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
" 지열 에너지"으로 검색하여,
11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말레이시아 HeiTech Padu Bhd 로고[출처=HeiTech 홈페이지]2024년 10월22일 동남아시아 경제는 말레이시아와 필리핀을 포함한다. 말레이시아 MyEG Services Bhd와 HeiTech Padu Bhd는 전자정부 프로젝트 파트너십을 통해 디지털 정부를 구현한다.필리핀 퍼스트젠은 세부 시에 위치한 GMC의 식품 제조시설에 지열발전 에너지를 공급한다.◇ 말레이시아 MyEG Services Bhd, HeiTech Padu Bhd와 전자정부 프로젝트 파트너십 시작말레이시아 디지털서비스업체 MyEG Services Bhd에 따르면 IT기업 HeiTech Padu Bhd가 전자정부 프로젝트에 대한 파트너십을 시작했다.2024년 10월18일 HeiTech는 이민국(Immigration Department of Malaysia)으로부터 8억9220만 링깃 상당의 NIIse(National Integrated Immigration System) 프로젝트를 수주한 바 있다.MyEG는 HeiTech의 지분 14.99%를 보유하고 있다. 자체적인 이민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MyEG는 2023년 내무부로부터 서비스의 2년 연장을 승인받았다.◇ 필리핀 퍼스트젠(First Gen), 식품업체 GMC(General Milling Corporation)의 제조시설에 재생에너지 공급 계약 갱신필리핀 재생에너지 기업 퍼스트젠(First Gen)은 식품업체 GMC(General Milling Corporation)와 재생에너지 공급 계약을 갱신했다. 2016년부터 시작한 파트너십을 확대한 것이다.퍼스트젠 사업부에 해당하는 그린 코어 지오서멀(Green Core Geothermal Inc.)은 네그로스 오리엔탈 지역 지열발전시설으로 하여금 GMC의 세부시 식품 제조단지에 에너지를 공급한다.퍼스트젠은 1600메가와트(MW) 상당의 태양광, 풍력, 수력, 지열발전 시스템과 총용량 2000MW에 달하는 천연 가스 시설을 보유하고 있다.
-
▲ 베트남 비엣젯항공(Vietjet) 항공기의 모습[출처=비엣젯 홈페이지]2024년 9월9일 동남아시아 경제는 필리핀과 베트남을 포함한다.필리핀 PLDT와 스마트 커뮤니케이션즈가 이동통신 사업에 퍼스트젠의 재생에너지 기술을 활용한다면 운영비용 약 2300만 페소를 절약할 수 있다.2024년 상반기 베트남 비엣젯항공(Vietjet)의 통합 세전 이익은 1조 동 이상으로 전년과 비교해 307% 증가했다.◇ 필리핀 PLDT, 스마트 커뮤니케이션즈·퍼스트젠과 파트너십 통한 100% 재생에너지 사용필리핀 통신회사인 PLDT는 스마트 커뮤니케이션즈(Smart Communications Inc.), 퍼스트젠(First Gen)과 파트너십을 확장할 계획이다. 자사의 이동통신 사업에 100% 재생에너지를 활용하기 위함이다.VITRO Davao는 PLDT Ponciano가 소유한 다바오시 첫 데이터 센터이자 최초로 100% 재생 에너지로 운영될 장소이다.파트너십을 통해 PLDT와 스마트는 운영비용 약 2300만 페소를 절약할 수 있다. 연간 탄소 배출량 1만3000톤(t)을 절감할 것으로 예상된다.2023년 5월 PLDT와 스마트는 퍼스트젠의 지열 발전 기술을 비사야 지역 세부, 사마르, 카피스, 일로일로 등의 네트워크 시설에 활용하고자 퍼스트젠과 협력했다.◇ 베트남 비엣젯항공(Vietjet), 2024년 상반기 세전 이익 1조1600억 동으로 전년 대비 688% 증가베트남 비엣젯항공(Vietjet)에 따르면 2024년 상반기 세전 이익은 1조1600억 동(US$ 4738만 달러)으로 전년보다 688% 증가했다.같은 기간 동안 항공 운송에 대한 수익은 33조8600억 동(13억7000만 달러)이다. 2023년에서 307% 증가한 통합 세전 이익은 1조 동을 넘었다.2024년 상반기 동안 비엣젯항공은 1310만 명의 승객을 수용했다. 국제선 항공 2만8300편을 운행한 바 있으며 약 550만 명이 이용해 각각 전년 대비 43%·52% 증가한 수
