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
" 부유식"으로 검색하여,
17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한국석유공사 동해가스전 [출처=현대건설]현대건설(대표이사 이한우)에 따르면 2025년 8월13일(수)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과 ‘동남아시아 분산 탄소 포집 및 저장(Carbon Capture and Storage, CCS) 저장소 운영을 위한 순차 이전 확장형 부유식 CCS 시설 및 CO₂ 주입 개념/기본설계 기술 개발’에 대한 협약을 체결했다.또한 총 42개월간 8개 민·관·학 기관과 함께 국제 공동연구를 진행한다. CCS 기술은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를 모아 땅속 깊은 곳에 안전하게 주입해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기술이다.현대건설이 이번에 수행하는 국책 과제는 동남아시아 해양 지역의 고갈된 유·가스전을 이산화탄소 저장소로 활용하기 위한 부유식 CO₂ 주입 시스템의 개념과 기본설계(Front End Engineering & Design, FEED) 기술을 확보하는 것으로 총 연구비는 58억 원에 이른다.주관 연구기관인 현대건설은 이번 연구의 총괄을 담당하며 한국석유공사, 미국선급협회, 서울대, 인도네시아 페르타미나(Pertamina·인도네시아 국영 석유공사) 대학교 등 8개 기관이 연구에 공동 참여한다.지금까지 해양 이산화탄소 저장은 바다 밑에 고정된 구조물과 배관을 통해 CO₂를 주입해왔다. 하지만 동남아 지역처럼 저장소가 여러 군데 흩어져 있는 경우 모듈형 주입 설비를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며 활용할 수 있는 부유식이 훨씬 효율적이다.현대건설은 이번 연구에서 선박을 활용한 부유체 외에도 세계 최초로 바다 위에 뜰 수 있는 부유식 콘크리트를 활용한 CO₂ 주입 시스템을 개발하고 기본설계승인(Approval In Principle, AIP)까지 확보해 사업모델을 도출한다는 계획이다.특히 인프라 구축비용을 기존 고정형 방식에 비해 25퍼센트(%)까지 절감할 예정인 만큼 향후 인도네시아를 비롯한 동남아시아 CCS 사업 확대에도 마중물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아울러
-
▲ 두산에너빌리티 로고[출처=두산에너빌리티] 두산에너빌리티(대표이사 회장 박지원)에 따르면 2025년 3월11일 지멘스가메(Siemens Gamesa Renewable Energy)와 창원 풍력발전 신규 공장 구축을 위한 사전업무착수협약(Early Works Agreement, EWA)을 체결했다.경상남도 창원시 본사에서 열린 체결식에는 두산에너빌리티 파워서비스영업총괄 윤요한 전무, 파워서비스설계/생산총괄 이광열 전무, 지멘스가메사 나셀 생산총괄 펠크 머던 박사(Head of Nacelles) 등 관계자들이 참석했다.앞서 2022년 국내 해상풍력시장 확대를 위해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은 양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본격적인 실행단계에 돌입하게 됐다.먼저 두산에너빌리티는 창원공장 내 14메가와트(MW) 해상풍력발전기 제조공장 및 생산체계 구축을 위한 설계에 착수한다.지멘스가메는 두산에너빌리티가 해상풍력발전기의 나셀 조립 수행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기술 이전 및 인력 지원을 추진하고 교육훈련을 진행할 예정이다.지멘스가메는 독일 지멘스에너지의 풍력사업 부문으로 글로벌 해상풍력 시장에서 28기가와트(GW) 공급 실적을 보유한 시장 점유율 1위 업체다. 두산에너빌리티는 2005년부터 풍력사업을 시작해 국내 해상풍력 최다 공급 실적을 보유하고 있다.