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15
" 매출"으로 검색하여,
1,148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8-14▲ SK네트웍스 삼일빌딩 전경 [출처=SK네트웍스]SK네트웍스(대표이사 이호정 사장)에 따르면 2025년 8월13일(수) 발표한 연결 기준 2025년 2분기 매출액은 1조5163억 원, 영업이익은 430억 원을 기록했다.인공지능(AI)을 중심으로 본사 및 자회사의 혁신을 이끌며 국내외 산업 환경의 급변 속에서도 내실을 다지고 성장 기반을 강화하는 2분기 성과를 거뒀다.무역 사업을 전개하는 자회사 글로와이드가 2025년 수익성 높은 화학 원료 중심으로 거래 품목을 재편함으로 인해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0.3퍼센트(%) 감소한 반면, 영업이익은 48.0% 증가했다.이와 관련 SK네트웍스는 단통법(이동통신 단말장치 유통 구조 개선에 관한 법률) 폐지로 하반기 시장 경쟁 본격화가 예상됨에 따라 정보통신 사업 마케팅 비용을 전략적으로 조율한 게 영업이익에 영향을 미친 것이라고 설명했다.AI 웰니스 플랫폼 기업으로 도약 중인 SK인텔릭스는 2분기 헬스 플랫폼 브랜드 SK매직을 통해 정수기와 공기청정기 신제품을 잇달아 선보였다.웰니스 로보틱스 브랜드 나무엑스(NANUHX) 쇼케이스를 개최하고 하반기 출시를 준비하는 등 혁신적인 행보를 이어갔다. 신규 브랜드 준비 과정에서 발생한 비용으로 영업이익은 감소했지만 미래 성장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다는 분석이다.워커힐 호텔앤리조트는 여행 수요 확대 속에 호텔 및 식음료, 주요 부대시설에 대한 고객 호응으로 지속적인 매출 상승을 기록했다.SK스피드메이트의 경우 긴급출동 서비스(ERS) 및 부품 사업이 성장세를 보였다. 엔코아는 데이터 관리 컨설팅 및 솔루션 영역에서 매출과 수익 성과가 나타났다.2024년 12월 국내 최초로 제약 산업에 특화된 생성형 AI 솔루션 ‘케이론(Cheiron)’을 선보인 실리콘밸리 소재 스타트업 피닉스랩(PhnyX Lab)은 2025년 6월 SK바이오팜, 삼일제약과 기업 맞춤형 솔루션 제공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최근에는 US$ 400만 달러 규모 투자유치에 성공해 제
-
▲ HMM 선박 [출처=HMM]HMM(대표이사 최원혁)에 따르면 2025년 상반기 매출액은 5조4774억 원으로 전년 동기 4조9933억 원 대비 9.7퍼센트(%) 증가했다.동기간 영업이익은 8471억 원으로 전년 동기 1조514억원 대비 19.4% 감소했다. 당기순이익은 1조2111억 원으로 전년 동기 1조1458억 원 대비 5.7% 늘어났다. 상반기 영업이익률은 15.5%로 글로벌 선사 중 상위권이다.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는 2024년 상반기에 홍해 사태 지속 등 지정학적 이슈로 평균 2319포인트(p) 기록했다. 2025년 상반기에는 미국 보호관세 정책 등 영향으로 평균 1701p로 27% 하락했다. 특히 유럽 노선은 43%, 미주서안노선은 34% 큰 폭 하락했다.2025년 하반기는 관세 유예 기간 종료와 관세 재협상으로 시장 불확실성이 증대할 것으로 예상되며 지역별 수요 변화에 따른 공급망 혼잡이 지속될 전망이다.지역별 수급 변화에 대응한 탄력적 선대 운용, 벌크화물 장기 운송계약 등 안정적 수익 기반 확보, 선박 효율 개선을 통한 비용 절감 등으로 불확실한 시장 상황에 대비할 방침이다.HMM은 2030 중장기 전략을 기반으로 선대 확장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컨테이너선은 9000TEU급 메탄올 연료 친환경 선박 9척 중 잔여 7척의 인도가 2025년 하반기부터 2026년 상반기까지 완료될 예정이다.특히 벌크선은 신조 발주한 선박들이 시장에 투입될 예정이다. 2023년 발주한 총 7척의 자동차운반선(PCTC)이 9월부터 인도되며 다목적선(MPV) 4척, 화학제품선(MR탱커) 2척 등 총 13척의 벌크선을 순차적으로 확보할 예정이다.또한 시장 상황에서 맞춰 경쟁력 있는 중고선을 매입, 벌크선대 확장과 사업 포트폴리오 다변화를 동시에 추진할 계획이다.
