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제품화"으로 검색하여,
6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9-08▲ 농협식품R&D연구소, '2025년 농산 부산물 활용 부가가치 창출 워크숍' 개최 [출처=농협경제지주]농협중앙회(회장 강호동) 농협경제지주(농협경제대표이사 박서홍)에 따르면 식품R&D연구소가 2025년 9월4일(목)부터 이틀간 대전광역시에서 「2025년 농산 부산물 활용 부가가치 창출 워크숍」을 개최했다.이번 워크숍은 농촌진흥청 국책과제인 ‘과실 부산물 제로웨이스트(Zero Waste) 기반 다용도 소재 기술개발’의 일환으로 마련됐다.현재 국내에서는 매년 약 900만 톤(t)의 농산 부산물이 발생하고 있어 연간 약 1조7000억 원에 달하는 처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부산물 활용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이날 참석자들은 △지역농협별 부산물 발생 현황 공유 △부산물 제품화 기술 소개 △업사이클링 방안 논의 등을 실시했으며 국립식량과학원, 농협사료, 13개 지역농협, 광동제약, 케이바이오스 등 산학연 관계자가 함께 실질적인 협업 방향을 모색했다.업사이클링은 기존 재활용의 한계를 극복하고 버려진 물건에 새로운 가치를 부여해 예술적·환경적 가치가 높은 제품으로 만드는 것을 말한다.한편 농협식품R&D연구소는 사전에 참여를 희망한 지역농협을 대상으로 부산물 자원화를 위한 맞춤형 컨설팅을 제공할 계획이다.강대익 농협식품R&D연구소장은 “농산 부산물을 활용한 부가가치 창출은 환경과 경제적 측면에서 중요한 과제다. 앞으로도 지속가능한 농업·농촌을 구현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
일본 자동차제조업체인 혼다(ホンダ)는 2016년 10월 세계 최초로 마그네슘을 사용해 반복 충전이 가능한 2차 전지 실용화에 착수했다고 발표했다.사이타마현산업기술종합센터와 공동 진행하는 것으로 스마트폰 등에 사용하는 리튬이온전지보다 재료비용이 대폭 낮아지며 크기도 절반으로 줄어 활용성이 커지기 때문이다.리튬이온을 대체할 수 있는 차세대전지가 될 가능성이 높으며 우선 스마트폰 등 소형전자기기용으로 2018년까지 제품화하는 것이 목표이다.
-
▲ 일본 기계제조업체인 도시바(東芝) 빌딩 [출처=위키피디아]일본 기계제조업체인 도시바(東芝)는 2016년 8월 물류분야의 출하작업을 자동화한 로봇을 개발했다고 발표했다. 손수레에 실린 크기가 다른 상자의 형태를 센서의 조합으로 감지하고 1개씩 꺼내 컨베이어에 옮긴다.기존에는 크기가 다른 상자를 정확하게 출하하는 기술이 없이 인력에 의존했다. 물류현장의 분별 작업을 담당함으로서 노동인구감소와 작업부담의 확대로 인력 부족에 고민하는 물류현장의 과제해결에 공헌할 계획이다.
-
일본 도유기장치제조업체인 휴테크오리진(ヒューテック・オリジン)은 2016년 금속에 붙어있는 기름과 상처를 판별해 상처만을 검출하는 검사시스템을 제품화했다고 발표했다. 철처한 품질관리가 요구되는 자동차용의 강판검사 등에 수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2016-03-18▲ 일본 돗토리대(鳥取大) 캠퍼스 전경 [출처=홈페이지]일본 의료로봇개발 팀적기술연구소(テムザック技術研究所)에 따르면 2016년 돗토리대(鳥取大) 의학부와 공동으로 모의훈련용 의료교육로봇 개발 진행할 계획이다. 코와 목구멍에 내시경을 삽입하는 모의훈련용 로봇으로 2016년 말까지 제품화가 목표다.
-
히다찌조선, 자체 개발 분체 박막프레스기술 활용한 전 고체리튬이온전지 개발 및 2017년 Sample공급... 긴수명 및 안전성 실현해 2022~2023년 제품화 목표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