한편 2024년 하반기 진행된 풍력 고정가격계약 경쟁 입찰 결과 해상풍력 5개 프로젝트와 육상풍력 6개 프로젝트가 선정됐다.이 중 두산에너빌리티는 야월해상풍력(104MW)에 대한 해상풍력발전기 우선계약협상자로 지멘스가메는 △안마1해상풍력(224MW) △안마2해상풍력(308MW) △반딧불이 부유식해상풍력(750MW)의 우선계약협상자로 선정됐다.해당 프로젝트에 지멘스가메는 두산에너빌리티 창원 공장에서 해상풍력발전기 핵심 기자재인 나셀을 조립해 공급할 예정이다.두산에너빌리티 손승우 파워서비스 BG장은 “상호 신뢰를 바탕으로 구축한 양사 협력 관계가 이번 협약을 통해 실질적인 이행 단계로 한 발 더 나
-
2025-02-13▲ ‘LS전선-LS마린솔루션-발모랄 컴텍 간 부유식 해상풍력 사업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 체결(왼쪽부터 구본규 LS전선 대표, 빌 메인 발모랄 컴텍 대표, 김병옥 LS마린솔루션 대표) [출처=LS전선]LS전선(대표 구본규)에 따르면 LS마린솔루션(대표 김병옥), 영국 해양 엔지니어링 전문기업 발모랄 컴텍(BALMORAL COMTEC, 대표 빌 메인)과 ‘부유식 해상풍력 사업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협약식에는 구본규 LS전선 대표, 빌 메인 발모랄 컴텍 대표, 김병옥 LS마린솔루션 대표가 참석해 LS전선 서울사무소에서 체결했다.발모랄 컴텍은 해상풍력 및 해양 에너지 산업을 위한 케이블 보호 시스템, 부력 솔루션, 해저 인프라 구축 등에 있어 글로벌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보유한 에너지 기업이다.LS전선은 국내 최초로 혹독한 해양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부유식 해상풍력용 다이내믹 케이블을 개발했다.이번 협약을 통해 발모랄 컴텍과 협력해 해양 환경에 최적화된 부유식 해상풍력 케이블의 안전한 운용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또한 LS마린솔루션은 부유식 해상풍력 케이블 설치 및 운영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안정적인 유지보수를 지원함으로써 사업의 성공적인 추진을 뒷받침할 예정이다.산업통상자원부는 ‘2024년 풍력·태양광 설비 고정가격계약 경쟁입찰’에 처음으로 부유식 해상풍력을 포함했다. 그 결과 에퀴노르의 ‘반딧불이 프로젝트’가 선정됐다. LS전선은 에퀴노르와 업무 협력을 맺고 시장 선점에 나서고 있다.부유식 해상풍력은 구조물을 바다에 띄워 전력을 생산하며, 해저 고정식보다 먼 해상까지 설치할 수 있다. 세계풍력에너지협의회는 이 시장이 2020년 35기가와트(GW)에서 2030년 270GW로 급성장할 것으로 전망한다.LS전선은 "부유식 해상풍력의 비중은 아직 1% 수준이지만 빠르게 성장할 것이다. 반딧불이 프로젝트를 통해 핵심 기술을 확보하고 지속적인 기술
-
2024-12-16▲ 영국 유색 보석 공급기업인 젬필드(Gemfields) 홍보자료 [출처=홈페이지]2024년 12월16일 아프리카 경제동향은 나이지리아와 모잠비크의 광업을 포함한다. 나이지리아 석유 자회사인 SNEPCo(Shell Nigeria Exploration and Production Company Ltd)에 따르면 2024년 12월 나이지리아 봉가 노스(Bonga North) 프로젝트에 대한 최종투자결정(FID)을 발표했다.영국 유색 보석 공급기업인 젬필드(Gemfields)에 따르면 모잠비크 몬테푸에스(Montepuez) 광산의 루비 원석 경매 매출은 US$ 4620만달러로 집계됐다.◇ 나이지리아 석유 자회사인 SNEPCo, 2024년 12월 나이지리아 봉가 노스(Bonga North) 프로젝트에 대한 최종투자결정(FID) 발표나이지리아 석유회사인 SNEPCo(Shell Nigeria Exploration and Production Company Ltd)에 따르면 2024년 12월 나이지리아 봉가 노스(Bonga North) 프로젝트에 대한 최종투자결정(FID)을 발표했다.