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
" 프놈펜"으로 검색하여,
12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지난 몇 년 동안 우리나라 금융기관은 임직원의 내부부정행위로 홍역을 치루고 있다. 감사를 강화하고 시스템을 정비하는 등 부산을 떨었지만 효과는 불투명한 상태다.금융감독원은 은행, 증권, 카드 등 금융기관의 내부통제 기준이 적절한지 점검하고 있다. 일부 금융기관은 직원의 윤리문화에 대한 교육으로 내부통제를 완성할 수 있다고 믿는다.엠아이앤뉴스(대표 최치환)는 JB금융지주에 '내부통제시스템' 관련 질문지를 보내 답변을 받았다. JB금융지주에서 보내온 답변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JB금융지주의 내부통제시스템 운영 현황 및 성과 [출처=iNIS]◇ 2013년 전북은행을 모태로 출범해 '강소금융그룹'으로 성장... 동남아 시장에서 호실적 달성2013년 6월19일 금융위원회로부터 지주회사 설립 본인가를 받은 JB금융지주는 지난 10년 동안 괄목할만한 성장을 이어왔다.출범 당시 2개의 계열사로 시작했지만 2025년 1월 기준 지주 포함 10개사를 거느린 종합금융그룹으로 성장했다. 2013년 7월 전북은행을 모태로 출범한 서남권 최초의 금융지주사다.- 간략하게 JB금융지주을 소개하면. "JB금융그룹은 지주 출범 이후 손자회사였던 JB우리캐피탈을 자회사로 편입했으며 2014년 3월 더커자산운용(현 JB자산운용) 인수에 이어 같은해 10월 광주은행을 자회사로 인수했다.2022년 6월 IB인베스트먼트를 한 식구로 맞이하면서 전북은행, 광주은행, JB우리캐피탈, JB자산운용, JB인베스트먼트 등 5개의 자회사를 거느리게 되었다."- 해외 사업도 적극적으로 펼치고 있는데."글로벌 사업에서도 의미있는 성장세를 이어왔다. 2016년 캄보디아 상업은행인 프놈펜상업은행(PPCBank), 인수로 필두로 JB우리캐피탈 미얀마 현지법인 JB우리캐피탈 미얀마를 설립했다.2019년 말 글로벌 투자은행(IB) 모건스탠리 소유한 베트남 증권사를 인수해 JB증권 베트남(JB Securities Vietnam, JBSV)을 출범시켰다.2021년 캄보디아에 자산운용사 JB PPAM을 신설하는 등
-
2024-07-19▲ 한국수자원공사 홈페이지'물이 여는 미래, 물로 나누는 행복'을 추구하는 한국수자원공사(K-water, 사장 윤석대)는 2024년 7월18일 캄보디아와 물·에너지·도시 분야 협력사업 추진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밝혔다.주한 캄보디아대사관에서 찌링 보퉁 랑세이(Chring Botumrangsay) 대사를 만나 양국의 협력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 2024년 5월 한국에 국빈 방문했던 훈 마넷(Hun manet) 캄보디아 총리와 면담의 후속 조치다. K-water는 지난 총리 면담에서 캄보디아의 물 문제 해소 및 전략적 도시개발 방향인 ‘국가 통합 물관리와 새로운 번영’ 사업을 제안했다.캄보디아는 ‘K-water의 Water-Energy-City’ 패키지 사업을 통해 홍수 예방 및 유량조절 등 유역 간 연결 수로 인프라 구축사업을 시작으로 오스라 소수력 개발사업, 프놈펜 도시개발 사업 등을 추진하길 희망한다.양국의 협력은 현재 추진 중인 캄보디아 전역 수자원 인프라 구축 마스터플랜, 프놈펜 스마트물관리 시스템 구축사업 등으로 확장될 가능성도 높다.윤석대 한국수자원공사 사장은 “한국수자원공사는 통합물관리부터 수변도시 조성까지 그간 축적한 다양한 경험과 기술을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중점협력국인 캄보디아의 물 안보 증진과 국가 경제 성장 목표에 기여할 것이다”고 강조했다. 참고로 K-water는 1999년부터 메콩강 수자원조사 사업을 시작으로 2024년 프놈펜 지역 스마트물관리 시스템 구축사업에 착수했다.
