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0
" Battery"으로 검색하여,
98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9-05▲ LG에너지솔루션-KAIST 리튬메탈전지 12분 급속 충전 기술 개발 [출처=LG에너지솔루션-]LG에너지솔루션(대표이사 김동명)에 따르면 2025년 9월4일(목) FRL 연구팀은 1회 충전에 800킬로미터(km) 이상 주행, 누적 주행거리 30만km 이상 수명을 확보하면서 충전 시간을 12분까지 단축할 수 있는 리튬 메탈 전지 연구 결과를 세계적인 학술지 ‘네이처 에너지(Nature Energy)’에 게재했다.FRL(Frontier Research Laboratory) 연구팀은 LG에너지솔루션과 한국과학기술원(총장 이광형, 이하 KAIST)이 공동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차세대 배터리로 주목받고 있는 리튬 메탈 전지(Lithium Metal Battery) 충전 속도를 혁신적으로 단축할 수 있는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LG에너지솔루션과 KAIST는 2021년 리튬 메탈 전지 관련 원천기술 개발을 위해 공동 연구센터 FRL(Frontier Research Laboratory)을 설립한 이후 독보적인 연구 성과를 발표하고 있다.이번 기술은 2023년 발표해 ‘네이처 에너지’에 게재된 ‘저부식성 붕산염-피란(borate-pyran) 액체 전해액 기반 리튬 메탈 전지’의 후속 연구다.방전 효율과 에너지 밀도 개선은 물론 리튬 메탈 전지의 난제로 꼽히던 ‘충전 속도’에서 진일보한 연구 결과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네이처 에너지(Nature Energy)는 2024년 Clarivate Analytics가 발표한 Journal impact factor에서 에너지 분야 182개 학술지 중 1위, 총 2만1000여 개 학술지 중 23위를 기록했다.◇ 리튬 메탈 전지의 난제 ‘충전 속도’ 해결, 급속충전에서도 안정적 구동 가능리튬 메탈 전지는 리튬이온 배터리(Lithium-ion battery)의 핵심 소재 중 하나인 흑연 음극을 리튬 메탈(Lithiu
-
2024-10-07▲ LS ELECTRIC, 큐덴코와 일본 BESS 사업협력 MOU 체결[출처=LS ELECTRIC]LS일렉트릭(LS ELECTRIC, 구자균 회장)에 따르면 2024년 10월6일(일요일) 서울특별시 삼성동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 호텔에서 일본 큐덴코(九電工)와 BESS 사업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양해각서 체결을 위해 구자균 LS일렉트릭 회장과 조노 마사아키 큐덴코 부사장 등 양사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BESS란 'Battery Energy Storage System'의 약어로 배터리 에너지저장장치 시스템을 뜻한다.LS일렉트릭은 일본 큐슈전력의 자회사인 큐덴코(九電工)와 손잡고 일본 현지 BESS 시장 공략을 본격화한다. BESS에 필요한 전력변환시스템(PCS), 배터리, 전력설비를 포함하는 모든 솔루션을 생산 및 공급한다.한국에서 1.4기가와트시(GWh) BESS를 성공적으로 구축했다. 현지에서 다수의 ESS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는 만큼 관련 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한다는 계획이다.큐덴코는 BESS 구축을 위한 사이트 발굴, 프로젝트 부지확보와 각종 허가, 인증 취득 등 토지 개발 단계부터 전반적인 시스템 설계와 계통 연계 및 통합, 건설, 운영을 모두 맡게 된다.일본은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 폭발 사고 이후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이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전력계통을 안정적이고도 효율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BESS 사업이 최근 급격히 확장되고 있다.일본 경제산업성과 도쿄도를 비롯한 지방자치단체가 BESS 프로젝트를 적극 지원하는 만큼 양사는 급성장하는 시장에서 포괄적 협력을 통해 사업을 주도하겠다는 전략이다.큐덴코는 후쿠오카에 본사를 둔, 큐슈전력의 전기시공 전문 자회사로 현지 최대 규모인 470MW급 우쿠지마 태양광 발전소 프로젝트 대형 신재생에너지 사업도 적극 추진하고 있다.LS일렉트릭은 우쿠지마 프로젝트에 전압형 HVDC (초고압직류송전) 변환용 변압기, RMU (Ring Main Unit
-
