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
" 선박용"으로 검색하여,
16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3-14▲ 한화, 수소연료전지 글로벌 인증 획득[출처=한화에어로스페이스]한화에어로스페이스(대표이사 김동관, 손재일)에 따르면 2025년 3월12일 세계 권위의 선급 협회인 DNV로부터 AIP(Approval In Principle, 개념승인) 인증을 받았다.세계 최고 수준의 ‘200kW(킬로와트)급 선박용 수소연료전지’ 인증을 획득해 친환경 무탄소 선박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한다.2024년 말 세계 최초로 개발한 액침냉각 에너지저장장치(ESS)와 함께 세계 최고 수준의 무탄소 동력원을 잇달아 확보한 것이다.AIP는 수소연료전지 등 신기술이 적용된 선박을 제작할 때 기본설계 단계부터 기술 적용의 안정성과 국제 규정 준수 여부 등을 검증해 주는 절차다.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2024년 KR(한국선급) AIP 인증에 이어 세계 최고 수준의 DNV 인증까지 획득하면서 글로벌 시장에서 선박용 수소연료전지의 본격적인 판매가 가능해졌다.이번에 DNV 인증을 받은 수소연료전지는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PEMFC,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다.저온에서도 발전이 가능해 안정적이고 에너지효율이 높아 선박 등 운송용에 적합하다. 또한 병렬제어 기능으로 MW(메가와트) 단위의 용량 확장이 가능해 중대형 선박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
▲ 가와사키중공업 CEO[출처=홈페이지]중국 상무부(商务部)는 2024년 1~7월 중국-베트남간 양국 교역액은 US$ 1450억7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20.9% 증가했다고 밝혔다. 샤오미그룹(小米集团)에 따르면 2024년 2분기 총 수익은 889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32.0% 증가했다.일본 국토교통성(国土交通省)은 가와사키중공업(川崎重工業)이 선박용엔진 연비성능 데이터를 조작했다는 혐의로 고베시 공장에 출입 조사를 시작했다.도요타자동차(トヨタ自動車)는 인증 부정 발각으로 생산을 정지했던 야리스 크로스(ヤリスクロス, YARIS CROSS) 등 3개 차종 생산을 9월2일부터 재개한다.◇ 중국 상무부(商务部), 2024년 1~7월 중국-베트남간 양국 교역액은 US$ 1450억7000만 달러중국 상무부(商务部)에 따르면 1~7월 중국-베트남간 양국 교역액은 US$ 1450억7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20.9% 증가했다.중국은 베트남 농산물의 최대 수입국이기도 하며 베트남 두리안, 용과 등이 중국 소비자들에게 매우 인기가 높다.2024년 1~7월 중국 기업의 베트남 직접 투자액은 18억4000만 달러로 급격한 성장세를 나타냈다. 베트남 하노이 경전철 2호선, 태양광 및 풍력 발전 프로젝트 등에도 투자하고 있다.중국 샤오미그룹(小米集团)에 따르면 2024년 2분기 총 수익은 889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32.0% 증가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총 이익은 183억9000만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29.9% 늘어났다. 조정 순이익은 62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20.1% 증가했다.이 중 휴대전화 xAIioT 핵심 사업 수익은 825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23% 확대됐다. 스마트 전기자동차를포함한 혁신사업 부문 총 수익은 64억 위안, 이 중 스마트 전기자동차 수익은 62억 위안을 각각 기록했다.중국 베이징시 지방금융관리국(北京市地方金融管理局)에 따르면 2024년 9월12일~16일 총 5일간 202
-
▲ 일본 국토교통성(国土交通省) 빌딩 [출처=홈페이지]일본 국토교통성(国土交通省)에 따르면 엔진 제조업체인 IHI원동기(IHI原動機)가 2003년 이후 출하한 4361대 엔진의 연료 소비율 데이터를 변조한 것으로 드러났다.IH원동기는 2024년 4월24일 국토교통성에 엔진 시운전 후 거래처에 보고하는 성적서에 실제 측정된 연료 소비율과 다른 수치를 기재했다고 보고했다.2003년 이후 국내외로 출하한 선박용 및 육상용 엔진은 총 5500대로 집계됐다. 이 중 4361대에서 데이터의 개조가 행해졌다. 2058대는 거래처와 합의한 값을 채우지 않았다.IHI원동기의 모회사인 IHI는 특히 해외 선박용 엔진 일부에서는 배기가스의 배출량이 기준을 초과할 가능성마저 제기된다고 밝혔다. 발전장비나 철도차량 등에 사용하는 육상용 엔진에서도 데이터 변조가 있었다.1980년대 후반부터 연비 데이터를 잘 보여주거나 데이터의 편차를 조정하기 위해 변조했다는 증언마저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국토교통성은 IHI에 2003년 이전에 부적절한 행위가 있었는지, 변조가 행해진 엔진을 탑재하고 있는 선박에 법령 위반 가능성이 없는지 등을 확인하라고 지시했다.참고로 IHI는 2019년 자격이 없는 직원이 항공기의 엔진, 부품 등을 검사하는 등 부정행위가 발각된 사례가 있다. 배기가스 문제 외 엔진의 안전성에 대한 우려는 없다는 입장이다.