나이지리아 해안에 위치한 봉가 노스 유전의 심해 유전 프로젝트로 프로젝트 비용은 공개되지 않았다. 봉가 노스의 자원 매장량은 석유 3억 배럴로 예상되며 1일 최대 생산량은 11만배럴로 전망된다.쉘이 지분의 55%를 보유하는 부유식 저장 및 하역 시설(FPSO)과 봉가 유전을 연결해 석유와 가스 생산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계획이다.2005년부터 생산을 시작한 봉가 FPSO의 1일 원유 생산량은 22만5000배럴이다. 2023년까지 원유 생산량 10억 배럴을 기록했다.◇ 영국 젬필드(Gemfields), 모잠비크 몬테푸에스(Montepuez) 광산의 루비 원석 경매 매출 US$ 4620만 달러영국 유색 보석 공급기업인 젬필드(Gemfields)에 따르면 모잠비크 몬테푸에스(Montepuez) 광산의 루비 원석 경매 매출은 US$ 4620만 달러로 집계됐다.태국 방콕에서 열린 해당 루비 원석 경
-
2024-11-20▲ 20일 서울시 종로구 해울이해상풍력발전 사무실에서 열린 ‘해울이3 해상풍력 협력의향서’ 체결식에서 구본규 LS전선 대표이사(왼쪽)와 조나단 스핑크(Jonathan Spink) 해울이해상풍력발전 대표이사가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출처=LS전선]LS전선(대표이사 구본규)에 따르면 덴마크의 그린에너지 투자개발사 CIP사社와 ‘해울이3 해상풍력 협력의향서(LOI)’를 체결했다. 이번 협력의향서는 첫 번째로 추진되는 해울이 해상풍력 3 프로젝트와 관련된다.해울이 해상풍력 1, 2, 3은 총 1.5기가와트(GW) 규모의 대규모 부유식 해상풍력 프로젝트로 CIP가 울산광역시 연안에서 약 80킬로미터(km) 떨어진 해상에 2030년까지 조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서울특별시 종로구 해울이해상풍력발전 사무실에서 열린 ‘해울이3 해상풍력 협력의향서’ 체결식에 구본규 LS전선 대표이사(왼쪽)와 조나단 스핑크(Jonathan Spink) 해울이해상풍력발전 대표이사가 참석했다.LS전선이 울산 앞바다에서 조성되는 부유식 해상풍력단지에 해저 케이블을 공급하기 위해 글로벌 투자개발사들과 협력을 확대하고 있다.부유식 해상풍력은 터빈을 해저에 고정하지 않고 부유물 위에 설치해 깊은 바다에서도 발전할 수 있는 방식으로 해안가 설치 공간 부족 문제를 해결할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LS전선은 국내 최초로 부유식용 다이내믹 해저 케이블을 개발하고 혹독한 해양 환경에서도 내구성을 확보하며 국제 인증을 취득했다.또한 자회사 LS마린솔루션과 협력을 통해 신규 선박 취득 등 해상풍력 밸류체인을 강화하며 시장 경쟁력을 높이고 있다.정부는 2026년까지 총 2.5~3GW 규모의 부유식 해상풍력 입찰 계획을 발표했다. 2024년 10월 풍력고정가격 입찰 공고를 통해 처음으로 500MW 내외의 물량을 배정했다.LS전선은 이에 맞춰 2024년 11월 초 노르웨이 에퀴노르社와 ‘반딧불이 부유식 해상풍력 MOU’를 체결하는 등 글로벌
-
말레이시아 에너지 인프라시설 및 기술기업인 린슨 홀딩스(Yinson Holdings Bhd)에 따르면 브라질 반관반민 에너지기업인 페트로브라스(Petrobras)와 부유식 생산 저장 하역 설비(FPSO) 계약을 체결했다. 브라질 해상 유전인 북 캄포스 바진(North Campos Basin)의 이전 FPSO 인테그라도 파르케 다스 베일리아스(Integrado Parque das Baleias) 프로젝트로 알려진 마리아 키테리아(Maria Quitéria)의 운영과 유지를 맡게 됐다. 해당 계약은 2021년 11월 승인된 프로젝트 의향서(LOI) 2개에 따른 것이다. 계약 규모는 US$ 52억달러이며 계약 기간은 최종 승인일로부터 22.5년으로 조사됐다. FPSO 마리아 키테리아 프로젝트는 해당사가 페트로브라스 측에 승인을 받은 2번째 프로젝트이며 브라질에서 3번째로 승인받은 프로젝트이다. ▲린슨 홀딩스(Yinson Holdings Bhd) 로고
-
