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성능평가"으로 검색하여,
3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 2025년도 원전 계통 및 기기 성능평가 워크숍 개최 [출처=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원장 임승철, 이하 KINS)에 따르면 20265년 11월6일(목)부터 7일(금)까지 2일간 대전 유성 호텔인터시티에서 「2025년도 원전 계통 및 기기 성능평가 워크숍」을 개최한다.동 워크숍은 원자력 및 유관기관 실무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원전 계통 성능평가 분야의 최신 동향 및 규제 방향을 공유하고 규제요건의 적용 현황, 문제점 및 개선 방향 등에 대해 자유로운 의견 교환하는 토론의 장으로 올해 30회째를 맞이했다.이번 워크숍에는 KINS, 한국수력원자력(KHNP) 등 유관기관의 전문가들이 모여 가동중시험 규제지침 개정사항을 비롯해 가동중시험 현안사항 뿐만이 아니라 정비규정 규제 방향, 정비규정 및 가동중정비 준비현황 등에 대해서도 논의할 예정이다.첫째날인 6일(목)에는 KINS 김윤일 원자력안전본부장의 개회사를 시작으로 △가동중시험 규제지침 개정사항 △ 가동중시험계획서 인허가 경험사례 △가압기 파일럿구동안전방출밸브(POSRV) 현안 사례 △원전 안전성 증진을 위한 2025년 가동중시험(IST) 워킹그룹 활동 △정비규정(제도화 및 검사 사례) △정비규정 및 가동중정비 이행현황 및 최적화 방안 등 6개 주제 발표와 질의응답 및 종합토의가 이뤄진다.둘째날 7일(금)에는 △계통 성능평가 관련 규제사례 △운전제한조건(LCO) 점검요구사항 최신 검토사항 등 2개 주제 발표 후 종합토의가 진행될 예정이다.KINS 김윤일 본부장은 인사말을 통해 “본 워크숍이 원전 계통 및 기기 성능평가와 관련된 규제요건 및 기술기준의 적용과 이행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을 적시에 파악하고 합리적인 해결책을 모색하는 데 큰 도움이 되길 바란다”며 “원자력시설의 여러 분야에서 안전한 운영과 관리를 위해 부여된 소명을 다하고 계시는 모든 분들의 앞날에 건승을 기원한다”고 밝혔다.
-
최근 국내외에서 교량의 바닥판 노후화로 인한 사고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여름철 폭우로 인도와 중국에서 대형 교량이 붕괴되며 사망자도 늘어나고 있다.교량이 무너지는 주된 원인은 바닥판 열화, 빈번한 제설재 사용, 중차량 통행 증가 등 다양한 원인이 지목된다. 열화된 바닥판으로 우수와 제설재의 침투로 인해 손상의 속도가 가속되고 있는 실정이다.바닥판 캔틸레버 전체가 붕괴되거나 방호벽 하면으로 우수 침투에 의한 캔틸레버 끝단이 붕괴된다. 교량 붕괴를 막기 위한 연구 결과를 소개하고자 한다.논문의 제목은 '프리캐스트 교량 바닥판 구조성능평가를 위한 실험적 연구(An Experimental Study on the Structural Performance Evaluation of Precast Deck)'로 금오공대 김도연 학생과 장일영 교수 (jbond@kumoh.ac.kr)가 발표했다.장일영 교수는 국립금오공대 토목공학과 교수로 '한국재난정보학회' 평생회원이다. 김도연 (y30n13@gmail.com) 연구원은 동 학회의 정회원으로 같은 대학 부설 건설기술연구소 소속다.◇ 기존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바닥판에 물끊기 블록을 부착해 오염 물질이 바닥판 하부에 침투할 수 없도록 설계프리캐스트 바닥판(Precast Deck)은 교량 공사에서 시간, 비용 및 품질면에서 뛰어난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공장에서 미리 제작한 제작판을 현장에서 시공하는 방식이다.기존의 현장 타설 방식 대비 공사 기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고 현장 작업 시간이 줄어들어 외부 환경요인에 의한 공사 지연을 줄이고 전체 공정 관리를 더욱 효율적으로 만들 수 있다.또한 공장에서 미리 제작한 바닥판은 재료의 품질과 제작의 정밀도가 철저히 관리되어 품질이 일정하고 구조적 성능이 우수하다. 최근 바닥판 노후화로 인한 사고가 증가하고 있으며, 열화된 바닥판으로 우수 및 제설제가 침투하여 손상의 속도가 가속화되고 있는 실정이다.특히 바닥판에 FRP, GFRP 등 알칼리
-
2016-05-16일본 후지쓰연구소(富士通研究所)는 2016년 선박관련 빅데이터를 활용, 분석해 실제 해역에서 연료소비 및 속도 등 선박의 성능을 5% 이하의 오차로 정밀하게 추정 가능한 기술을 개발했다. 선박의 성능평가, 설계관련 피드백, 선박내비게이션 등에 활용해 연비개선시킬 목적이다.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