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0
" 상하이"으로 검색하여,
91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11-14▲ 인천항만공사 상하이대표부, 제6회 인천항 상하이 포럼 개최 기념 촬영(인천항만공사 상하이대표부와 주상하이 대한민국 총영사관 및 포럼 참석자들) [출처=인천항만공사]인천항만공사(사장 이경규)에 따르면 2025년 11월12일(수) 상하이대표부가 상하이 구베이(古北, Gubei)에서 주상하이 대한민국 총영사관(총영사 김영준)과 공동 주관으로 '제6회 인천항 상하이 포럼'을 개최했다.중국 상하이에서 개최된 이번 포럼에는 △국적선사 대표단 △상하이한국국제물류협회(SKIFFA, Shanghai Korea International Freight Forwarders Association, 회장 김병철) 회원사 △물류기업 및 화주기업 임직원 등 100여 명이 참석했으며 최신 물류 동향을 공유하고 2026년 한·중 물류 시황 전망 등을 논의했다.▲ 인천항만공사 상하이대표부, 제6회 인천항 상하이 포럼(인천항만공사 상하이대표부 남광현 수석대표 환영사) [출처=인천항만공사]인천항만공사 상하이대표부 남광현 대표는 환영사에서 "이번 포럼을 통해 급변하는 글로벌 물류환경 속에서 2026년 해운시장 전망과 새로운 트렌드를 활용한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하길 바란다"고 말했다.주상하이 대한민국 총영사관 최재하 부총영사는 축사에서 "인천항만공사가 2020년부터 매년 포럼을 통해 물류 분야의 새로운 동향을 전달함으로써 상하이 주재 해운물류 기업들에 큰 힘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인천항만공사 상하이대표부, 제6회 인천항 상하이 포럼(주상하이대한민국총영사관 최재하 부총영사 축사) [출처=인천항만공사]이어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상하이센터 김태일 센터장의 '2026년 해운 물류 시장 전망' 주제를 시작으로 △수출입은행 상하이사무소 박진오 소장 - '중국 저공경제(低空经济)산업의 이해' △상하이 해사대학교 정학빈 교수 - '위험물 이슈 점검 및 대응방안 모색'이 이어졌다.또한 급격하게 변화하는 중국 해운시장 상황, 운임변동, 물동량 감소 등과 관련한 국적선사들의 의견과 대응방안 등을 현장에
-
2025-11-14▲ HMM 선박 [출처=HMM]HMM(대표이사 최원혁)에 따르면 2025년 3분기 매출액은 2조7064억 원, 영업이익은 2968억 원, 당기순이익은 3038억 원을 각각 기록했다.3분기 영업이익률은 11퍼센트(%)로 글로벌 선사 중 상위권을 기록했다. 글로벌 정세 혼란, 공급과잉 등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상황에서도 2025년 1~3분기 누적 영업이익은 1조1439억 원으로 1조 원을 돌파했다.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는 2025년 3분기 평균 1481포인트(p)로 전년 동기 3082p 대비 52% 하락했다. 2024년 3분기는 미국 보호관세 우려로 선행 물동량이 증가했다.반면 2025년 3분기는 미국 보호관세 본격화로 물동량이 급감한 여파다. 특히 미주 노선 해상운임은 서안과 동안 각각 69%, 63% 급감했다.4분기는 전통적인 연말 비수기 진입으로 전반적 시황 약세가 예상된다. 또한 미국의 관세 정책 변화에 따른 불안정한 상황이 지속될 전망이다.항로별 기항지와 투입 선박 조정으로 운항 효율을 최적화하고 냉동 화물, 대형 화물 등 고수익 특수 화물을 적극적으로 유치하며 신규 영업 구간 개발 등을 통해 수익성을 개선할 방침이다.
