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
" AOM"으로 검색하여,
14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삼성전자 Neo QLED 8K 제품[출처=삼성전자]삼성전자(회장 이재용)에 따르면 2025년 1월7일~10일(현지시간)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가전·정보기술(IT) 전시회 CES 2025에서 구글과 공동 개발한 3D 오디오 기술 ‘Eclipsa Audio(이클립사 오디오)’를 탑재한 TV를 업계 최초로 선보인다.이클립사 오디오는 IAMF(Immersive Audio Model and Formats) 기술을 기반으로 소리의 위치와 강도, 공간 반사음 등의 음향 데이터를 디바이스 환경에 맞게 최적화해 3차원 공간에 있는 듯한 몰입감 있는 사운드 경험을 구현한다.IAMF 기술은 삼성전자를 포함한 구글·넷플릭스·메타 등 다양한 글로벌 기업이 속한 ‘오픈미디어 연합(AOM)’에서 최초로 채택한 오디오 기술 규격으로 오픈소스 기반으로 제공되는 첫 번째 개방형 오디오 기술이다.오픈미디어 연합(AOM, Alliance for open media)은 콘텐츠 제작자들이 비용 부담 없이 멀티미디어 전송 기술을 사용할 수 있도록 기술 개발과 공유를 목표로 운영하는 비영리 산업 컨소시엄이다.IAMF 기술은 다수의 글로벌 기업이 주도해 표준을 확립함으로써 생태계 확장에 이바지하고, 향후 다양한 서비스로 확산이 가능할 전망이다.삼성전자는 2025년형 크리스탈 UHD 모델부터 Neo QLED 8K까지 전 라인업에 IAMF 기술을 공식 지원한다.삼성전자와 구글은 TV 전용 유튜브 앱을 통해 소비자들이 IAMF 기술이 적용된 3D 오디오 콘텐츠를 즐길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한편 삼성전자와 구글은 IAMF 오디오 인증 프로그램 도입을 추진 중이다.양사는 외부 인증기관인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와 함께 Eclipsa Audio 기술이 적용된 기기의 오디오 품질을 보장하기 위한 테스트 기준을 마련하며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 손태용 부사장은 &ldqu
-
2022-07-06중국 글로벌 최고 가전 및 스마트 제조업체인 샤오미(Xiaomi)에 따르면 데이터 보안 활동을 상세히 기술한 연례 투명성 보고서가 포함된 '보안 및 개인정보에 관한 백서'를 발표했다.또한 연례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의 달을 지정해 고객의 데이터 보호에 전념하고 있다. 중국 베이징 샤오미 테크놀로지 파크, 싱가포르 샤오미 테크놀로지 오퍼레이션 센터에서 직원 교육 행사 및 전문가 세미나를 개최했다.3년 연속 엔지니어 등 직원을 대상으로 특별수업을 진행했다. 데이터 보안 및 이용자 개인정보 보호의 중요성에 대해 업계 임원, IT 보안 전문가, 대중과 토론할 수 있는 역량을 제고하기 위함이다.1개월에 걸친 일련의 행사는 샤오미 제품의 신뢰을 향상하기 위한 목적이다. 사용자의 보안과 사생활 보호, 투명성과, 책임성을 강조했다.샤오미는 사이버 보안 전문가, 스마트폰 운영체제 엔지니어, 변호사, 법률 준수 전문가 상호간 협력을 통해 데이터 보안과 사용자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해 포괄적인 거버넌스 구조를 구축했다.보안 및 개인 정보 보호 위원회를 주축으로 보안 및 개인 정보 보호 전문가들을 감독한다. 글로벌 비지니스의 장기적이고 지속 가능한 발전의 핵심이라고 판단하기 때문이다.지난 6월 29~30일 양일간 베이징에서 다섯 번째 연례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보안 정상회담을 개최했다.업계 임원과 전문가들이 모여 데이터 보안 거버넌스 프레임워크와 인터넷 연결 전기 차량의 보안 및 소프트웨어 공급망 보안 위협을 해결하기 위한 국경 간 데이터 전송 등 광범위한 문제를 논의했다.샤오미는 2014년 보안 및 개인 정보 보호 위원회 설립을 시작으로 꾸준하게 보안 활동을 해오고 있다. 2016년에는 중국 기업 최초로 트러스트 아크(TrustArc) 인증을 획득했다.2018년 유럽연합(EU) 준수 평가의 일반 데이터 보호 규정(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 GDPR)을 채택했다. 또한 2019년 ISO./IEC 2700
-