-
▲ 퍼스트젠(First Gen)의 지열발전소 이미지[출처=퍼스트젠 홈페이지]2024년 8월19일 동남아시아 경제는 필리핀과 태국을 포함한다. 글로벌 친환경 건설자제업체 홀심 필리핀즈(Holcim Philippines)는 퍼스트젠(First Gen)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자사 생산시설 전력의 22%를 재생 에너지로 전환한다.태국 즉석식품 제조업체 CPRAM에 따르면 2024년 국내 베이커리 시장의 가치는 400억 바트로 조사됐다. CPRAM이 촌부리 핀통 산업단지에 연 빵 슬라이스 제조공장은 1일 빵 생산량을 200만 개에서 440만 개로 약 2배 늘렸다.◇ 필리핀 설탕규제청(SRA), 미국 설탕 할당량 충족위해 원당 2만5300t 수출8월18일 필리핀 설탕규제청(SRA)에 따르면 설탕 주문(SO) 3호의 설탕 할당량을 충족시키기 위해 원당 2만5300t(톤)을 미국으로 수출한다. 할당량은 9월30일까지 채워야 한다.8월17일부터 15일 동안 네그로스 옥시덴탈(Negros Occidental)주에서 설탕 1500t을 적재할 계획이다. 화물은 30일이 더 지나서야 미국에 도착한다.SRA는 정제 설탕 24만 t의 수입을 승인한 바 있다. 손해를 감수하고 미국에 설탕을 수출했을 때 상인들이 원가를 회수하고 소액의 이익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기 때문이다.글로벌 친환경 건설자재업체 홀심 필리핀즈(Holcim Philippines)는 로페즈 그룹의 재생 에너지 발전 자회사 퍼스트젠(First Gen)과 파트너십을 체결했다.이는 소매경쟁 및 공개진입(RCOA)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다. RCOA에 따르면 월 평균 최소 500킬로와트(kW)를 소비하는 전력 소비자는 전력공급업체를 직접 선택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진다.퍼스트젠은 홀심의 부나완, 다바오 시티, 루가이트, 미사미스 오리엔탈 생산시설 전력 22%를 재생 에너지 형태로 충당한다.이는 퍼스트젠의 자회사 에너지 디벨롭먼트(Energy Devlopment Corp.)가 소유한 북부 코타바토주 지열 에너지 발전소에
-
▲ 말레이시아 조호르바루에 설립된 초대형 데이터 센터 JHB1의 모습[출처=에어트렁크(AirTrunk) 공식 홈페이지]2024년 7월 동남아시아 ICT산업 주요동향은 싱가포르 내 3G 네트워크 서비스 종료, 말레이시아 조호르바루 지역 초대규모 데이터 센터 개장, 필리핀 루손 지방에서의 지열 신재생에너지 개발을 포함한다.○ 싱가포르 민간항공청(CAAS)는 레크레이션용 무인항공기(UA)를 비행하고자 폴리 테크닉 대학 건너편 도버로(Dover Road)에 무인항공기 비행 구역(UAFA)를 조성했다.해상과 육상 환경으로 구성돼 드론 입문자들도 편히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싱가포르 중앙마약국(CNB)에 따르면 2024년 첫 4개월 동안 16세 미만 마약 범죄자 16명을 체포했다. 2023년 전체 동안 24명이 붙잡힌 것과 비교해 증가된 수치다.싱가포르 정신건강센터(IMH)의 '2022 건강 및 생활습관 조사'에 따르면 마약 남용을 시작하는 평균 나이는 15.9세로 점점 낮아지고 있다.