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7
" 소재"으로 검색하여,
167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년 11월11일 유럽 경제동향은 영국, 프랑스, 아일랜드를 포함한다. 영국 신재생에너지 업체는 스코틀랜드 해안의 심해 부유식 풍력발전소의 소유권을 100% 취득했다.네덜란드 반도체업체는 프랑스에서 인공지능(AI) 기반의 무인 편의점을 오픈했다. 계산원과 계산대가 없으며 고객이 제품을 구입하면 월급에서 대금을 차감한다.아일랜드 더블린 소재의 사무용 빌딩이 2018년 매매 가격의 절반에도 미치는 못한 금액에 거래됐다. 더블린의 임대 수요가 좋지 않은 상황이라 지역의 부동산 시장에 찬바람이 불고 있다.▲ 아일랜드 더블린 소재 넘버 2 더블린 랜딩(No 2 Dublin Landings) 빌딩 이미지 [출처=영국 부동산 업체 세빌스(Savills 홈페이지]◇ 영국 스코티시파워(ScottishPower Renewables), 심해부유식 픙력발전소인 마람윈드(MarramWind)의 소유권 100% 획득영국 신재생에너지 업체입 스코티시파워(ScottishPower Renewables)는 심해 부유식 픙력발전소인 마람윈드(MarramWind)의 소유권을 100% 획득했다고 밝혔다.조인트벤처 파트너입 쉘(Shell)이 사업권을 포기했기 때문이다. 애버딘셔 북동쪽 해안에서 75킬로미터(km)로 떨어진 심해에 위치한 마람윈드는 잠재적으로 3기가와트(GW) 발전용량을 보유하고 있다.350만 명의 가정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으며 세계에서 최초로 상업적 규모를 갖춘 심해 부유식 풍력발전소다. 사업파트터였던 쉘은 조인트벤처로 운영하던 챔피온윈드 프로젝트의 소유권을 완전하게 차지했다.◇ 네덜란드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STMicroelectronics), 프랑스 크롤에 유럽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무인 편의점 오픈네덜란드 반도체 회사인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STMicroelectronics)은 프랑스 남부 도시인 크롤에 유럽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무인 편의점을 오픈했다고 밝혔다.회사의 공장 내에 위치한 무인 편의점에는 계산원이나 계산대가 없으
-
2025-11-11▲ 아일랜드 더블린 소재 넘버 2 더블린 랜딩(No 2 Dublin Landings) 빌딩 이미지 [출처=영국 부동산 업체 세빌스(Savills 홈페이지]영국 글로벌 부동산업체인 세빌스(Savills)에 따르면 아일랜드 더블린 소재 넘버 2 더블린 랜딩(No 2 Dublin Landings) 빌딩의 소유주가 독일 투자자로 바뀌었다.독일 투자자가 인수한 금액은 €5000만 유로로 2018년 거래된 1억650만 유로의 50%에도 미치지 못했다. 2024년 오피스 빌딩의 공정 가격은 6000만 유로로 독일 지역 대출은행인 헬라바(Helaba)가 대출해준 금액보다 적었다.빌딩을 매각한 기업은 한국의 부동산 투자업체인 JR투자운용(JR AMC)과 하나금융투자(Hana Financial Investment)이며 2018년 독일 자사운용사인 칸암그룬드(KanAm Grund)로부터 인수했다.넘버 2 더블린 랜딩은 10만500스퀘워피트(sq ft) 규모의 빌딩이며 글로벌 공유 오피스업체이 위워크(WeWork)가 538만 유로에 임대했었다. 하지만 2008년 창업한 위워크는 2023년 말 미국에서 파산하며 투자 가치가 훼손됐다.위워크는 임대료를 25.7% 낮추고 사용 공간도 75%로 줄이는 대신에 임대 기간은 2038년까지 연장했다. 하지만 더블린 시내를 조망할 수 있는 펜트하우스는 임차인을 구하지 못하고 빈채로 남아 있다.