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열차제어시스템"으로 검색하여,
2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4-12-17▲ 철도연, 국내 최초 KTCS 열차제어시스템 공인검사기관 인정(신경호 철도연 책임연구원(우)이 철도연 오송분원에 위치한 KTCS 실험실에서 공인검사기관 인정서를 소개)[출처=한국철도기술연구원]한국철도기술연구원(이하 철도연, 원장 한석윤)에 따르면 2024년 11월19일,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 산하 한국인정기구(KOLAS)로부터 KTCS 열차제어시스템(KRS SG 0070 - 22) 분야에 대해 국내 최초 공인검사기관으로 인정받았다.KTCS 열차제어시스템(Korea Train Control System)은 2018년 국가 연구개발 과제로 개발된 세계 최초의 LTE-R 무선통신 기반 열차제어시스템이다.현재 국가철도공단이 경부고속선에 도입하기 위해 설계를 진행 중이다. 2028년까지 호남고속선과 수서고속선에 구축을 완료할 계획이다.KTCS는 국토교통부의 ‘철도의 건설 및 철도시설 유지관리에 관한 법률’과 ‘철도노선 간 연계운행을 위한 철도시설 기술기준’에 따라 공인시험기관 및 공인검사기관의 적합성 평가를 통해 관련 표준 준수 여부를 객관적으로 확인해야 한다.그러나 국내에는 KTCS 관련 적합성평가를 수행할 공인기관이 없어 그동안 해외기관에 의뢰해왔다. 이로 비용 증가와 평가 기간 지연 등의 어려움이 있었다.KTCS 공인검사는 한국철도표준(KRS SG 0070-22, 일반 및 고속철도용 열차제어시스템(KTCS)에서 요구하는 기능과 인터페이스 기준에 따라 진행한다. 차상컴퓨터장치, 무선폐색센터 등 시스템 구성장치가 해당 기준을 준수하는지 확인하고 평가한다.철도연은 KTCS 제작사 및 의뢰 업체를 대상으로 공인검사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KTCS의 기능 및 노선 간 호환성을 보장하고 정부의 KTCS 중심 국가철도망 건설사업을 차질 없이 추진하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또한 국산 KTCS 제품의 품질을 보증하고 기술경쟁력 강화하는 데 기여할 계획이다.철도연은 KTCS에 대한 국내 적합성평가 체계를 구축하고 국산 열차제어기
-
▲ 뉴질랜드 국영철도운영기업인 키위레일(KiwiRail Holdings Ltd)의 기관차. [출처=홈페이지]뉴질랜드 국영철도운영기업인 키위레일(KiwiRail Holdings Ltd)에 따르면 스위스 철도차량 제조업체인 슈타들러 레일(Stadler Rail AG)과 기관차 33대의 구매 계약을 체결했다.키위레일은 철도 자산의 품질을 향상하는 것을 목적으로 US$ 17억 달러를 투자할 계획이다. 서비스 품질을 높이는 동시에 저탄소 배출 운송 서비스를 제공할 방침이다.슈타들러에 수주한 메인레인 전기 기관차 9대는 유럽형열차제어시스템(ETCS)을 갖추고 있다. 하이브리드 배터리-디젤 기관차는 24대로 차량간 분리가 가능하다.기관차의 운영 지역은 북섬(North Island)이며 관광 노선에도 배치될 예정이다. 슈타들러에 2021년 수주한 DM 등급 기관차 57대는 남섬(South Island)의 철도 네트워크에 주로 이용할 계획이다.2024년 말 DM 등급 기관차의 시제품이 도착할 예정이다. 북섬에 배치된 ETCS 기관차 대수가 19대로 늘어나게 되는 것으로 선로의 신호 방식이 개선된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