중앙마약국은 2025년 하반기까지 싱가포르 교도소 서비스(SPS), 과학기술청(HTX)과 강력한 즉석 모발 검사(IHT) 키트에 대한 평가를 진행해 완료할 방침이다.○ 싱가포르 IMDA(정보통신미디어발전국)에 따르면 8월1일부터 국내 이동통신사들은 3G 네트워크 서비스를 종료할 방침이다. 3G 네트워크를 완전히 폐쇄할 경우 3G 기기들은 더이상 음성·메세지·데이터 서비스 등을 받지 못한다.통신사 M1은 모든 3G 고객이 4G 혹은 5G 서비스로 바꿔 산업의 선구자로 기능한다. 싱텔(Singtel)과 스타허브(StarHub)는 3G 고객들로 하여금 11월까지 전환할 기회를 부여한다.IMDA는 2024년 6월 모바일 가입자 전체의 0.1%를 차지하는 9000만 명 미만이 3G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3G 네트워크 서비스를 중단하며 이동통신사들에게 5G 네트워크 부문에 우선적으로 투자할 기회를 제공한다고 덧붙였다.○ 싱가
-
▲ 8월까지 적양파 수입 금지를 재차 연장[출처=필리핀 농업부(DA) 홈페이지]2024년 7월 3주차 필리핀 경제는 필리핀 지열 개발업체인 PGPC는 루손 섬에서 새로운 지열 신재생에너지원을 찾기 위한 탐사 및 개발을 진행한다.필리핀 농업부(DA)가 2024년 8월까지 적양파 수입 금지 조치를 연장한다. 국내산 적양파의 가격은 1kg당 80페소~150페소로 전년 동기 1kg당 150~180페소였던 것보다 낮아졌다.국제공인회계사협회(AICPA)와 미국 NASBA가 미국 CPA시험의 국제 시험 응시 범위를 확대하면서 필리핀에서도 시험을 볼 수 있게 됐다.필리핀 마닐라워터(Manila Water)는 2025년까지 루손섬 타기그시에 파이프라인 건설 프로젝트를 진행함으로써 거주민 70만 명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SM인베스트먼트(SM Investments)가 이끄는 필리핀 지열 개발업체인 PGPC(Philippine Geothermal Production Company)는 7월14일 루손 지방에서 새로운 지열 신재생에너지원에 대한 탐사와 개발을 시작한다고 발표했다. 이 지역은 최대 400메가와트(MW)까지 생산할 수 있는 잠재성을 갖추고 있다.프로젝트는 향후 5~7년 동안 루손섬의 칼링가, 벵게트, 카가얀, 케손, 카마리네스노르테, 카마리네스 수르에서 진행된다. 일자리 2000개 이상을 이끌어낼 것으로 예상되며 지역 주민을 우선적으로 고용할 방침이다.재생가능한 전력을 보충함으로써 부족한 전력망을 채울 방침이다. 이는 2040년까지 국가 총 전력용량에서 재생 에너지원이 최소 50%를 차지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분석된다.PGPC는 1971년 동남아시아 최초의 상업용 지열 발전 프로젝트를 시작한 바가 있다.○ 필리핀 농업부(DA)는 2024년 8월까지 적양파 수입 금지를 재차 연장한다고 밝혔다. 수입금지는 수입 양파를 실은 선박이 늦게 도착해 수확 기간과 겹쳐 과잉 공급된 것이 발단이었다.농업부는 적양파의 소매 가격이 더 하락하는 것을
-
▲ 동남아시아 주요국의 국기[출처=CIA]2024년 7월16일 동남아시아 경제는 싱가포르 국영방송사 미디어코프가 닐슨의 라디오 조사에서 국내 라이도 방송국 상위 10곳 중 9개의 자리를 차지했다.말레이시아 자동차·로봇·IoT 진흥원(MARii)에 따르면 자동차 산업에서 확실한 경쟁력을 가지며 아세안 자동차 허브가 되기 위해서는 자동차 수출을 우선적으로 크게 늘려야 한다.필리핀 지열 개발업체인 PGPG는 루손 섬에서 새로운 지열 신재생에너지원을 찾기 위한 탐사 및 개발을 진행한다.인도네시아 교통부는새로운 수도 누산타라의 동칼리만탄주에서 배터리와 센서로 움직이는 스마트 이동수단인 자율 고속 운송(ART) 트램을 운행하고자 한다.