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작업장"으로 검색하여,
3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4-29▲ 인천항만공사 CI [출처=인천항만공사]인천항만공사(www.icpa.or.kr, 사장 이경규)에 따르면 기획재정부가 주관하는「2024년도 공공기관 안전관리 등급」평가에서 3년 연속 최고 등급(2등급)을 획득했다. 참고로 2021년 「공공기관 안전관리 등급」평가 시행 이후 1등급 획득 기관은 없다.공공기관 안전관리등급 심사는 4대 위험요소(작업장·건설현장·시설물·연구시설)를 보유한 공공기관의 안전역량·안전수준·안전성과를 종합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2021년부터 실시된 제도다. 이번 심사는 총 72개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실시됐다.공사는 2024년 안전한 인천항 조성을 위해 △위험성평가 중심의 자기규율 예방체계 확립 △건설현장·시설물 안전점검 내실화를 통한 안전사고 예방 △물류 기업 및 하역사업장의 안전 강화 활동 지원 △안전의식 제고를 위한 안전문화 확산 활동을 전개하는 등 다양한 안전활동을 시행한 바 있다.인천항만공사 이경규 사장은 “전사적인 관점에서 안전을 최우선 가치로 삼고 노력한 결과, 3년 연속 최고등급을 달성할 수 있었다“며 ”인천항 전역에 안전경영 문화를 확산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
▲ 캔자스 시티 사우던(Kansas City Southern, KCS) 철도 [출처=홈페이지]미국 캔자스 시티 서던(Kansas City Southern, KCS)은 루이지애나 슈리브포트 작업장(Shreveport Yard)의 ISO 14001 환경 및 45001 산업보건안전에 대한 ISO 인증을 획득했다고 밝혔다.슈리브포트 작업장은 2019년부터 운영이 시작됐다. 국제표준화기구(ISO)는 KCS의 사업 및 업무 수행 방식이 실용적이고 사용 가능한 건강, 안전 및 환경(HSE) 관리 시스템과 일치하는지 평가했다.시스템은 철도의 미국 및 멕시코 네트워크를 통해 기타 KCS 위치로 적용 및 이전할 수 있도록 개발됐다. 건강과 안전 환경 위험이 능동적으로 해결되고 KCS가 위험 관리 프로세스에 대해 정당한 확신을 가질 수 있다. ISO 45001은 산업안전보건(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OH&S) 경영 시스템에 대한 요구사항을 명시하고 있다.이는 조직이 기업의 산업안전보건 성과를 능동적으로 개선하고 그 과정에서 업무 관련 질병 및 부상을 예방해 더 안전하고 더 건강한 작업장을 제공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한다.ISO 14001은 조직이 오염 및 탄소 발자국을 포함한 환경 영향을 줄일 수 있도록 효과적인 환경 관리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기준을 설정하고 있다.KCS은 미국, 멕시코 및 파나마에 철도 투자를 하는 순수 운송 지주회사로 KCS 철도 네트워크는 미국과 멕시코의 약 7299마일의 선로를 소유하고 있다.참고로 미국 지상교통위원회(Surface Transportation Board, STB)는 철도 운송업체의 연간 수익을 기준으로 Class I, Class II, Class III로 분류한다.Class I 철도는 1900년 기준 132개에 달했지만 합병과 도산 등으로 통합되면서 2021년 8월 기준 7개만 남았다. KCS는 Class I급 철도 운
-
2017-11-28최근 싱가포르 엔지니어업계는 항공화물 작업장에 로봇(Robots)을 도입하기 위해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대표적인 기업은 ST Dynamics와 TUM Create다.첫째, ST Dynamics에 따르면 당사의 프로토타입은 3D스캐닝 시스템을 통해 화물의 사이즈와 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 이후 자동화 지게차에 탑재된 소프트웨어로 적정위치에 화물을 적입하는 것이다.둘째, TUM Create에 따르면 당사의 프로토타입은 3D카메라를 통해 화물을 스냅샷할 수 있다. 인공지능(AI) 시스템이 화물의 보관장소를 판단하고 로봇팔을 이용해 화물을 이동시키는 것이다.ST Dynamics측은 이같은 로봇시스템은 현재 항공화물 하역처리과정에 투입되는 인력의 40%만을 가지고도 충분히 현행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반면 항공화물전문가들은 로봇시스템의 화물 적재능력은 아직 사람에 비해 8분 정도 느리다고 말한다. 로봇을 하역과정 전반에 적용하는 것은 시기상조라고 덧붙였다.▲ST Dynamics 홈페이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