-
캄보디아 프놈펜항공운송회사에 따르면 2017년 '항공화물운송' 사업을 시작하기 위해 운항증명(AOC)을 발급받을 계획이다.민간항공청(SSCA)으로부터 지난 2015년 1월에 항공 및 물류회사로서 사업권을 승인받았다. 이제 운항증명만 획득하면 운송사업을 전개할 수 있다.이번 사업을 위해 중국으로부터 US$ 3000만달러 상당의 투자액이 유입될 예정이다. 중장기적인 계획으로 보잉737기 6대를 공급해 연간 5000톤 규모로 운영할 계획이다.▲캄보디아 민간항공청 홈페이지
-
▲ 캄보디아 의회 빌딩 [출처=홈페이지]캄보디아 택시업체 Choice Taxi에 따르면 2016년 11월 수도 프놈펜 내에서 행해지는 '무면허 택시영업'으로 인해 합법사업자들의 피해가 속출되고 있다.공식사업자의 경우 월 US$ 2000달러에 달하는 택시면허 수수료를 지방자치단체에 납부해야 한다. 그러나 불법영업자들은 이를 무시하고 요금을 낮추다 보니 합법사업자와의 마찰이 발생되고 있다.
-
▲ 캄보디아 의회 빌딩 [출처=홈페이지]캄보디아 프놈펜항만청(PPAP)에 따르면 2016년 10월 베트남 항만서비스업체 'Viet Sac Port Service'와 시설 재보수와 관련해 파트너쉽 체결했다.이는 새로운 컨테이너 터미널인 LM17의 유지보수관리를 위한 협력이다. 현재 프놈펜항만청의 교역량이 증대되면서 터미널시설의 보완 수요가 더욱 늘어나고 있다.
-
말레이시아 식음료업체 Big Apple Donuts & Coffee, 2016년 4월 캄보디아 수도 프놈펜에 4호점 개설하면서 동종계 경쟁과열 중... 2015년 1호점 개설 이후 미국 크리스피도넛을 비롯한 독립업체 간 시장진입이 빠르게 진행 중
-
베트남 최대유제품업체인 비나밀크(Vinamilk)는 2016년 4월 캄보디아 유통담당업체로 현지 동종계인 Angkor Dairy Products Co Ltd를 지정했다.지난 3월에 캄보디아의 유제품시장 투자라이센스가 만료되면서 대표사무소가 철수했다. 이후 자사제품의 유통과 제조를 유지하기 위해 중개업체를 선정하게 된 것이다.이미 2014년 해당업체와 합작투자를 통해 5120억 동(약 265억 원) 규모의 프놈펜 생산공장을 설립했기 때문에 제조인프라는 갖춰져 있다. 이 현지공장의 비나밀크 지분율은 51.0%다.현재 비나밀크는 캄보디아를 포함해 태국, 한국, 일본, 중국, 터키 등 해외 42개국에 진출해 있다. 올해 닛케이선정 '아시아의 가장 역동적인 기업 300개' 중 국내업체로는 1위에 꼽힌 명실상부한 글로벌기업이다.참고로 비나밀크의 주여 기업현황을 보면 ▲ 시가총액 161조8900억 동 ▲ 국내 유제품시장 점유율 50% ▲ 연간 분유생산량 5만4000톤 등으로 나타났다.▲비나밀크 광고포스터(출처 : 비나밀크)
-
[캄보디아] 커피전문점 Brown Coffee&Bakery, 2016년 시암레아프(Siem Reap)지역에 첫 지역가맹점 설립 예정... 프놈펜 소재의 인기 카페로 수도 이외의 지역개설은 첫 시도임·시엠레아프는 앙코르유적지 경유지로서 관광객 대상 마케팅 계획 중
-
필리핀에어라인(PAL), 2016년 2월 캄보디아행 직항노선 운영계획 논의... 양국간 인적자원 및 관광객 교류목적으로 마닐라국제공항-'프놈펜·시암레아프' 중 1개 도시로 선정 검토 중
-
필리핀에어라인(PAL), 2016년 2월 캄보디아행 직항노선 운영계획 논의... 양국간 인적자원 및 관광객 교류목적으로 마닐라국제공항-'프놈펜·시암레아프' 중 1개 도시로 선정 검토 중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