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사이버공격"으로 검색하여,
7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2-09-18일본 정부에 따르면 2022년 9월 6일 러시아 해커집단인 킬넷(KILLNET)이 정부 사이트를 공격했다. 일본 내 SNS 장애도 초래했다. 특히 킬넷은 이번 통신 장애 사건을 자랑하는 글을 텔레그램 메신저에 올렸다. 킬넷은 러시아에 대한 애국을 표명하기 때문에 우크라이나를 지지하고 러시아에 제재를 가하는 일본 정부에 반감을 갖고 사이버공격을 감행한 것으로 판단된다. 킬넷은 대량의 데이타를 전송해 통신 장애를 일으키는 디도스(DDoS) 공격을 감행하는 방식을 선호한다. 현재 4500명 이상의 해커가 킬넷에 참여하고 있다.자체적인 활동지침을 준수한다고 밝히지만 러시아 정보기관과 협력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러시아 정보기관인 연방보안국(FSB)과 군 정보기관인 정보총국(GRU)은 해커집단을 조종해 대양한 사이버 공격을 감행하고 있다.복수의 러시아 매체에 의하면 가상의 사회운동단체인 어나니머스(Anonymous)는 2022년 2월 우크라이나 공격 개시 이후 러시아에 사이버 전쟁을 선언했다. 킬넷은 이에 대항하기 위해 결성된 단체다. 참고로 러시아는 사할린 지역에서 대규모 군사 훈련을 진행했다. 일본 정부는 2차 대전 이후 러시아가 점령하고 있늡 북방 4개 섬을 반환하라고 요구하는 중이다. ▲킬넷(KILLNET)의 텔레그램 채널 소개(출처 : 텔레그램)
-
2018-10-19영국 국가사이버안전센터(NCSC)에 따르면 매주 10건정도의 사이버공격을 방어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영국에 적대적인 국가가 사이버공격을 감행하고 있는 중이다.대부분의 사이버공격은 영국에 적대적인 국가에 의해 지시 혹은 지원받고 있는 해커조직에 의해 수행되고 잇다. 국가사이버안전센터가 2년전에 가동을 시작한 이후 지금까지 1167건의 사이버공격이 발생했다.약 2주 전에 국가사이버안전센터는 러시아의 군사정보기관인 GRU가 사이버공격을 주도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러시아와 영국은 스파이 독살사건 등으로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다.러시아뿐만 아니라 중동의 이슬람국가(IS)와 같은 테러단체를 포함해 다양한 국가가 영국을 대상으로 사이버공격을 진행하고 있다.영국의 국가에 중요한 정보를 탈취하기도 하지만 상업적인 목적으로 정보를 훔친다. 하지만 영국이 받고 있는 사이버공격의 비중은 글로벌 전체의 5.3%에서 2.4%로 하락했다.▲국가사이버안전센터(NCSC) 빌딩(출처 : 홈페이지)
-
글로벌 컨설팅업체 PwC의 세계정보보안조사(GSISS)에 따르면 2017년 싱가포르의 국내기업 중 77%는 지난 1년간 1회 이상 사이버공격이 확인됐다고 밝혔다.그만큼 수많은 기업이 사이버크래킹에 노출돼 있다는 의미다. 이러한 상황에도 기업의 39%는 사이버공격에 대응할 보안시스템을 구축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피해 형태를 보면 기업 중 59%는 민감한 데이터의 훼손 및 불법유출, 45%는 기업운영 시스템의 방해, 40%는 제품품질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현재 국내기업 중 크래커로부터 자기방어가 가능하다고 판단한 곳은 25%에 불과하다. 글로벌 평균치 39%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인 만큼 보안체계가 취약하다.보안전문가들은 과거 인터넷상의 단순한 해킹수법이 현대에 들어서 점차 진화되고 있다고 말한다. 사이버보안이 기업의 새로운 리스크 대응책으로 부상하고 있다.▲PwC 로고
-
글로벌 컨설팅업체 PwC의 세계정보보안조사(GSISS)에 따르면 2017년 싱가포르의 국내기업 중 77%는 지난 1년간 1회 이상 사이버공격이 확인됐다고 밝혔다.그만큼 수많은 기업이 사이버크래킹에 노출돼 있다는 의미다. 이러한 상황에도 기업의 39%는 사이버공격에 대응할 보안시스템을 구축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피해 형태를 보면 기업 중 59%는 민감한 데이터의 훼손 및 불법유출, 45%는 기업운영 시스템의 방해, 40%는 제품품질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현재 국내기업 중 크래커로부터 자기방어가 가능하다고 판단한 곳은 25%에 불과하다. 글로벌 평균치 39%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인 만큼 보안체계가 취약하다.보안전문가들은 과거 인터넷상의 단순한 해킹수법이 현대에 들어서 점차 진화되고 있다고 말한다. 사이버보안이 기업의 새로운 리스크 대응책으로 부상하고 있다.▲PwC 로고
-
▲ 글로벌 컨설팅업체 PwC 빌딩 [출처=홈페이지]글로벌 컨설팅업체 PwC의 세계정보보안조사(GSISS)에 따르면 2017년 싱가포르의 국내기업 중 77%는 지난 1년간 1회 이상 사이버공격이 확인됐다고 밝혔다.그만큼 수많은 기업이 사이버크래킹에 노출돼 있다는 의미다. 이러한 상황에도 기업의 39%는 사이버공격에 대응할 보안시스템을 구축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피해 형태를 보면 기업 중 59%는 민감한 데이터의 훼손 및 불법유출, 45%는 기업운영 시스템의 방해, 40%는 제품품질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현재 국내기업 중 크래커로부터 자기방어가 가능하다고 판단한 곳은 25%에 불과하다. 글로벌 평균치 39%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인 만큼 보안체계가 취약하다.보안전문가들은 과거 인터넷상의 단순한 해킹수법이 현대에 들어서 점차 진화되고 있다고 말한다. 사이버보안이 기업의 새로운 리스크 대응책으로 부상하고 있다.
-
2017-06-30영국 및 미국계 글로벌 대형법률기업 DLA Piper에 따르면 세계적으로 사이버공격을 하는 페트야(Petya)로 알려진 랜섬웨어(Ransomware)가 뉴질랜드의 일부 기업들을 공격할 것으로 전망된다.Petya는 지금까지 덴마크의 운송 및 에너지기업 Maersk, 미국의 제약회사 Merk, 우크라이나의 폐쇄된 체르노빌원자력발전소에서의 방사선 모니터링하는 시스템 등에 사이버공격을 가했다.정부의 컴퓨터위협 대응조직인 CERT는 전체 컴퓨터시스템이 감염되지 않도록 1대를 컴퓨터를 격리하라고 조언했다.▲DLA Piper 홈페이지
-
영국의 글로벌보험사 로이드(Lloyd's)의 자료에 따르면 향후 10년간 오스트레일리아의 사이버공격에 따른 잠재적 위험 비용을 $A 160억달러로 예측했다.로이드는 'City Risk Index 2015-2025'에서 사이버공격에 가장 취약하고 위험한 오스트레일리아의 도시는 시드니이며 그 다음으로 멜버른, 브리즈번, 퍼스, 애들레이드, 캔버라 등의 순서로 전망했다.또한 로이드는 전세계적으로 사이버공격에 따른 위험비용을 $A 2940억달러로 예측했다. 특히 사물인터넷(IoT)의 부상에 따라 사이버 공격 위험은 더욱 커지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로이드(Lloyd's)의 홈페이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