-
2025-09-16▲ 인천항만공사 김순철 경영부사장이 상하이 자유무역구 방한연수단과 기념사진 촬영 [출처=인천항만공사]인천항만공사(사장 이경규)에 따르면 2025년 9월11일(목) 상하이 자유무역구 방한연수단과 간담회를 실시하고 인천과 상하이 간 항만교류 확대에 공감했다.연수단은 항만의 자유무역단지 조성 및 운영 사례를 벤치마킹하기 위해 인천항을 방문했다. 이날 상호 교류를 위한 간담회, 인천항국제여객터미널 및 내항재개발 현장 시찰 등이 이뤄졌다.간담회에서는 인천항과 상하이항의 현황을 공유하고 수출입 국제물류항으로서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현안에 대한 의견을 나눴다.간담회 후 주이 방한연수단장은 "공공기관 중심으로 운영되는 대한민국의 항만 운영 형태의 효율성에 대하여 깊은 감명을 받았다"며 "가급적 빠른 시일 내에 공사에서도 상하이항을 방문해 상호 발전을 위한 논의를 이어나갈 수 있길 희망한다"고 밝혔다.이에 대해 김순철 인천항만공사 경영부사장은 “양 항만은 서로의 강점을 배움으로써 같이 성장할 수 있고 특히 선진화된 우리나라의 디지털 기반 항만운영 방식이 상하이항의 발전에 작은 도움이라도 되길 바란다”고 화답했다.
-
▲ HMM 선박 [출처=HMM]HMM(대표이사 최원혁)에 따르면 2025년 상반기 매출액은 5조4774억 원으로 전년 동기 4조9933억 원 대비 9.7퍼센트(%) 증가했다.동기간 영업이익은 8471억 원으로 전년 동기 1조514억원 대비 19.4% 감소했다. 당기순이익은 1조2111억 원으로 전년 동기 1조1458억 원 대비 5.7% 늘어났다. 상반기 영업이익률은 15.5%로 글로벌 선사 중 상위권이다.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는 2024년 상반기에 홍해 사태 지속 등 지정학적 이슈로 평균 2319포인트(p) 기록했다. 2025년 상반기에는 미국 보호관세 정책 등 영향으로 평균 1701p로 27% 하락했다. 특히 유럽 노선은 43%, 미주서안노선은 34% 큰 폭 하락했다.2025년 하반기는 관세 유예 기간 종료와 관세 재협상으로 시장 불확실성이 증대할 것으로 예상되며 지역별 수요 변화에 따른 공급망 혼잡이 지속될 전망이다.지역별 수급 변화에 대응한 탄력적 선대 운용, 벌크화물 장기 운송계약 등 안정적 수익 기반 확보, 선박 효율 개선을 통한 비용 절감 등으로 불확실한 시장 상황에 대비할 방침이다.HMM은 2030 중장기 전략을 기반으로 선대 확장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컨테이너선은 9000TEU급 메탄올 연료 친환경 선박 9척 중 잔여 7척의 인도가 2025년 하반기부터 2026년 상반기까지 완료될 예정이다.특히 벌크선은 신조 발주한 선박들이 시장에 투입될 예정이다. 2023년 발주한 총 7척의 자동차운반선(PCTC)이 9월부터 인도되며 다목적선(MPV) 4척, 화학제품선(MR탱커) 2척 등 총 13척의 벌크선을 순차적으로 확보할 예정이다.또한 시장 상황에서 맞춰 경쟁력 있는 중고선을 매입, 벌크선대 확장과 사업 포트폴리오 다변화를 동시에 추진할 계획이다.