참고로 하나금융투자는 2022년 7월 하나증권으로 사명을 변경했다. 대한투자신탁은 2006년 대한투자신탁증권, 2003년 대한투자증권으로 이름을 바꿨다가 2005년 하나금융지주의 자회사로 편입됐다.2007년 하나대투증권, 2015년 하나금융투자로 회사 이름을 변경했다. 대한투자신탁은 1977년 한국투자공사를 해체하며 설립됐으며 1981년부터 국제투자신탁 업무를 시작했다.1986년 미국 뉴욕, 1995년 영국 런던에 사무소를 각각 오픈했다. 1991년 포도종합영업시스템을 가동했고 1993년 대여금고 업무를 개시했다. 1995년 투자자문업을 시행하는 등
-
2025-11-06▲ 한화그룹 본사 전경 [출처=한화그룹]한화솔루션(대표이사 김동관, 남정운, 박승덕)에 따르면 2025년 3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은 3조3644억 원, 영업손실은 74억 원을 각각 기록했다.사업 부문별로 보면 신재생에너지 부문 매출액은 1조7515억 원, 영업이익은 79억 원을 기록했다. 태양광 모듈 판매 감소에도 불구하고 미국 주택용 에너지 사업 확대, 개발 자산 매각 및 EPC 매출 증가로 흑자 기조를 이어갔다.케미칼 부문 매출액은 1조1603억 원, 영업손실은 90억 원을 각각 기록했다. 기초 원료 가격이 하락했지만 주력 제품의 판매가격이 견조세를 보이면서 스프레드가 확대되고 적자 폭이 줄었다.첨단소재 부문 매출액은 2579억 원, 영업이익은 36억 원을 각각 기록했다. 경량 복합 소재 주요 고객사의 하계 운휴 영향에도 태양광 소재의 저수익 시장 판매 조정, 미국 공장 원가 구조 개선을 통해 흑자를 유지했다.정원영 한화솔루션 최고재무책임자(CFO)는 “4분기 신재생에너지 부문은 미 세관의 공급망 점검 등 통관 규제 강화 기조로 미국 모듈 공장 저율 가동 및 판매량 감소가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케미칼 부문은 정기보수, 계절성에 따른 수요 부진으로 적자 폭이 다시 확대될 것이다”고 밝혔다.
-
2025-11-06▲ 한화그룹 본사 전경 [출처=한화그룹]한화솔루션(대표이사 김동관, 남정운, 박승덕)에 따르면 한화첨단소재를 포함한 정기 임원 인사를 단행한다. 이번 인사를 통해 1980년대생(김태환, 백승환)을 비롯해 총 11명의 신임 임원이 위촉됐다.한화솔루션은 기술, 사업 등 현장 중심 인사를 강화하고 성과를 기반으로 성장 잠재력을 갖춘 젊은 임원의 과감한 발탁을 통해 위기 극복을 위한 혁신을 도모하고 지속 성장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화솔루션 정기 신규 임원 인사 명단(가나다 순)▶ 한화솔루션(총 10명)△김동민 △김태환 △모윤환 △백승환 △신석용 △이동훈 △이병윤 △이재정 △이홍렬 △임세훈▶ 한화첨단소재(총 1명)△김명원
-
▲ 세아그룹 본사 전경 [출처=세아그룹]세아베스틸지주(대표이사 김수호, 이태성)에 따르면 2025년 3분기 연결 기준 잠정 매출액은 9295억 원, 영업이익 267억 원을 기록했다.주요 자회사(세아베스틸, 세아창원특수강, 세아항공방산소재)의 적극적 영업활동 추진을 통한 판매량 확대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YoY 4.8퍼센트(%)↑)이 증가했다.중국산 저가 특수강봉강 제품의 국내 유입 지속 및 주요 전방산업 수요 둔화가 심화되고 있다. 세아창원특수강·세아항공방산소재의 항공·방산향 고부가가치 소재의 전략적 비중 확대로 전년 동기 대비 영업이익(YoY 9.5%↑)이 증가했다.특히 구조적 성장세에 진입한 글로벌 항공·방산 시장에 고강도 알루미늄 소재를 공급하는 세아항공방산소재는 3분기 누적 기준 창사 이래 최대 영업실적(매출액 989억 원, 영업이익 203억 원, 영업이익률 20.6%)을 경신했다.