◇ 싱가포르 미디어코프, 라디오 시장 점유율 84.2% 차지하고 있어글로벌 시장조사업체인 닐슨(Nielsen)의 라디오 조사에서 싱가포르 국영방송사 미디어코프는 국내 라디오 방송프로그램 상위 10곳 중 9개를 차지했다. 해당 조사는 3월부터 5월까지 15세 이상의 라디오 청취율 추적을 바탕으로 한다.미디어코프는 라디오 시장 점유율 84.2%를 점유하고 있다. 주간 청취자는 393만 명이며 성인 88.1%가 듣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최근 소셜미디어상에서 전례없는 팔로워 수 증가와 참여율에 근거해 채널의 변함없는 인기를 분명하게 보여줬다고 미디어코프가 표현했다.소셜 미디어 플랫폼에서 미디어코프에 소속된 방송 프로그램 중 청소년을 위한 YES 933의 청취자 수는110만 명으로 44% 증가·청취 시간은 1.6시간에서 6.3시간으로 증가해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디지털 방송국 1위으로서의 입지를 보였다.◇ 말레이시아 자동차·로봇·IoT 진흥원(MARii) 아세안 자동차 허브 도달 목표 위해 자동차 부품 수출 중요성 강조말레이시아 자동차·로봇·IoT 진흥원(MARii)은 당국이 아세안 자동차 허브에 도달하기 위해서 자동차뿐만 아니라 부품 및 구성품에 대
-
영국 킬대(Keele University)에 따르면 정부가 국내 5개 지역에서 지열을 이용할 수 있는 기회를 놓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킬대는 정부가 2030년까지 저탄소 배출을 완성하기 위한 로드맵인 새로운 에너지 안보 전략에서 지열 에너지를 전기로 활용하지 못한다고 판단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촉발된 전 세계 화석연료 공급 위기에 대한 대응으로 정부는 새로운 에너지 안보 전략을 공식화했다. 국내 에너지 발전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풍력, 원자력 및 일부 천연 가스의 생산 증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킬대는 지열이 정부의 에너지 전략의 일부가 돼야 한다고 강력하게 주장했다. 근거로 5가지를 들었다. 첫째, 땅 속 깊은 곳에서 발생하는 열을 활용하는 지열 에너지는 탈탄소화에 기여할 수 있다.둘째, 지열은 국내 자원이므로 가스 수입의 필요성을 줄일 수 있다. 셋째, 수입 에너지의 의존을 줄일 수 있으므로 국가 에너지 안보를 확보할 수 있다. 넷째, 지열 발전단지는 풍력이나 태양열 발전단지에 비해 공간 소모량이 훨씬 적어 경관에 미치는 악영향도 적다.다섯째, 지열 에너지는 국내 기업들에 의해 꾸준히 검토되고 있어 성장 잠재력도 크다. 킬대는 미래에 지열 에너지가 세계를 순 제로 탄소로 만드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판단했다. ▲킬대(Keele University) 홈페이지
-
영국 킬대(Keele University)에 따르면 정부가 국내 5개 지역에서 지열을 이용할 수 있는 기회를 놓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킬대는 정부의 2030년까지 저탄소 배출을 완성하기 위한 로드맵인 새로운 에너지 안보 전략에서 지열 에너지를 전기로 활용하지 못한다고 판단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촉발된 전 세계 화석연료 공급 위기에 대한 대응으로 정부는 새로운 에너지 안보 전략을 공식화했다. 