-
▲ ‘중국 국제금속성형전시회’ 현대로템 전시관 조감도 [출처=현대로템]현대로템(대표이사 사장 이용배)에 따르면 2025년 6월17일(화)부터 20일(금, 현지시간)까지 4일간 중국 상하이에서 열리는 ‘중국 국제금속성형전시회 2025(MetalForm China 2025)’에 참가한다.국제금속성형전시회는 금속성형 산업의 최신 기술과 장비를 선보이는 아시아 최대 규모의 전시회로 현대로템은 전기차 핵심 부품 생산 설비를 세계 시장에 처음 공개한다. 단조, 스탬핑, 판금 가공 등 금속성형 산업 전반을 아우른다.이번 전시회는 △가공 장비 △금형 △자동화 시스템 △용접 및 접합 기술 △품질 관리 △산업용 로봇 등 6개의 소주제로 구성된다.현대로템은 이번 전시회에서 중국을 비롯한 국내외 완성차 업계와 금속 업계를 겨냥해 자체 개발한 프레스 설비를 소개한다.중국은 전 세계 전기차 시장 점유율 1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전기차용 배터리 80퍼센트(%) 이상을 생산하고 있어 모터나 배터리 제조사들의 금속성형 설비와 공정 자동화 수요가 집중돼 있다.현대로템이 선보이는 적층 프레스는 전기차에 적용되는 고효율 모터 코어를 생산하는 고속, 고정밀 설비다. 모터 코어는 전기차 모터의 주행거리 및 가속 성능을 결정하는 핵심 부품이다.적층 프레스는 얇은 강판을 여러 층으로 겹쳐서 모터 코어를 생산한다. 현대로템은 높은 정밀성을 유지하면서도 분당 최대 300회 성형하는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또한 적층 프레스로 만든 모터 코어 실물도 함께 전시해 생산 과정은 물론 실제 생산품에 이르기까지 모터 코어 제작 과정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했다.배터리 캔 고속 프레스 라인도 전시된다. 배터리 캔 고속 프레스는 전기차 원통형 배터리 캔을 생산하는 설비로 분당 최대 1200개의 4680 배터리 캔을 성형할 수 있다.현대로템은 배터리 캔 고속 프레스 라인의 1차 공정 프레스(커핑 프레스)와 2차 공정 프레스(리드로 프레스)를 연계해 최적의 대량 생산 솔루션을 제공한다.
-
▲ HMM 선박 [출처=HMM]HMM(대표이사 최원혁)에 따르면 2025년 1분기 매출액은 2조8547억 원으로 전년 동기 2조3299억 원 대비 23퍼센트(%)인 5248억 원 증가했다.영업이익은 6139억 원으로 전년 동기 4070억 원 대비 2069억 원인 51% 급증했다. 당기순이익은 7397억 원으로 전년 동기 4851억 원 대비 52%인 2546억원 늘어났다. 영업이익률은 21.5%로 전년 동기 17.5% 대비 4%포인트(p) 증가했다.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는 2024년 1분기 평균 2010포인트(p)에서 올해 1분기 평균 1762p로 하락했다. 올해 초부터 지속 하락해 1분기 말 1300p 수준이다.미국 보호관세 정책으로 인한 무역 갈등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선대 확충, 신규 서비스 확대(대서양, 인도-북유럽), 관세 영향 낮은 지역에 대한 영업 강화 등 물량 증대 노력으로 매출액 및 영업이익이 증가했다.▲ HMM, 2025년 1분기 vs 2024년 1분기 실적 비교 [출처=HMM]미국 국가별 관세 협상 영향 본격화로 수요 측면 불확실성이 심화되고 글로벌 선사 선복량 증대, USTR 중국 해운·조선 견제, 수에즈 운하 통행 재개 여부 등 공급망 변동성 심화로 인한 시장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있다.특히 중국발 미주 물량 감소에 따라 수급 불안정 초래 및 마켓 운임 하향세로 전망된다.HMM은 2023년 발주한 9000TEU급 메탄올 연료 친환경 컨테이너선 9척을 2025년 3월부터 순차적으로 인도받고 있으며 2026년 상반기까지 모두 서비스 투입 예정이다.2030 중장기 계획을 바탕으로 선대 확보, 지역별 수급 변화에 대응한 탄력적 선대 운용, 벌크 부문 고수익 화물 발굴, 디지털라이제이션을 통한 비용 절감 등으로 불확실한 시장 상황에 대비할 방침이다.