전분기 대비 주요 전방 산업 부진이 지속되는 가운데 계절적 비수기로 인한 조업일수 감소 및 하계 전력비 증가 등 비우호적 경영환경에 따라 전분기 대비 매출액(QoQ 4.0%↓), 영업이익(QoQ 39.9%↓)이 감소했다.세아베스틸은 개별 기준 특수강 전방산업의 수요 둔화에도 적극적 영업 활동을 통해 판매량 증가하면서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YoY 4.8%↑)이 증가했다.다만 중국산 저가 수입재 유입 지속으로 인한 국내 특수강봉강 시장 잠식, 원부재료 가격 약세에 따른 판매단가 인하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영업이익(YoY 65.4%↓)이 감소했다.중국산 특수강봉강 국내 유입량은 2024년 3분기 15만2884톤에서 2025년 3분기 16만1873톤으로 늘어났다.건설·기계·석유화학 등 전방산업 수요 부진 심화 및 하계 휴가에 따른 조업일수 감소가 판매량 하락으로 이어져 전분기 대비 매출액(QoQ 8.3%↓), 영업이익(QoQ 79.3%&
-
2025-11-04▲ LG화학, 중국 시노펙과 소듐이온전지 소재 공동개발 협약 체결 [출처=LG화학]LG화학(대표이사 신학철 부회장)에 따르면 2025년 10월30일(목) 중국 시노펙과 소듐이온전지(Sodium-ion Battery, SIB) 핵심 소재 개발을 위한 공동개발 협약을 체결했다.중국 최대 종합 에너지·화학 기업 시노펙(SINOPEC)과 손잡고 차세대 전지소재 개발에 나선다. 시노펙(Sinopec)은 중국 최대 규모의 종합 에너지·화학 기업이다. 석유·가스 탐사 및 개발, 정유, 화학, 신에너지, 신소재 사업을 아우른다.이번 협약으로 양사는 소듐이온전지의 핵심 소재인 양극재와 음극재 등을 공동개발하고 안정적인 공급망 구축과 원가 경쟁력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소듐이온전지는 리튬이온전지에 비해 자원 접근성이 뛰어나고 가격 경쟁력이 우수하면서도 리튬인산철(LFP) 전지보다 저온에서 성능 저하가 적다는 장점이 있다.또한 기존 리튬이온전지보다 안전성과 충전 속도가 높아 글로벌 시장에서 차세대 전지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시장조사기관에 따르면 소듐이온전지 시장은 2025년 10기가와트시(GWh)에서 2034년 292GWh 규모로 연평균 약 45퍼센트(%)의 고성장이 예상된다.특히 중국은 2030년까지 전 세계 소듐이온전지 제조 물량의 90%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는 주요 생산 거점으로 주목받고 있다.LG화학과 시노펙은 이번 공동개발을 통해 중국 등 글로벌 에너지저장장치(Energy Storage System, ESS) 및 보급형 EV 시장을 타깃으로 소듐이온전지의 사업 모델을 다각화하고, 향후 친환경에너지 및 고부가 소재 분야로 협력 범위를 확대할 예정이다.한편 시노펙(Sinopec)은 중국 최대 규모의 종합 에너지·화학 기업 중 하나로, 석유·가스 탐사 및 개발, 정유, 화학, 신에너지, 신소재 사업을 아우르는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최근 시노펙은 녹색·청정 개발 전략을 전면적으로 시행하며,
-
2025-11-03▲ LG화학 본사 전경 [출처=LG화학]LG화학에 따르면 2025년 3분기에 연결기준 매출액은 11조1962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3퍼센트(%) 감소했다. 또한 전분기 대비 1.9% 줄어들었다.동기간 영업이익은 6797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8.9% 증가했으며 전분기 대비 42.6% 늘어났다. 사업 부문별 구체적인 3분기 실적 및 4분기 전망은 아래와 같다.석유화학 부문은 매출 4조4609억 원, 영업이익 291억 원을 기록했다. 