2021-12-16영국 정부에 따르면 2021년 12월 13일 사상 최대 규모의 신재생 에너지 지원제도의 계약을 시작했다. 신재생 에너지로부터 12GW를 확보하기 위한 목적이다.최저 2억 파운드의 예산을 투입하며 4차 라운드는 이전의 1~3라운드에 비해 가장 많은 예산을 배정했다. 이번 공모 기간은 2022년 1월 14일 접수가 마감되며 최종 경매 결과는 2022년 봄-여름에 발표될 예정이다.해상풍력은 2억파운드, 외딴섬 풍력· 조력· 부유식 해상풍력 등의 신흥기술은 7500만파운드, 태양광·육상풍력 등의 기존 기술은 1000만파운드 등이 지원된다.참고로 해상풍력발전 단가는 2015년 1차 라운드와 2019년 3차 라운드 사이에 65%나 하락했다. 기술발전으로 인해 신재생 에너지의 발전 단가가 급격하게 내리면서 경제성이 높아지고 있다.▲정부 홈페이지
-
2021-11-04영국 정부에 따르면 스코틀랜드와 웨일스는 £1억6000만파운드의 정부 자금으로 부유식 해상 풍력 발전단지를 건설할 계획이다.대규모 부유식 해상 풍력 발전단지 등이 새로 조성된다. 새롭게 할당된 자금은 정부의 실질적인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의 추가 성장을 위한 디딤돌이 된다.2030년까지 부유식 해상 풍력 발전단지를 통해 1GW의 에너지를 공급하는 것이 목표다. 부유식 해상 풍력 발전단지를 더 먼 바다까지 건설해 바람이 가장 강한 곳에서 에너지 용량을 더욱 끌어올리려는 것이다.이로써 영국이 차세대 청정 에너지산업의 선두에 서도록 할 계획이다. 부유식 해상 풍력 터빈을 양산하고 바다에 설치할 수 있는 인프라를 개발할 예정이다.국내 산업 중심지에 수천 개의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는 동시에 해외로부터 에너지를 수입할 필요성을 줄일 것으로 기대된다.▲정부 홈페이지
-
2021-03-05일본 정부기관인 자원에너지청(資源エネルギー庁)에 따르면 부유식 풍력발전설비인 '후쿠시마 미래(ふくしま未?)'를 철수할 계획이다. 해당 발전 설비는 후쿠시마현 나라하마치 앞바다 약 20킬로미터 지점에 위치한다. 동일본대지진 이후 2년 반 뒤인 2013년 10월 공개됐다. 세계 최초의 부유식 풍력발전설비 1호기이다. 설치 후 7년째인 2020년 12월 16일 시내 회의를 통해 전체 철수를 결정했다. ▲자원에너지청(資源エネルギ??) 로고
-
영국 글로벌 에너지 기업인 쉘(Shell)에 따르면 아일랜드의 해양 재생에너지 개발업체인 심플리블루에너지(Simply Blue Energy)와 합작으로 남해안에 건설될 부유식 풍력발전단지의 지분 51%를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했다.풍력발전단지의 초기 설치 용량은 300MW이다. 이후 700MW 용량이 더 추가돼 최대 1기가와트의 전력이 생산될 수 있다.이는 80만 가구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전력량으로서 아일랜드 최대 발전소인 머니포인트 발전소(Moneypoint power plant)의 생산량과 동일하다.풍력발전단지는 시각적 영향을 줄이면서 35km~60km 연안에 위치될 수 있다. 고정식 터빈과 달리 부유식 풍력 기술은 심해에 설치될 수 있기 때문이다.양사의 파트너쉽은 심플리블루에너지의 부유식 풍력 트랙 기록·현지 지식과 쉘의 해양 경험, 부유식 풍력 전문 지식/대규모 복합 프로젝트 개발 능력이 결합된 것으로 평가된다.이를 통해 향후에는 보다 다양한 위치에 풍력발전단지를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참고로 정부는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의존도를 높이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UK-SimplyBlueEnergy-Energy▲ 심플리블루에너지(Simply Blue Energy)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