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시공 품질"으로 검색하여,
3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현대 건축에서 없어서는 안될 재료 중 하나가 콘크리트(Concrete)이다. 라틴어 '콘트레투스(concretus)'에서 유래했으며 '다지다' 또는 '누르다'라는 의미를 갖고 있다.로마시대부터 화산재나 석회를 건축용도로 사용했지만 현대적 의미는 1824년 영국에서 시작됐다. 모래와 자갈을 점토로 혼합해 강도를 높인다. 우리나라는 1962년 처음으로 콘크리트 표준시방서를 제정한 이후 개정하고 있다.이번에 소개할 논문은 '콘크리트 양생 중 고온 환경이 내화 성능 및 시공 품질과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The Impact of High-Temperature Curing Conditions on the Fire Resistance, Construction Quality, and Safety of Concrete Structures)이다.경기대 건설안전학과 석사과정에 다니는 김효일 (kirocon@naver.com)과 경기대 건설안전학과 문유미 교수 (feelst1003@hanmail.net)가 공동으로 작성했다. 세부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고온 양생에 적합한 품질관리 기준 마련의 필요성 제기콘크리트는 현대 건설 산업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구조 재료 중 하나로 구조물의 장기적 안전성과 내구성 확보를 위해 정밀한 품질 관리가 요구된다.특히 양질의 콘크리트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양생 과정이 필수적이다. 수화 반응이 원활히 진행될 수 있도록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는 중요한 과정이다.그러나 양생 환경이 적절하지 않을 경우 압축강도 저하 및 내화 성능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구조적 안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선행 연구에 따르면 고온 환경은 콘크리트의 조기 건조와 수분 증발을 유발하고 열팽창으로 내부 미세 균열 발생 가능성을 증가시켜 장기적인 내구성과 화재 안전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또한 일정 온도를 초과한 양생 조건에서는 오히려 강도 발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적정한 온도와 시간의 제어가 중요한 변수로 작용함이 보
-
▲ H Modular LAB_커팅식[출처=현대제철]현대제철(대표이사 서강현)에 따르면 현대엔지니어링(대표이사 주우정)과 공동으로 모듈러 건축 공법 확대에 나선다. 현대제철과 현대엔지니어링 양사(兩社)는 이번 'H-모듈러 랩' 구축을 통해 다양한 기술의 실증 실험 및 검증을 진행할 예정이다.현대제철은 "지난 14일 충청남도 당진제철소에서 현대제철 이보룡 연구개발본부장과 현대엔지니어링 심범섭 미래기술사업부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H-모듈러 랩(H-Modular Lab)' 개장 기념식 및 현장 설명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모듈러 건축 공법은 조립식 건축의 일종으로 공장에서 건축물의 주요 부분을 미리 제작해 현장에서 블록(Block)처럼 조립하는 건축 시스템이다.◇ 현대제철의 다양한 강재 및 부산물 활용 기술이 집약된 건축 시험장'H-모듈러 랩'은 국내 최대인 지상 2층·면적 400제곱미터(㎡) 규모의 모듈러 건축 시험장(테스트베드)이다. 1층은 홍보관을 비롯해 병실·기숙사·호텔 등의 견본 공간이 마련돼 있다.2층은 각종 모듈러 건축용 기술 성능 시험장으로 구성됐다. 아울러 현대제철의 강재 및 부산물 활용 기술이 다수 적용된 것도 특징이다.우선 시험장 부지에 제강슬래그 활용 보차도(步車道) 블록을 설치해 내구성과 친환경성을 확보했다. 이 기술은 쇳물을 만드는 공정인 제강(製鋼)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을 골재(骨材)로 재활용해 보도 및 차도용 블록으로 만든 것이다.기존 콘크리트 블록보다 강도 및 내구성이 우수하면서도 이산화탄소 포집 능력 역시 증가한 것이 핵심이다. 시험장 건물 외벽에는 현대제철 소재를 활용한 컬러강판을 적용해 미려한 디자인을 연출했다.2층으로의 연결 계단에는 콘크리트 대신 강판을 적용해 공사 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스틸 코어1)부 강판전단벽2)이 설치됐다.이와 함께 현대엔지니어링, KCC와 공동 개발 중인 '하이브리드 내화시스템'도 적용됐다. '하이브리드 내화시스템'은 현대제철
-
▲ 일본 국토교통성(国土交通省) 빌딩 [출처=홈페이지]일본 국토교통성(国土交通省)에 따르면 건설업체인 NIPPO가 도로 포장공사에 신품이 아니라 사용이 끝난 아스팔트 재료를 사용했다고 밝혔다.NIPPO는 고속도로, 국도 등의 공사에 신품 아스팔트를 사용하는 계약을 체결했음에도 사용이 끝난 재료를 투입한 것으로 드러났다.국토교통성은 사용이 끝난 재료는 신품과 비교해 장기적인 내구성이 떨어진다고 판단해 '적절한 조치'를 취하라고 요구했다.또한 NIPPO가 시공한 공사장의 아스팔트에 대한 품질 확인시험을 실시할 방침이다. 아스팔트의 불량 외에 계약과 다른 시공이 없는지 파악하기 위해 상세 조사를 진행할 계획이다.실제 대형 차량이 많이 통행하는 도로에서는 신규 골재외 비교해 조기에 열화하는 등 장기적인 관점에서 보면 내구성이 떨어진다.참고로 NIPPO는 국토교통성으로부터 동일본고속도로, 중일본고속도로 등의 공사를 수주했다. 또한 이미 시공한 도로나 공항 등이 21개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