-
2025-08-13▲ 한국전력 본사 전경 [출처=한국전력]한국전력(사장 김동철, 이하 한전)에 따르면 2025년 상반기 매출액은 46조1741억 원, 영업비용은 40조2846억 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3조3399억 원 증가한 5조8895억 원을 달성했다.연료 가격 안정과 요금 조정, 자구노력 등의 영향으로 2023년 3분기를 기점으로 8개 분기 연속 영업이익 흑자를 기록했다.전년 동기 대비 주요 증감 요인을 살펴보면 전기 판매 수익 판매량이 0.05퍼센트(%) 감소했으나 판매단가는 전년 동기 대비 5.7% 상승해 전기 판매 수익이 2조4519억 원 증가했다.자회사 연료비는 1조5912억 원 감소했으나 민간 발전사 전력 구입비는 1852억 원 증가했다. 원전 발전량 증가에 따라 발전자회사의 석탄 및 LNG 발전량 감소와 연료 가격 하락으로 자회사 연료비는 감소했다.SMP 하락에도 민간 구입량 증가 등으로 전력 구입비는 증가했다. 기타 영업비용은 발전 및 송배전설비 신규 자산 증가에 따른 감가상각비 증가 등으로 4738억 원 증가했다.한전과 전력 그룹사는 누적적자 해소를 위해 국민들께 약속드린 자구 노력과 재정 건전화 계획을 충실하게 이행해 상반기 2.3조 원의 재무개선 노력을 통해 영업이익 5.9조 원을 기록했다.앞으로도 한전은 에너지고속도로·인공지능(AI) 확산·첨단산업 육성 등 급증하는 전력수요에 따른 전력망 확충 투자재원을 마련하기 위해 2021년 이후 누적된 28.8조 원의 영업 적자를 해소하는 등 실적 개선이 더욱 필요한 상황이다.한전은 환율 및 국제 연료 가격 변동 등 대외 불확실성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재정 건전화 계획을 충실히 이행하면서 요금 현실화, 구입 전력비 절감 등 다양한 방안을 정부와 지속적으로 협의해 나갈 계획이다.또한 혹서기 국민의 전기 사용에 불편함이 없도록 안정적 전력공급에 최선을 다할 방침이다.
-
2025-08-11▲ 동원그룹 CI [출처=동원그룹]동원그룹(회장 김남정)에 따르면 사업 지주사 동원산업(대표이사 민은홍)이 연결 재무제표 기준 2025년 상반기 잠정 영업이익은 2585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2.7퍼센트(%) 증가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4조6779억 원으로 6.7% 늘어났다.연결 기준 2분기 매출액은 2조3586억 원으로 전년 대비 10.1%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1336억 원으로 57.7% 성장했다.동원그룹은 수산·식품 등 주요 사업 부문에서 고른 성장세를 보이며 실적 호조를 이어갔다. 특히 식품과 소재 부문의 수출 확대가 실적 개선을 이끌었다.수산 부문은 어가 상승으로 수익성이 크게 개선됐다. 동원산업의 별도 기준 상반기 매출액은 5793억 원, 영업이익은 1193억 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0.9%, 49.7% 증가했다.식품 부문 계열사인 동원F&B는 해외 수출 및 제품 포트폴리오 다각화에 힘입어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모두 늘었다. 펫푸드, 떡볶이 등 전략 품목의 미국 수출이 본격화했으며 조미김과 음료도 아시아 중심으로 수출이 늘어나면서 전체 수출액이 전년 대비 20% 이상 성장했다. 또한 내식 수요 증가로 조미식품과 간편식 등도 안정적인 성장을 기록했다.자회사인 동원홈푸드도 실적 향상에 기여했다. B2B 조미식품 사업이 두 자릿수 성장세를 보이며 견조한 실적을 기록했고 저당·저칼로리 소스 전문 브랜드 비비드키친을 앞세워 B2B 시장을 넘어 B2C 및 해외 사업을 본격화하고 있다. 또한 축산물 유통 사업도 육종 포트폴리오 다각화를 통해 정육점, 식당 등에서 매출, 영업이익이 모두 개선됐다.소재 부문 계열사 동원시스템즈는 식품 캔, 레토르트 파우치 등 고부가가치 제품 중심의 수출로 매출이 증가했다. 다만 내수 시장 위축으로 PET·유리병 등 일부 제품의 수요가 줄고 알루미늄을 비롯한 원자재 가격이 상승해 영업이익은 감소했다.연결 기준 동원시스템즈의 상반기 매출액은 7031억 원으로 전년 대