-
2025-02-12▲ HMM 상선[출처=HMM]HMM(대표이사 김경배)에 따르면 2024년도 매출은 11조7002억 원, 영업이익 3조5128억 원, 당기순이익 3조7807억 원 실적(잠정)을 공시했다.매출과 영업이익은 코로나 특수시기인 2022년, 2021년에 이은 역대 세 번째다. 영업이익률 30% 기록 등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이 입증됐다. 부채비율은 21% 수준으로 건실한 재무상태 지속됐다.2024년 홍해 사태 등 지정학적 리스크와 미-중구간 물동량 증가로 전 노선에서 운임이 상승했다.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는 2024년 평균 2506p로 2023년 평균 1005p 대비 149% 상승했다(※ 연간 최고점은 2024년 7월 5일 3734p).HMM은 2024년 1만3000TEU 신조 컨테이너선 12척 도입 및 미주항로를 투입했다. 멕시코 신규항로(FLX) 개설, 항로·지역별 수급 변화에 맞춘 최적의 운송 서비스망 구축 등을 통해 수익성 극대화 노력했다.2025년 미국 보호관세 정책으로 인한 무역 갈등과 공급망 재편 가속화 등으로 불확실성 상존한다. 컨테이너선 공급 과잉, 전 세계 교역 위축 등 수급 불균형이 예상된다.HMM은 9000TEU급 메탄올 추진 컨테이너선 9척을 비롯해 LNG 추진선 등 친환경 컨테이너선 도입 지속. 특히 대서양, 인도, 남미 등 향후 성장 가능성이 높은 시장 중심으로 신규 서비스를 확대할 계획이다.2024년 발표한 2030 중장기 전략을 중심으로 선대 확장 및 포트폴리오 다각화, 친환경 규제 대응, 디지털라이제이션 등 경쟁력 강화 방안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
▲ 서울대 해동첨단공학관에서 열린 제32회 로보콘 대회[출처=서울대학교 공과대학]서울대학교(총장 유홍림) 공과대학(학장 김영오)에 따르면 최근 해동첨단공학관에서 기계공학부의 로봇 만들기 프로젝트 수업인 ‘창의공학설계’ 수강생들이 참가한 제32회 로보콘 대회를 개최했다. ‘창의공학설계’의 아이콘인 ‘로보콘’ 대회는 수강생 전원이 수업에서 제작한 로봇으로 팀별 승부를 겨루는 경진대회다.강의와 실습에서 기계 작동 원리 및 설계 원칙을 배운 새내기 학생들은 ‘관악캠퍼스 수해 복구’처럼 매년 주어진 과제에 맞는 로봇을 만들어 미션을 수행하는 시합을 벌인다.1위 팀은 도쿄공업대, 상하이교통대, 싱가폴국립대 등이 참여하는 국제 로보콘 대회 출전권을 얻어 세계 무대에서 실력을 발휘할 기회를 누릴 수 있다.처음으로 ‘다자유도 텔레오퍼레이션(teleoperation) 로봇팔’이 도입된 올해 수업의 수강생들은 2024년 11월29일 열린 제32회 로보콘 대회에서 동일한 모터를 활용해 각기 다른 모양과 기능의 로봇팔을 선보였다.약 60명의 참가자들은 기본 장비에 참신한 아이디어를 더해 더 섬세한 로봇팔, 더 기동력 있는 몸통을 구현하는 데 중점을 뒀다.올해는 ‘흑백요리사’를 주제로 두 팀이 주어진 요리를 만들어서 서빙을 하는 미션으로 시합을 벌였다. 요리사 로봇이 식재료를 담고 장애물을 통과해 서빙 업무를 수행하는 치열한 대항전을 치룬 결과, 24학번 학생 5명으로 구성된 ‘조립왕’ 팀이 우승의 영예를 안았다.우승팀의 리더를 맡은 정재원 학생은 “72시간 동안 자지 않고 버틸 수 있다는 걸 이번 대회를 준비하며 처음 알았다”고 로보콘 준비에 쏟은 노고를 돌아보며 “경기 초반에 전선을 정리하지 못한 초보적인 실수로 로봇을 처음부터 재조립했는데 그 경험 덕분에 유사한 상황에서 침착하게 대응한 점이
-