국내 에너지 발전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풍력, 원자력 및 일부 천연 가스의 생산 증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킬대는 지열이 정부의 에너지 전략의 일부가 돼야 한다고 강력하게 주장했다. 근거로 5가지를 들었다. 첫째, 땅 속 깊은 곳에서 발생하는 열을 활용하는 지열 에너지는 탈탄소화에 기여할 수 있다.둘째, 지열은 국내 자원이므로 가스 수입의 필요성을 줄일 수 있다. 셋째, 수입 에너지의 의존을 줄일 수 있으므로 국가 에너지 안보를 확보할 수 있다. 넷째, 지열 발전단지는 풍력이나 태양열 발전단지에 비해 공간 소모량이 훨씬 적어 경관에 미치는 악영향도 적다.다섯째, 지열 에너지는 국내 기업들에 의해 꾸준히 검토되고 있어 성장 잠재력도 크다. 킬대는 미래에 지열 에너지가 세계를 순 제로 탄소로 만드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판단했다. ▲킬대(Keele University) 홈페이지
-
프랑스 에너지 기업인 알바이오마(Albioma)에 따르면, 터키 지열 에너지 생산업체인 구무스코이(Gümüsköy)의 지분 75%를 인수했다. 나머지 25 %는 터키의 산업서비스 제공업체인 Egesim이 인수했다.터키의 Gümüsköy 발전소는 총 용량 13MW로 2013년에 가동됐다. 2040년까지 유효한 운영 라이센스 조건에 따라 4개의 생산 샤프트에서 열을 사용하여 전기가 생산된다.발전소는 현재 연간 최대 45GWh의 신재생가능 전기를 그리드를 통해 수출하고 있다. 이번 인수를 통해 알바이오마는 상당한 기술적 부가가치를 특징으로 하는 새로운 사업의 교두보를 확보한 것으로 평가된다.특히, 알바이오마는 잘 구축된 기존의 바이오 매스(biomass) 및 태양광 에너지(solar energy) 사업과 강력한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France-Albioma-Energy▲ 알바이오마(Albioma)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2019-02-18캐나다 드론 개발회사인 글로블 유에이브이 테크놀로지(Global UAV Technologies Ltd)에 따르면 드론을 활용해 지열 에너지 탐사조사를 완료했다.지열발전회사인 보리얼스 지오파워(Borealis GeoPower Inc.)와 공동으로 수행한 프로젝트이다. 북부 브리티시 컬럼비아(BC) 지역에서 지구물리 및 열 이미징 센서를 모두 활용한 첫번째 탐사조사였다.파이오니어 에리얼 서베이(Pioneer Aerial Surveys Ltd)는 허밍버드 드론(Hummingbird Drones Inc.)과 협력해 2200헥타아르(Ha)의 조사 지역에서 고해상도 자력계 및 열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했다.파이오니어 에리얼 서베이는 글로블 유에이브이 테크놀로지가 전액 출자한 자회사이다. 주간 및 야간 비행 운영을 모두 사용해 효율성 및 데이터 품질을 극대화했다.드론 기반 열 화상의 결합은 조사 지역의 지질 및 지열 특성에 대한 고해상도 결과물을 제공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를 통해 지열 프로젝트 작업이 성공적으로 완료된 것으로 평가 받고 있다.드론을 이용한 지열 프로젝트의 성공은 드론을 보다 다양한 분야까지 활용할 수 있는 기대치를 증가시킨 것으로 평가된다. 참고로 보리얼스 지오파워는 2007년에 설립된 캐나다 알버타주 캘거리에 본사를 둔 비상장 회사이다. ▲ Canada-GlobalUAVTechnology-drone▲ 글로블 유에이브이 테크놀로지(Global UAV Technologies Ltd)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