-
2025-08-08▲ LG화학 본사 [출처=LG화학]LG화학(대표이사 신학철 부회장)에 따르면 2025년 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은 11조4177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7퍼센트(%)감소했으며 전 분기 대비 5.8% 줄어들었다. 반면 영업이익은 4768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1.5%, 전 분기 대비 8.9% 각각 증가했다.사업 부문별 구체적인 2분기 실적 및 3분기 전망을 살펴보면 석유화학 부문 매출은 4조6962억 원, 영업손실 904억 원을 기록했다.미국 관세 분쟁과 중동 정세 불안 등에 따른 구매 관망세 지속 및 부정적 환율 효과로 적자가 지속됐다. 3분기는 북미, 아시아 등 주요 제품의 신증설 사업 정상화 및 코스트 절감 활동 등을 통해 수익성 개선을 목표한다.첨단소재 부문은 매출 1조605억 원, 영업이익 709억 원을 기록했다. 정책 불확실성에 따른 구매 심리 위축 등으로 전지 재료 출하가 감소했으나 전자 소재와 엔지니어링 소재의 고부가 제품 매출은 견조했다.3분기는 IRA 보조금 조기 종료로 주요 완성차 업체 및 고객사의 보수적 재고 운영이 지속되며 전기차용 전지 재료 수요 둔화가 전망된다.생명과학 부문은 매출 3371억 원, 영업이익 246억 원을 기록했다. 백신, 항암, 자가면역질환치료제 등 주요 제품의 매출이 견조했다. 3분기는 희귀 비만치료제 라이선스아웃 잔여 계약금 수취로 매출과 영업이익 증가가 전망된다.자회사 에너지솔루션은 매출 5조5654억 원, 영업이익 4922억 원을 기록했다. 고객사의 보수적인 재고 정책 기조가 지속되며 매출이 감소했으나 북미 생산 비중 확대에 따른 제품 믹스 개선 및 전사의 원가 절감 노력 등으로 북미 생산 인센티브를 제외하고도 영업이익은 흑자를 기록했다.3분기는 정책 변화에 따른 북미 고객사의 보수적 재고 운영 기조가 예상되지만 원통형 배터리 출하량 증가 및 전력망 프로젝트 중심으로 북미 에너지저장장치(ESS) 생산 본격화가 기대된다.자회사 팜한농은 매출 2424억 원, 영업이익 125억 원을 기록했다. 작물
-
2025-08-07▲ 뉴셀렉트 2025년 상반기 성장율 그래프 [출처=뉴셀렉트]글로벌 뷰티 기업 뉴셀렉트(대표이사 육동민)에 따르면 2025년 상반기 누적 매출 182억 원을 달성했다. 이는 설립 이후 출시한 핵심 브랜드의 성과와 유통 채널 전략이 효과를 발휘한 결과로 분석된다.주요 브랜드별 상반기 실적은 샤르드 92.7억 원, 트리코닉스 76.8억 원, 뉴셀렉트 12.8억 원으로 집계됐다. 특히 2025년 2분기 실적은 1분기 대비 약 53퍼센트(%) 성장하며 분기별 실적의 뚜렷한 개선을 보여줬다.상반기 동안 뉴셀렉트는 자사몰 마케팅을 강화하고 올리브영과 쿠팡 등 주요 유통 채널을 확대해 매출 기반을 넓혔다. 신규 브랜드 ‘링탭(Ringtap)’과 ‘이옴(EIOM)’의 론칭을 통해 브랜드 포트폴리오도 전략적으로 다변화했다.글로벌 진출 전략 또한 본격적인 실행 단계에 접어들었다. 이옴 브랜드는 2025년 8월부터 북미 시장을 대상으로 본격적인 마케팅을 시작할 예정이며 미국 틱톡숍(TikTok Shop) 입점도 계획 중이다.쇼피(Shopee)를 통한 대만 및 홍콩 자사몰 오픈도 2025년 3분기 내로 목표하고 있다. 이를 통해 뉴셀렉트는 아시아와 북미 시장을 아우르는 글로벌 유통망 구축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일본 시장에서도 두드러진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 뉴셀렉트는 일본 Qoo10을 통해 8월1일(금)부터 9일(토)까지 메가포(Mega Sale)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7월 메가포 대비 현재까지 매출이 약 563% 증가했다. 주력 제품으로는 샤르드의 ‘아이백 패치’, 이옴의 ‘트러블 마스크 패치’, 곤란의 일본향 복숭아향 향수가 있다.특히 샤르드는 8월 Qoo10 매출이 7월 대비 111% 증가했다. 이옴은 인플루언서 ‘메메론’이 8월 1일 업로드한 제품 소개 영상이 인스타그램 릴스에서 64만 회, 유튜브 숏츠 63만 회, 틱톡 25만 회 이상 조회되는 등 큰 주목을
