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
" 코일"으로 검색하여,
13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4-03▲ EPD인증을 받은 동국제강 형강 제품[출처=동국제강]동국제강그룹 동국제강(대표이사 최삼영)에 따르면 국내 철강업계 최초로 생산 전 제품군에 대한 환경부 ‘저탄소 제품 인증’을 취득했다.저탄소 제품 인증은 환경부 산하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이 부여한다. 취득할 경우 ‘녹색제품’으로 인정받는다. 환경성적표지(EPD, Environmental Product Declaration) 인증을 취득한 제품만 신청이 가능하다. 취득 제품 중 탄소 배출량이 동종 제품 평균 배출보다 낮음이 증명될 경우 부여된다.취득 제품군은 철근·형강·후판이다. 품목은 △직선철근 △코일철근 △H형강 △일반형강 △비열처리재후판 5종이다. 길이나 두께, 강종에 따라 세부 제품으로 분류할 수 있다. 최대 허용 탄소배출량 기준에 따라 열처리재후판 품목은 신청하지 않았다.동국제강은 생산 전 제품군이 환경부 ‘녹색제품 구매 촉진에 관한 법률’(녹색제품 구매법)에 의거, 공공기관 의무 구매 제품에 해당됨에 따라 점진적으로 판매가 확대될 것을 기대하고 있다.동국제강은 2023년 6월 분할 출범 후 본사 및 사업장을 포함해 약 20여 명 규모로 ‘친환경인증 취득 추진 TF’를 신설하고 2년안에 전 공장·전 제품군 친환경성을 인정받겠다는 목표를 수립한 바 있다.TF는 유럽·미국·국내 EPD인증 취득에 이어 이번 환경부 저탄소 인증 취득하며 프로젝트를 종료했다. 최초 목표 대비 3개월 빠른 성과다.동국제강은 2023년 6월 동국제강(현 동국홀딩스) 분할로 출범한 철강전문회사다. ‘Steel for Green’을 친환경 중장기 비전 삼아 지속가능한 공정과 친환경 제품 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동국제강은 친환경 녹색제품을 기반으로 글로벌 저탄소 철강재 시장을 공략해 나갈 계획이다.
-
일반적인 반도체 기반 가변 커패시터(Varactor) 다이오드는 P-N 접합에서 변형으로 동작하며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만 성능이 최적화된다.반면에 강유전체 금속 절연체-금속 커패시터(MIMCAP)은 DC 전압 변화에 따라 커패시턴스가 비선형적으로 변화하는 특성이 있다. 마이크로파 대역에서도 높은 Q-factor(품질 계수)를 유지할 수 있다.이를 활용해 주파수 가변형 안테나(Tunable Antenna), 위상 배열 안테나(Phased Array Antenna), 주파수 변조 회로 등에 적용될 수 있다.또한 강유전체는 고주파에서도 빠르게 응답할 수 있으며, 기존 반도체 기반 RF 스위치보다 낮은 삽입 손실(Insertion Loss)과 높은 절연 특성을 가질 수 있다.특히 강유전체는 전압-의존적 비선형 특성을 활용해 주파수 혼합(Frequency Mixing), 위상 변조(Phase Modulation), 진폭 변조(Amplitude Modulation, AM) 등 다양한 RF 신호 처리에 적용될 수 있다.또한 강유전체의 높은 유전율(High Permittivity) 덕분에, 동일한 크기에서 더 높은 커패시턴스를 제공하여 RF 필터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강유전체는 저소음 증폭기(LNA) 및 다중 대역 필터(Dual-band 또는 Multi-band RF Filter)에 적용된다.또한 일반적인 RF 소자는 높은 전력 소모로 인해 배터리 구동이 어려운 경우가 많지만 강유전체는 낮은 전압에서도 큰 커패시턴스 변화를 제공할 수 있어 에너지 효율적인 RF 시스템의 설계에 적용될 수 있다.강유전체 특성의 중요성을 고려해 이번 회에서는 면적이 서로 다른 MIMCAP 고주파 측정을 통한 아주 얇은 강유전체 비선형성 특성화 방법' 논문을 소개한다. 2024년도 한국전자파학회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 12, No. 1 2024. 8. 21~24에 게재됐다.◇ 마이크로파(Microwave) 대역에서 강유전체의 비선형 특성에 대한 관심 증가강유전체(Ferroelectri
-
2019년 4월3일 우리나라에서 5G(세대) 서비스를 시작한지 5년 반이 조금 넘은 상황에서 6G 서비스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이다.6G 통신 기술은 초고속 데이터 전송, 초저지연, 대규모 연결을 제공하는 차세대 무선 통신 기술로 고주파 대역(테라헤르츠 수준)에서 효율적인 전송이 핵심 과제다.이 과정에서 커패시터(capacitor·축전기)의 유전체 특성은 주파수 응답 특성, 열적 안정성, 소형화/집적화 및 전자기파 차폐/간섭방지 등 등 다양한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테라헤르츠 주파수 대역의 6G 통신의 경우에는 커패시터의 유전율 변화와 손실 계수(Dielectric Loss)가 주파수 응답 특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특히 무선주파수(RF) 회로에서 사용되는 커패시터는 신호 필터링 역할을 수행하며 유전체 특성이 불안정하면 왜곡과 신호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고유전율 물질은 높은 에너지 저장 능력을 제공하지만 고주파에서는 손실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6G 통신 장비는 고전력 및 고주파 동작으로 열 발생이 많으므로 커패시터의 유전체는 온도 변화에 강한 특성을 가져야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또한 6G 통신 장비는 소형화된 기기와 높은 집적도를 요구하므로 유전체 물질의 유전율이 높으면 더 작은 크기의 커패시터로 동일한 전기 용량을 구현할 수 있다.