 높이는 독자기술을 도입해 장기 수명화를 실현한 것이다. 전기자동차(EV) 외에도 가전용 태양광 발전의 축전장치 등에 대한 채용을 목표로 한다.
1
2
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