-
▲ KT&G CI [출처=KT&G]KT&G(사장 방경만)에 따르면 2025년 8월7일(목) 기업설명회에서 발표한 2025년 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은 1조5479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7퍼센트(%) 증가했다.동기간 영업이익은 3498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6% 성장했다. 이로써 2024년 4분기부터 3분기 연속 매출과 영업이익의 동반성장을 이뤄냈으며 2025년 상반기 매출액도 최초로 3조 원을 돌파했다.먼저 본업인 담배사업 부문은 글로벌사업의 고성장에 힘입어 매출과 영업이익은 1조906억 원, 3218억 원을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0%, 1.6% 증가하며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갔다.특히 해외궐련은 매출과 영업이익, 판매수량이 모두 증가하는 ‘트리플 성장’을 5분기 연속 달성했으며 매출은 2024년 2분기 대비 30.6% 오른 4690억 원을 기록했다.이어 판매수량은 9.1% 증가한 167억 개비, 역대 최대 분기 매출 및 판매량을 재경신했다. 2024년 매출채권 대손충당금 환입분을 제외한 2025년 2분기 조정영업이익 역시 전년 동기 대비 51.1% 상승해 고성장 모멘텀을 확보했다.이는 방경만 KT&G 사장이 2024년 취임 이후 최우선으로 추진해온 글로벌 현지 완결형 밸류체인 전략과 CIC 체제로의 전환이 본격적인 성과로 이어진 결과다.또한 아태, 중앙아시아, 중남미 등 주요 권역에서 ‘에쎄’ 중심의 경쟁력 있는 신제품 출시와 높아진 브랜드 파워를 기반으로 한 고가제품군 비중 확대, 판매 단가 인상 전략이 주효했다.2025년 하반기 해외 공장에서 원재료 현지 수급체계가 완성되면 향후 원가절감으로 인한 이익 성장이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된다.국내 NGP사업부문은 ‘릴 에이블’ 판매가 늘어나 상반기 점유율 45.8%를 기록했으며 해외 스틱 매출 수량은 22억 개비로 전년 동기대비 4.2% 상승하며 판매량이 반등했다.KGC인삼공사가 영위하는 건강기능
-
2025-08-06▲ SK바이오팜 2분기 실적 [출처=SK바이오팜]SK바이오팜(대표이사 사장 이동훈)에 따르면 2025년 8월5일(화) 2025년 2분기 매출액은 1763억 원으로 전분기 대비 22.1퍼센트(%), 전년 동기 대비 31.6% 성장했다.동기간 영업이익은 619억 원으로 전분기 대비 141.1%, 전년 동기 대비 137.6% 증가해 시장 컨센서스를 크게 웃돌았다. 같은 기간 당기순이익은 295억 원으로 전분기 대비 50.5%, 전년 동기 대비 20.2% 각각 늘어났다.세노바메이트(미국 제품명: 엑스코프리®, XCOPRI®)의 미국 매출이 분기 성장 폭을 최대치로 경신하며 실적 성장세를 이어갔다.특히 세노바메이트는 미국 시장에서 분기 매출 US$ 1억 달러를 처음으로 돌파하며 전분기 대비 15.6%, 전년 동기 대비 46.5% 성장한 1541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이는 연초 계절적 비수기와 일시적 매출 정체 요인이 해소되고 내부 콘테스트 등의 마케팅 전략 효과가 본격화된 결과이다. 2025년 하반기에는 소비자 직접(DTC, Direct-to-consumer) 광고 등의 마케팅 효과도 본격화될 것으로 기대된다.SK바이오팜은 "이번 분기 실적은 핵심 제품인 세노바메이트의 고성장과 비용 효율화 전략이 맞물려 영업 레버리지가 크게 확대됐다"며 "핵심 제품의 지속적인 성장세를 바탕으로 안정적인 성장 궤도에 올라선 상황이다"고 밝혔다.◇ 세노바메이트 미국 시장 내 탄탄한 성장세 지속세노바메이트의 2025년 2분기 미국 매출은 US$ 약 1억1000만 달러(약 1541억 원)로 처음으로 분기 매출이 1억 달러를 돌파했다. 전분기 대비 15.6%, 전년 동기 대비 46.5% 늘어났다.또한 매출의 고성장 추세 회복과 더불어 지속적인 비용 효율화에 따라 판관비 증가는 억제되며 영업 레버리지 효과가 확대되고 견고한 수익 구조를 입증했다.그 외 기타 매출은 전 분기 대비 약 140% 증가한 222억 원을 기록했다. 로열티 매출과 반제품 매출 중심으로 기타 매출 연