고유전율 및 낮은 손실 특성을 가진 커패시터는 전자기 간섭(EMI)을 줄이고, 신호 무결성을 보장하는 데 기여한다.이와 같은 커패시터의 유전율 특성의 중요성을 고려해 이번 회에서는 '유전체의 두께가 서로 다른 MOSCAP들을 이용한 얇은 유전체 특성화 방법' 논문을 소개한다.본 논문은 2023년도 한국전자파학회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 11, No. 1 2023. 8. 23~26에 게재됐다.◇ 서론... 커패시터의 단면적 차이를 기반으로 유전체 특성을 추출하는 기존 방법은 정확도에 영향기존 커패시터 구조에서 유전체 특성을 추출하는 전형적인 방법은 커패
-
파키스탄 국가관세위원회(NTC)의 자료에 따르면 중국과 우크라이나산 철강제품에 대한 반덤핑 관세를 다시 부과할 예정이다.관세는 현재 13.17%로 결정했지만 향후 5년간 19.04%까지 인상할 계획이다. 대상제품은 냉연코일과 냉영강판 등이다. 이들 국가는 2014년 4월부터 2015년 3월까지 2개의 제품을 덤핑으로 수출했다.2016년 12월 기준 냉연코일의 국제가격은 톤당 700달러 수준이다. 하역비용은 80루피이고 모든 세금을 포함할 경우 8.5만루피의 비용이 추가된다.파키스탄의 경우 연간 100만톤의 냉연강판이 필요한데 약 80만톤이 생산된다. 따라서 부족한 제품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데 덤핑수출로 인해 국내 생산기반마저 붕괴되고 있어 대책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NTC 홈페이지
-
인도 정부에 따르면 2016년 11월 23일부터 수입되는 주요 철강제품에 대해 세이프가드관세를 부과할 방침이다. 관세부과기간은 2019년 5월 22일까지다.세이프가드관세는 최대 10%부터 시작해 2019년까지 8%, 6%로 차츰 인하할 계획이다. 2015년 9월에는 열연코일에 대해 200일동안 20%의 관세를 부과한 사례도 있다.
-
2016-04-19일본 도쿄제철은 5월 계약분 강재판매가격을 인상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형봉강가격은 톤당 7000엔, 아연도금코일은 5000엔, 열연강판은 3000엔 각각 인상한다.
-
2016-04-15일본 자동기계업체인 CKD는 2016년 발열억제에 특화돼 기존제품과 같은 사이즈에서 최대 10배 출력이 가능한 코일제품을 개발했다고 발표했다.카메라제조업체인 니콘의 소형 반도체 제조장치에 채용된 이 코일은 장치소형화 및 생산효율성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코일은 철사 등의 가늘고 긴 금속선이나 띠를 감은 것으로 전기나 자기를 발생하기 때문에 동력원 등에 이용된다. 전류를 흘리면 금속의 저항으로 열이 생기기 때문에 큰 전류를 흘리면 주변기기를 망가트리는 일이 생긴다.CKD가 개발한 코일은 고열전도코일의 위아래를 산화알루미늄으로 코팅하고 내부에 냉각수가 흐르는 구조인 산화알루미늄의 냉각판과 접합시켰다. 열을 전달하기 쉬운 부분에 냉각판을 붙여 전류를 흘리면서도 온도의 상승을 억제하는 구조다.CKD에 따르면 이런 구조의 코일은 세계 최초로 코일 1개당 흘리는 전류량이 상승하면 많은 코일을 사용해야 했던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고 밝혔다.이번 코일유닛을 사용한 제1탄 제품은 니콘과 공동개발해 특허출원한 모터다. 니콘은 웨이퍼에 반도체회로를 각인하는 액침노광 장치인 450mm웨이퍼의 이동장치(웨이퍼홀더)에 모터를 탑재했다.웨이퍼홀더의 모터 성능을 향상시킴으로서 생산능력이 크게 향상됐고 웨이퍼대의 면적도 소형화할 수 있었다.CKD는 코일유닛이 여러 기업에서 상품문의가 많아 향후 주력제품으로 용도확대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응용제품으로는 큰 전류가 필요한 트랜스와 노이즈필터, 리액터 등의 탑재를 목표로 하고 있다.▲ CKD 로고
-
일본 자동기계업체인 CKD는 2016년 발열억제에 특화돼 기존제품 대비 10배 출력이 가능한 코일제품을 개발했다고 발표했다. 소형 반도체의 제조장치에 채용되는 이 코일은 장치소형화 및 생산효율성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
전자부품제조업체 TDK, 2016년 9월부 자동차 엔진룸 설치용으로 개발한 전력변환 부품인 코일을 월 500만 개 생산 계획...자동운전용으로 증산 중인 전자제어장치(ECU)의 소형화 및 고내열에 효과적일 것으로 전망
-
[일본] 코일센터공업조합, 2015년 코일센터 출하량 1558.2만톤으로 전년 대비 4.1% 감소...자동차·건축 등 수요하락 주요인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