2022-03-03중국 스마트폰 제조업체인 샤오미(小米)에 따르면 차세대 에너지 차량(NEV) 부품 공급업체인 쑤저우 칠예 그린 테크놀로지(Suzhou Chilye Green Technology)에¥1억 위안을 투자했다.용화 캐피탈(Yonghua Capital), 오리자 홀딩스(Oriza Holdings), 리더 벤쳐 캐피탈(Leader Venture Capital)도 투자 라운드에 함께 참여했다.투자금은 전압 커넥터 및 배전 관리를 위한 솔루션의 연구 개발에 사용될 예정이다. 또한 생산 능력을 확장하고 상업용 설치를 개선할 방침이다.쑤저우 칠예 그린 테크놀로지는 쑤저우(苏州), 창저우(常州), 류저우(柳州)에 각각 하나씩 3개의 생산 기지가 운영하고 있다. 이를 통해 2022년 중반까지 300만 개의 NEV용 부품을 공급할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된다.한편 샤오미는 향후 10년 동안 스마트 전기자동차를 개발하기 위해 US$ 100억 달러를 투자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연간 30만 대를 생산할 계획이다.전기자동차 공장을 2단계에 걸쳐 건설할 예정이고 2024년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샤오미의 전기 자동차 시장에의 진출이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쑤저우 칠예 그린 테크놀로지(Suzhou Chilye Green Technology)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2022-01-11인도 국세정보국(Directorate of Revenue Intelligence)에 따르면 중국 샤오미에게 Rs 65.3억루피의 관세를 납부하라고 지시했다. 2017년 4월 1일부터 2020년 6월 30일까지의 기간에 발생한 세금이다.샤오미의 자회사인 샤오미 인디아(Xiaomi Technology India Private Limited)가 수입 상품의 가격을 낮게 책정하는 방식으로 관세를 줄인 것으로 판단했기 때문이다.샤오미 인디아가 미국의 퀄컴과 중국의 샤오미 본사에 로열티와 라이선스 비용을 송금하는 서류를 확보해 관세 탈루를 파악했다.다른 중국계 스마트폰업체인 오포도 비슷한 방식으로 세금을 탈루한 것으로 드러났다. 국세정보국은 양사에 100억루피의 벌금을 부과했다.참고로 관세에 관련된 법률은 '관세법 1962(Customs Act, 1962)이며 관련 규정은 14장에 명시돼 있다. 관세 평가 규정 2007(Customs Valuation Rules 2007)도 수입 상품의 가치를 결정하는데 적용된다.▲국세정보국(Directorate of Revenue Intelligence) 로고
-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카운터포인트 리서치(Counterpoint Research)에 따르면 2020년 인도 온라인 스마트폰 판매 점유율이 45%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중국발 Covid-19 판데믹 영향으로 사회적 거리유지를 위해 오프라인 매장 구매보다 온라인 구매를 선호하기 때문이다.온라인 판매는 전년 대비 약 5% 줄어들었다. 반면 오프라인 스마트폰 판매량은 전년 대비 19% 감소할 것으로 예측된다.2020년 1분기 전체 온라인 시장에서 플립카트(Flipkart)의 시장 점유율이 50%를 차지했지만 출하량은 전년 대비 7% 감소했다. 아마존(Amazon)이 급격히 성장하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또한 인도 스마트폰 판매업체 중 중국의 샤오미(Xiaomi)의 2020년 1분기 온라인 판매 점유율은 45%를 기록했다. 다른 업체인 리얼미(Realme)의 점유율도 18%에 달했다.
-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IDC에 따르면 2019년 3분기 인도 스마트폰 출하량이 4660만대로 전년 동기 대비 9.3%, 전분기 대비 26.5% 성장한 것으로 집계됐다.몇몇 온라인 할인 판매, 신규 모델 출시, 몇몇 핵심 모델의 가격 조정 등에 의해 판매량이 급격히 늘어났기 때문이다.이중 중국의 Xiaomi의 3분기 스마트폰 출하량은 1260만대로 시장 점유율 27.1%를 기록해 1위를 차지했다. 전년 동기 1170만대 대비 90만대 늘어났으나 시장점유율은 27.3%에서 0.2%P 하락했다.2위 삼성전자의 3분기 스마트폰 출하량은 880만대로 시장점유율 18.9%를 기록했다. 전년 동기 960만대 대비 80만대, 시장점유율 22.6% 대비 3.7%P 줄어들었다.중국 비보의 3분기 스마트폰 출하량은 710만대로 전년 동기 450만대 대비 1.6배 늘어나 시장 점유율 15.2%를 차지해 3위를 기록했으며 전년 동기 10.5% 대비 4.7%P 확대됐다.중국의 OPPO는 5위를 차지했으며 OPPO의 독립 휴대폰 브랜드 Realme는 4위를 차지했다. Realme의 3분기 스마트폰 출하량은 670만대로 전년 동기 130만대 대비 540만대 늘어났으며 시장 점유율은 14.3%로 전년 동기 3.1% 대비 11.2%P 확대됐다.OPPO의 스마트폰 출하량은 550만대로 전년 동기 290만대 대비 260만대 증가했으며 시장 점유율은 11.8%로 전년 동기 6.7% 대비 5.1%P 늘어났다.인도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1~5위 업체 중 중국기업의 시장 점유율이 2018년 3분기 47.6%에서 2019년 3분기 68.4%로 20.8%P 확대됐다.▲ oppo▲ OPPO 홈페이지