-
2025-08-04▲ GC녹십자 본사 전경 [출처=GC녹십자]GC녹십자(회장 허일섭)에 따르면 연결재무제표 기준 2025년 2분기 매출액 잠정 집계액이 5003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9.9퍼센트(%) 증가했다. GC녹십자가 분기 매출이 5000억 원을 넘어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274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5.1% 성장했다. 순이익은 327억 원을 기록했다. 주요 품목의 글로벌 사업 확대로 역대 최대 분기 매출을 경신했다.GC녹십자 별도 사업 부문별로는 혈장분획제제 매출이 1520억 원, 백신제제 1029억 원, 처방의약품 1061억 원, 일반의약품 및 소비자헬스케어 308억 원으로 각각 나타났다.특히 혈장분획제제 부문에서는 알리글로의 매출이 크게 증가하며 핵심 성장 동력으로 입지를 다졌다. 알리글로는 미국 시장 출시 1년 만인 2025년 7월 누적 매출 1000억 원을 달성했다.더불어 백신 부문에서는 배리셀라가 신성장 동력으로 자리매김하며 외형 확대와 더불어 수익성 향상에 기여했다. 처방의약품 부문에서는 헌터라제 해외 매출이 증가하며 성장을 이끌었다.앞서 실적을 발표한 연결 대상 자회사들도 안정적인 흐름을 보였다. GC셀 매출액은 430억 원을 기록했으며 전분기 대비 영업적자 폭을 축소했다.주요 사업 부문이 회복세를 보이며 외형 성장을 견인했다. 연구개발 및 사업 운영 효율화를 통한 수익성 확보에 집중하고 있다.GC녹십자엠에스와 GC녹십자웰빙도 각각 주력 사업인 진단 키트와 주사제 사업 호조로 매출 성장과 양호한 수익을 창출했다.GC녹십자는 "2025년 하반기 경제 불확실성이 전망됨에도 주력 사업 부문의 실적 호조세는 이어질 것이다"고 밝혔다.
-
▲ HD현대 본사 전경 [출처=HD현대]HD현대(대표이사 회장 권오갑, 대표이사 수석부회장 정기선)에 따르면 조선 부문 중간 지주사인 HD한국조선해양(대표이사 정기선, 김성준)이 2025년 7월31일(목) 공시발표한 2025년 연결 기준 2분기 매출액이 7조4284억 원을 기록했다.연결기준 2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2.3퍼센트(%) 증가했으며 영업이익은 9536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53.3% 급증했다.HD한국조선해양은 △조업일수 확대와 생산성 향상 △고선가 선박 매출 비중 확대에 따른 수익성 개선 △엔진기계 부문의 매출 증가 등 전 사업 부문에서 고른 성장세를 나타냈다.사업 부문별로는 조선 부문이 건조 물량 증가와 선가 상승분 매출 반영으로 전년 동기 대비 매출 9.3%, 영업이익 104.5% 증가한 각각 6조2549억 원, 8056억 원을 기록했다.엔진기계 부문은 글로벌 친환경 규제 강화에 따른 이중연료 엔진 수요 확대와 인도 물량 증가로 전년 동기 대비 29.6% 증가한 7740억 원의 매출을 거뒀다. 영업이익은 120.7% 증가한 2011억 원을 기록했다.해양플랜트 부문도 주요 프로젝트 매출 인식 확대와 수익성 개선 등이 반영되면서 전년 동기 대비 56.9% 증가한 2479억 원의 매출과 375억 원의 영업이익을 거뒀다.계열사 별로는 HD현대중공업이 매출 4조1471억 원, 영업이익 4715억 원을 기록하며 실적 성장을 주도했다. HD현대삼호와 HD현대미포도 각각 매출 2조1187억 원과 1조2345억 원, 영업이익 3717억 원과 894억 원을 기록했다.HD현대마린엔진은 고부가가치 엔진의 매출 비중 확대와 판매가격 상승, 생산 효율성 개선 효과로 전년 동기 대비 매출 16.7%, 영업이익 91.2% 증가한 각각 993억 원, 174억 원을 기록했다.HD현대에너지솔루션은 매출 1337억 원, 영업이익 151억 원을 기록하며 전 분기 대비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국내외 시장에서의 태양광 모듈 판매 확대와 신규 고효율 모듈의 판매 호
1
2
3
4
5
6
7
8
9
10
1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