-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원장 이상훈)에 따르면 2021년 12월 '선박용 액화수소저장탱크 시험절차'에 관한 표준이 세계 최초로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신규작업표준안으로 채택됐다.이번에 제안한 국제표준안은 선박용 액화수소 저장탱크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평가하기 위한 시험 방법 및 절차를 규정했다.액화수소 운반선 상용화에 필요한 핵심 표준으로 화재 시험, 압력 시험, 용접부 시험, 누출 시험, 비파괴 검사, 육안 및 도면 검사 등의 방법과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ISO에 제안한 국제표준안은 신규작업표준안(NP, New Proposal)을 결정하는 ISO 투표에서 미국, 영국, 독일, 중국 등 회원국 대다수의 찬성을 이끌어 냈다. 투표일정은 2021.9.28~12.21이었다.수소 선박 국제표준의 선점을 통해 고부가 친환경 선박의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수소경제를 선도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된 셈이다.국제표준 제정절차는 신규작업표준안(NP) → 작업반초안(WD) → 위원회안(CD) → 국제표준안(DIS) → 최종국제표준안(FDIS) → 국제표준(IS) 제정 등의 순으로 이뤄진다.신규작업표준안(NP) 채택을 위해서는 기술위원회 투표 결과 정회원국 3분의 2 이상의 찬성, 5개국 이상의 전문가 참여 등 2개 조건을 모두 만족해야 한다.국가기술표준원의 국가표준기술력향상사업을 통해 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KOMERI)이 표준안 개발을 주도했다. 또한 KOMERI 정지현 선임연구원이 국제 프로젝트팀 리더를 맡아 국제표준 제정 절차를 이끌어 나갈 예정이다.▲ hydro tech▲수소 경제 흐름도(수소 기술개발 로드맵(‘19.10, 관계부처합동))액화수소는 기체수소보다 저장·수송 시 경제성과 안전성이 우수하다. 기체수소 대비 액화수소의 부피가 800분의 1에 불과해 운송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경제성이 뛰어나다.기체수소의 경우 고압으로 저장해야 되는 반면 액화수소는 -253°C에서
-
2017-10-11일본 철강업체인 고베제강소(神戸製鋼所)에 따르면 2017년 10월 조선용 용접로봇 시스템을 개발했다. 조선기업은 숙련된 기술자 부족으로 인해 생산 확대에 차질이 생기고 있기 때문이다.고베제강소는 조선기업의 생산성 향상 요구에 대응해 사업 확대로 연결할 계획이다. 로봇 시스템은 자사 개발 소프트웨어, 소형 로봇을 조합해 만든 것으로 용접 작업시간을 기존 대비 20% 줄인 것이 특징이다.소프트웨어의 경우 용접 시공 노하우와 ICT(정보통신기술)기술을 활용해 3차원 CAD로 작성된 설계도를 자동적으로 용접동작 등 프로그램을 작성할 수 있다.새로 개발한 용접 로봇은 기존 로봇보다 무게를 80% 줄였다. 좁은 장소의 작업도 가능하기 때문에 용접 효율이 높아질 것으로 판단된다. 참고로 판매가격은 1개 시스템당 약 1억6000만엔이다.▲고베제강소(神戸製鋼所) 홈페이지
-
일본 히타치조선에 따르면 중국 장쑤성 전장시에 있는 중촨동리(中船动力有限公司)와 합작회사 전장중촨히타치조선기계의 신공장으로 이전을 완료했다.선박용 엔진부품과 산업기계용 강구조물을 생산하는 기업으로 부지면적은 1만2000평방미터에서 4만2000평방미터로 늘어났다. 건축면적은 8000평방미터에서 1만6000천평방미터로 2배 확장됐다.전장중촨히타치조선기계는 공장이전을 계기로 추가로 설비를 도입하고 중 국내 사업을 확대해 나가기로 결정했다. 선박엔진 부품과 금속제품, 선박외 금속 제품의 제조사업 등을 영위하고 있다.▲ Japan_Hitachi Zosen_Homepage▲일본 히타치조선(日立造船) 홈페이지
-
일본 선박제조업체인 미쯔이조선(三井造船)은 2016년 11월 35억엔을 투자해 선박용 대형엔진의 양산체제를 정비한다고 발표했다.최근 선박의 수요 침체로 엔진의 수주 환경이 악화되고 있지만 컨테이선의 대형화가 진행되면서 대형 엔진의 수요는 성장할 것으로 판단했기 때문이다. 미쯔이조선의 선박용 엔진 국내 점유율은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
일본 선박제조업체인 히타치조선(日立造船)은 2016년 10월 중유 및 액화천연가스(LNG)를 연료로서 구분해 사용하는 선박용엔진을 개발한다고 발표했다.세계적으로 강화되고 있는 선박의 환경규제에 대응하는 제품으로 수주를 확보하는 것이 목표이다. 신엔진은 중유의 소비를 대폭으로 줄여 질소산화물(NOx)등의 배출을 억제한다.
-
▲ 일본 선박업체인 닛폰유센(日本郵船) 소유 선박 이미지 [출처=홈페이지]일본 선박업체인 닛폰유센(日本郵船)은 2016년 9월 유럽에서 미쓰비시상사 및 프랑스에너지업체와 연계해 선박용 액화천연가스(LNG) 공급 사업을 개시한다고 발표했다.선박의 환경규제 강화를 배경으로 대기오염물질의 배출이 적은 LNG는 선박용 연료로서 높은 수요가 예상되고 있기 때문이다. 2020년에는 700만톤의 수요가 전망되며 유럽을 시작으로 연 20~30만톤 공급을 계획하고 있다.
-
일본 기계장치제조업체인 가와사키중공업(川崎重工業)은 2016년 8월 액화천연가스(LNG)의 선박용 대용량 연료탱크를 개발했다고 발표했다. 용량을 기존 대비 최대 5배까지 확대했다.유황산화물(SOx) 등의 환경규제강화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중유를 연료로 하는 배에서 환경부하가 적은 LNG연료선으로 변경하는 움직임이 시작되고 있다. 가와사키중공업은 자사에서 건조하는 LNG연료선에 신형탱크를 탑재한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