2024-09-23▲ SBT 회사 전경[출처=원텍]글로벌 헬스케어 전문기업 원텍(대표이사 김종원, 김정현)에 따르면 2024년 9월18일(수요일) 중국 상하이에 위치한 SBT((Shanghai Best Tech) Ultrasonic Technology CO., Ltd.(이하 SBT)와 장쑤성 우시에 합작법인(JV)을 설립하기로 했다.원텍은 SBT와 공동 연구개발 및 기술이전을 위한 협력 계약을 체결했으며 연구개발(R&D) 플랫폼을 구축할 계획이다. 양사는 중국 현지에 자본금 1000만 위안(한화 약 19억 원) 규모의 합작 공장을 설립하고 주주 구성은 SBT가 70%, 원텍이 30%로 참여할 예정이다.피코케어 450(Picocare 450), 파스텔(Pastelle)을 향후 10년간 총 2350대 생산·판매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중장기적으로는 추가적인 공동 연구와 이미 허가한 제품의 현지 생산을 통해 중국 내수시장을 확대할 계획이다.이번 협약에 따라 원텍은 자사의 주요 제품인 피코케어 450(Picocare 450), 파스텔(Pastelle) 레이저 장비의 기술 이전을 추진해 현지화를 진행할 예정이다.원텍은 현지 생산을 통해 원가 절감과 생산 능력 확대는 물론 현지 기업과의 공동 마케팅을 통해 중국 시장 내 매출 확대를 기대하고 있다.이번 기술 이전의 대가로 4000만 위안(한화 약 75억 원)을 받을 예정이다. 현지 생산을 위한 핵심 부품 수출로도 추가 수익도 기대된다.참고로 SBT는 2007년 설립된 초음파 장비 전문 기업으로 초음파 용접 및 절단 장비, 신에너지 배터리, 타이어, 자동차 와이어 빔 등 다양한 산업에 자동화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2022년 상하이거래소 STAR Market에 상장한 SBT는 이번 합작을 통해 신규 사업 확장과 매출 성장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초음파 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분야에서 시너지 창출을 기대하고 있다.
-
▲ 스리랑카 HNB 보험(HNB Assurance PLC), "스리랑카에서 가장 뛰어난 여성 친화적 직장" 선정돼[출처=Satyn잡지 홈페이지] 2024년 9월9일 서남아시아 경제는 인도와 스리랑카를 포함한다.인도 아다니 엔터프라이즈(AEL)는 싱가포르 기반 아다니 글로벌 Pte(AGPTE)를 통해 자회사 AERCL를 중국 상하이에 설립 및 등록했다.스리랑카 HNB 보험(HNB Assurance PLC)는 AICPA와 CIMA가 주관한 "Satyn 여성 친화적 직장 어워즈 2024"에 2년 연속 수상했다.◇ 인도 아다니 엔터프라이즈(AEL), 중국 상하이에 자회사 AERCL 설립인도 아다니 엔터프라이즈(Adani Enterprises Ltd, AEL)는 2024년 9월2일 중국 상하이에 자회사 AERCL(Adani Energy Resources (Shanghai) Co.)를 설립했다.싱가포르를 기반으로 한 아다니 글로벌 Pte(Adani Global Pte, AGPTE)에 의해 설립된 AERCL은 공급망 관리 시스템을 운영하게 된다.AEL은 광산, 도로, 공항, 데이터센터, 수자원 인프라 사업을 수행하는 대기업이다. 최근 케냐 나이로비에 자회사 AIP(Airports Infrastructure PLC)를 설립해 해외로 사업을 확장하고자 한다.◇ 스리랑카 HNB 보험(HNB Assurance PLC), "스리랑카에서 가장 뛰어난 여성 친화적 직장" 선정돼스리랑카 HNB 보험(HNB Assurance PLC)이 "스리랑카에서 가장 뛰어난 여성 친화적 직장" 상을 2년 연속으로 받았다.Satyn 여성 친화적 직장 어워즈 2024(Satynmag Women Friendly Workplace Awards 2024)는 AICPA 및 CIMA가 주관하고 있으며 여성 월간 잡지 Satyn와 함께하고 있다.HNB 보험은 in.she 이니셔티브로 하여금 여성 직원 대상 웰빙 프로그램을 실행한 바 있다. 더해 성평등 캠페인을 추진하고 여성이 보험업계 내에서 경력을 쌓는
1
2
3
4
5
6
7
8
9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