-
중국 스마트폰 제조업체인 샤오미(Xiaomi)에 따르면 향후 5년 동안 인공지능(AI) 및 사물인터넷(IoT)에 Ұ100억 위안 이상을 투자할 계획이다.샤오미는 AI 및 IoT 기술과 어플리케이션뿐만 아니라 스마트폰에 회사의 성장전략을 맞출 계획이다. 이를 위해 샤오미는 가전업체인 티씨엘(TCL)과 전략적 제휴관계를 맺고 티씨엘 주식의 일부분을 이미 인수했다.가전사업은 공급체인 및 제조, 특히 에어컨 및 세탁기 분야에서 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1억2300만대의 스마트 장치를 연결하는 소비자 IoT분야의 거인으로 평가 받고 있다.스마트폰 사업은 제품 포트폴리오 최적화뿐만 아니라 혁신과 품질로 경쟁력을 갖출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샤오미는 유럽과 중남미 시장에 초점을 맞춰 2019년에도 글로벌 확장을 계속할 방침이다.▲ China-Xiaomi-IoT-SmartPhone▲ 샤오미(Xiaomi)의 스마트폰 Mi 8 Pro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2018-12-03중국 글로벌 ICT기기 제조업체인 샤오미(Xiaomi)에 따르면 스웨덴 글로벌 가구업체인 이케아(IKEA)와 스마트 홈조명제품에서 협력하기로 합의했다.2018년 12월부터 협력은 지행되며 스마트 조명제품과 샤오미의 사물인터넷(IoT) 플랫폼을 연결하기 위한 목적이다. 이케아가 중국 기업과 협력하는 것은 최초이다.이케아의 스마트 홈 조명제품은 샤오미의 인공지능(AI) 음성지원 제품과 미(Mi) 홈 앱과 등에 의해 통제된다. 샤오미의 센서와 전자기기 등과도 연결된다.현재 샤오미의 사물인터넷 플랫폼은 2018년 9월 30일 기준 스마트폰과 랩탑 컴퓨터를 제외하고 1억3200마개 스마트 기기와 연결돼 있다. 전세계 200여개 국가에서 매일 2000만건 이상의 스마트 기기가 작동되고 있다.▲샤오미(Xiaomi)의 사물인터넷 제품(출처 : 홈페이지)
-
홍콩 글로벌 시장조사업체인 카운터포인트(Counterpoint Research)에 따르면 2018 회계연도 동안 인도 소비자가 중국 상위 4개 브랜드의 스마트폰 구매에 5000억루피 이상을 지출한 것으로 집계됐다.4개 브랜드는 샤오미(Xiaomi), 오포(Oppo), 비보(Vivo), Honor 등으로 판매액은 2017 회계연도 대비 거의 2배로 급증했다. 이외의 몇몇 중국 브랜드를 포함할 경우 시장점유율은 50%를 상회했다.중국 브랜드들은 고사양 모델을 적극적으로 출시하고, 한국, 일본, 국내 기업들 대비 낮은 가격을 제시해 판매량을 늘렸다. 국내 시장에서 글로벌 브랜드 이미지를 성공적으로 구축한 것으로 판단된다.인도 스마트폰 시장에서 중국 브랜드의 상위 선점 트렌드는 지속될 것으로 판단된다. 현재 샤오미, 오포, 레노버-모토롤라, 화웨이, 비보 등이 국내에 제조공장을 설립해 운영 중이다.▲카운트포인트(Counterpoint Research) 홈페이지
-
중국 스마트폰 제조업체인 샤오미(Xiaomi)에 따르면 폭스콘과 합작해 2018년 인도현지에 새로운 공장 3개를 건설하기로 결정했다. 인도내 합작회사 모바일 배터리공장에서는 휴대폰 제조를 시작할 예정이다.인도에서 샤오미는 고품질과 우수한 디자인, 합리적인 가격 등으로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다. 휴대폰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다.또한 샤오미는 대만 폭스콘그룹과 인도 최초 인쇄회로기판 조립 표면실장공장 건설에 협력하기로 합의했다. 생산현지화를 추진하기 위한 목적이다.2018년 3분기까지 현지 생산비율을 100% 끌어 올린다는 전략이다. 3개 공장의 고용인력은 약 1만명으로 전체의 약 95%가 여성인력으로 구성된다.샤오미는 2015년 인도 정부의 'Made in India' 정책에 맞춰 현지 생산을 발표하고, 폭스콘과 합작해 공장을 설립했다. 2017년에는 두번째로 모바일 배터리공장을 설립했으며 이번 신공장 및 인쇄회로기판 공장을 포함해 6개로 늘어나게 된다.샤오미는 2017년 4분기 인도 시장점유율 26.8%를 기록하고 있다. 인도에서 판매하고 있는 스마트폰의 약 95% 이상이 현지에서 제조되고 있다.▲샤오미(Xiaomi) 로고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