미국 관세 영향 및 전방산업 수요 둔화로 전 분기 대비 매출이 감소했으나 원료가 하락에 따른 스프레드 개선과 비용 절감 노력 등으로 흑자 전환했다. 4분기는 글로벌 수요 부진 지속으로 스프레드 축소 및 대산공장 정기 보수에 따른 기회 손실이 예상된다.첨단소재 부문은 매출 8382억 원, 영업이익 73억 원을 기록했다. 미국 전기차 구매 보조금 종료에 따른 고객사의 보수적인 재고 운영으로 전지재료 출하가 감소했으나 전자소재 및 엔지니어링소재의 고부가 제품 매출과 수익성은 견조했다. 4분기는 전지재료 고객사의 연말 재고 조정 및 전자소재의 계절적 비수기 영향으로 매출 감소가 전망된다.생명과학 부문은 매출 3746억 원, 영업이익 1006억 원을 기록했다. 희귀비만치료제라이선스아웃 잔여 계약금 수취로 매출과 영업이익이 증가했다. 4분기는 일회성 라이선스아웃 수익 기저효과 및 R&D 비용 증가로 수익성 하락이 전망된다.자회사 에너지솔루션은 매출 5조6998억 원, 영업이익 6013억 원을 각각 기록했다. 미국 전기차 구매 보조금 종료 등 전기차 수요 약세가 지속됐지만 북미 에너지저장장치(Energy Storage System, ESS) 및 소형전지 신제품 출하량 증가와 전사의 비용 절감 노력 등으로 손익이 개선됐다.4분기는 정책 변화에 따른 북미 전기차 수요 둔화 및 유럽 내 가격 경쟁 심화 기조가 유지될 전망된다. 신규 제품 라인업을 기반으로 수주 확보 및 적극적인 북미 ESS 수요 대응을 통한 시장
-
2025-10-28▲ 현대자동차그룹, 도레이그룹과 전략적 공동 개발 계약 체결(첫 번째줄 왼쪽부터 현대차그룹 GSO본부장 김흥수 부사장, 도레이그룹 테라다 미키 복합재료사업본부 부문장) [출처=현대자동차그룹]현대자동차그룹(회장 정의선)에 따르면 2025년 10월24일(금) 도레이그룹과 전략적 공동 개발 계약(Strategic Joint Development Agreement)을 체결했다.이날 체결식은 서울 양재동 현대차그룹 본사 사옥에서 열렸으며 현대차그룹 GSO(Global Strategy Office) 본부장 김흥수 부사장, 기초소재연구센터장 홍승현 상무, 도레이그룹 테라다 미키 복합재료사업본부 부문장, 도레이첨단소재 김영섭 사장 등 양사 관계자들이 참석했다.2024년 4월 도레이그룹과 모빌리티 성능 향상 및 안전성 확보를 위해 탄소섬유 강화 플라스틱(CFRP) 등 고성능 복합소재 공동 개발에 대한 포괄적 협력 계약(Master Agreement)을 맺었다.이후 양사는 긴밀한 협업을 통해 시너지를 극대화할 수 있는 프로젝트를 발굴하고 양사의 역량을 결합한 공동 개발 추진 방안을 구체화했다.현대차그룹은 양사의 파트너십을 보다 구체화한 이번 계약을 통해 △고성능 차량 △달 탐사 전용 로버(Rover), 휴머노이드 로봇을 포함한 특수목적형 모빌리티 등 미래 모빌리티에 적용하기 위한 첨단소재 및 부품 개발 협력을 강화할 계획이다.더불어 현대차그룹은 도레이그룹과 고성능 복합재 분야에서 기술 개발뿐 아니라 생산 및 상용화까지 전 과정에 걸쳐 협력해 미래 모빌리티 산업의 혁신을 가속화하고 새로운 시장 기회를 창출하는 데 주력할 예정이다.이를 위해 향후 기술 공동 개발 관련 현대차그룹은 R&D본부에서 새로운 차체 재료의 개발과 검증을 담당하는 기초소재연구센터를 중심으로 첨단소재와 부품의 차량 단위 설계와 함께 적합성 검증과 성능 평가를 주도한다.도레이그룹은 도레이 인더스트리(Toray Industries, Inc)에서 공동 개발 창구 역할을 담당하고 탄소섬유 복합재료를 개발 및 생
-
▲ 동국씨엠 ‘듀얼 스톤’ 신기술로 생산한 컬러강판 신제품 [출처=동국씨엠]동국제강그룹 동국씨엠(대표이사 박상훈)에 따르면 세계 최초로 천연석 등 자연 소재와 동일한 질감과 사실적 디자인을 동시에 구현한 ‘듀얼 스톤(Dual Stone)’ 기술을 개발했다.듀얼스톤 신기술이 적용된 신제품은 ‘더블 스톤’(Double Stone)과 ‘마블 스톤’(Marble Stone) 2종으로 현재 특허 출원 중이다. 더블 스톤은 돌 그대로의 질감과 표면 색감, 마블 스톤은 석분 입자의 거친 감촉과 표면 디자인을 그대로 구현했다.이번 신기술은 강판 표면 처리 기술의 한계를 극복했음에 의미가 있다. 기존 컬러강판은 롤러로 표면을 칠하기에 부위별 압력 편차를 연출하기 어려워 질감 차등 표현에 제약이 있었고 롤러 길이가 한정돼 짧은 패턴 반복으로 인공적 느낌이 강했다.듀얼 스톤 기술은 독자적 표면처리 기술로 천연 자재와 동일한 수준의 깊고 사실적인 복합 질감을 표현했다. 또한 보유한 디지털 프린팅 기술을 더해 패턴 길이를 기존 1미터(m) 수준에서 최대 10m까지 확대함으로 자연스러움을 극대화 한 점에서 차별화된다.동국씨엠 고내식 도금강판(GIX·GLX)을 활용할 경우 폭염이나 폭설에도 최대 30년까지 변색과 마모 없이 품질 유지가 가능하다. 이번 기술 개발로 건축 자재 시장에서 소비자 선택 폭이 다양화될 전망이다.인위적 채석 과정이 없고 가공 시에도 석영 가루(Silica, 실리카: 미세한 결정질 분진) 발생이 없는 재활용 가능 철강 소재로 대체 가능성 높은 친환경 강재로서 시장에 자리매김하기를 기대하고 있다. 실제 동국씨엠 목(木)무늬 컬러강판의 경우 화재와 부식에 강해 건물 외장재로 활용도가 지속 높아지고 있다.동국씨엠은 제품 품질 시험을 모두 마무리한 상태며 현재 미국과 유럽 소재의 고객사와 듀얼 스톤 신기술을 적용한 시제품 생산을 최종 협의 중이다.최우찬 동국씨엠 기술연구소장은 “고가의
-
▲ 일본 도쿄에서 열린 ‘HI Japan 2025’에 참가한 삼양사의 부스 [출처=삼양사]삼양사(대표 최낙현)에 따르면 2025년 10월15일(수)부터 오는 17일(금)까지 3일간 일본 도쿄에서 열리는 건강식품원료 박람회 ‘HI(Health Ingredients) Japan 2025’에 참가해 스페셜티(고기능성) 소재와 이를 활용한 솔루션을 선보인다.HI Japan은 기능성 원료와 자연 추출물, 분석기기 등 건강·기능성 식품 분야 트렌드와 신기술 및 시제품을 살펴볼 수 있는 일본 최대 규모의 식품 박람회다.2025년 650여 개 이상의 글로벌 식품업체와 유통사가 모인 가운데 삼양사는 시장 분석과 판로 확대를 위해 6년째 참가하고 있다.삼양사는 이번 박람회에서 수용성 식이섬유 기능성 소재인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을 중점적으로 알린다.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은 △배변 활동 원활 △식후 혈당 상승 억제 △혈중 중성지질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수용성 식이섬유다.건강 기능성 효과 외에도 식품의 물성 개선에 효과적인 만큼 저칼로리 감미료와 혼용하기에 적합하다. 삼양사는 2021년부터 화이버리스트(Fiberest)라는 브랜드로 액상형과 분말형 제품을 모두 생산하고 있다.특히 삼양사는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을 함유해 식이섬유가 풍부한 3중 기능성 음료를 시음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최근 개발한 인공지능(AI) 기반의 식품 솔루션을 토대로 스페셜티 소재를 적용한 시식 샘플을 제공해 방문객들의 이해를 돕는다. 솔루션이 적용된 시식 샘플로는 식이섬유가 풍부한 펙틴 구미와 저칼로리 스낵바를 선보인다.삼양사는 데이터 기반의 최적 배합 설계로 제품 개발 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하고 고객사의 다양한 요구에 빠르고 유연하게 대응하기 위해 AI 기반의 식품 솔루션을 개발한 바 있다.삼양사는 이 AI 솔루션을 더욱 고도화해 구미와 스낵바뿐만 아니라 아이스크림, 소스류, 베이커리 등 다양한 식품 카테고리로 적용 범위를 확대할 계획
1
2
3
4
5
6
7
8
9
10
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