▲ 영국 중력전지 기업인 그래비트리시티(Gravitricity) 로고영국 중력전지 기업인 그래비트리시티(Gravitricity)에 따르면 유럽에서 가장 깊은 광산을 중력전지로 전환하는 작업을 시작할 계획이다. 유럽에서 처음으로 시행되는 프로젝트다.핀란드 수도인 헬싱키 북쪽에 위치한 퓌해얘르비 광산은 유럽에서 가장 깊은 광산으로 깊이가 1444미터(m)에 달한다. 캐나다 광산 및 금속회사인 퍼스트 퀀텀 미네랄즈(First Quantum Minerals)에서 소유하고 있다.퓌해얘르비 광산은 2022년 8월부터 생산을 중단했지만 아연과 구리를 채굴했다. 한때 퓌해얘르비 도시의 가장 큰 고용처로 600명 이상의 일자리를 제공했다.그래비트리시티에서 개발한 중력 기반 시스템인 그래비스토어(Gravistore)를 활용할 계획이다. 해당 시스템은 폐광의 갱도에 설치된 추의 높낮이를 조정해 전력을 보관하거나 사용할 수 있다.2MW 프로토타입 개발에 530m의 보조수갱을 활용할 계획이다. 참고로 중력전지는 폐광 등 기존 인프라시설을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리튬이온 전지의 대체재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
▲ Group14(Group14 Technologies) [출처=홈페이지]미국 글로벌 첨단 실리콘 배터리 기술 제조 및 공급기업인 Group14(Group14 Technologies)에 따르면 자사 배터리 공장에 대한 ISO 9001 인증을 획득했다.ISO 인증을 받은 시설은 워싱턴주 우드인빌에 위치하고 있는 상용 배터리 활성 재료(Battery Active Materials, BAM-1) 공장이다. Group14의 ISO 인증은 글로벌 제조 로드맵의 중요 구성 요소다.또한 자동차 제조사 포르쉐(Porsche AG) 및 리튬이온 배터리 혁신기업 ATL(Amperex Technology Limited)을 포함해 고객으로부터 고성능 배터리 소재에 대한 수요를 효과적으로 충족할 수 있는 능력을 검증받았다.ISO 9001은 전 세계 100만 개 이상의 회사 및 조직이 일관된 고품질 생산을 보장하도록 인증하는 품질관리원칙을 포함하고 있다.Group14는 미국, 아시아 및 기타 지역에 첨단 실리콘 배터리 기술을 위한 공장을 지속적으로 건설 중이다. 따라서 ISO 9001은 이들 고객이 요구하는 최고의 품질 관리 표준을 충족하기 위한 우선 순위다.품질은 실리콘 배터리 기술에 대한 혁신적인 접근 방식과 매달 톤(t) 단위로 납품할 수 있는 능률적인 제조 프로세스를 형성하도록 Group14에서 수행하는 모든 작업의 기초다.Group14는 ISO 9001 표준을 구현하고 인증을 받음으로써 세계적 수준의 품질 관리에 대한 의지를 보여줬다. 대표 기술인 SCC55TM은 리튬이온 배터리 혁신업체인 ATL(Amperex Technology Limited)가 제작한 배터리와 함께 스마트폰에 적용되고 있다.
-
영국 에너지 저장장치 제조업체인 인비니티 에너지 시스템(Invinity Energy Systems)에 따르면 품질관리(ISO 9001), 환경관리(ISO 14001) 및 보건 및 안전관리(ISO 45001)에 대한 표준을 인증받았다.ISO 9001은 조직의 품질관리시스템(QMS)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며 강력한 고객 중심, 프로세스 지향 및 지속적인 개선을 포함한 품질관리 원칙을 기반으로 한다. ISO 9001이 강조하는 절차와 프로세스는 고객이 지속적으로 고품질의 제품과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한다.ISO 14001은 환경관리시스템(EMS)을 조직의 제품 및 활동의 환경 영향을 측정, 관리 및 최소화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프레임워크로 정의한다. 이를 통해 회사가 환경 의무를 이행하고 회사의 운영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ISO 45001은 산업 보건 및 안전에 대한 국제 표준이며 운영과 관련된 모든 보건 및 안전 위험을 관리하고 최소화할 수 있다. ISO 45001 표준은 보건 및 안전 성과를 사전에 개선해 안전하고 건강한 작업장을 제공한다. 또한 위험을 더욱 줄이기 위한 절차를 공식화하는 데 도움을 준다.인비니티 에너지 시스템은 3가지 표준을 동시에 보유함으로써 고정식 에너지 저장 산업에서 선도적인 공급업체로서의 회사의 위치를 입증한 것으로 평가된다.이와 같은 ISO 표준의 준수는 회사의 비즈니스를 성장시키고 확장하는 데 필요한 강력한 기반을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인비니티 에너지 시스템(Invinity Energy Systems)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미국 글로벌 시장조사업체인 GIA(Global Industry Analysts Inc.)에 따르면 2026년까지 세계 리튬 이온 배터리(Lithium-ion Battery, LiB) 시장이 US$ 825억달러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코로나-19 사태 속에서 2022년 세계 리튬 이온 배터리(LiB) 시장은 489억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2026년까지 연평균 성장률(CAGR)은 13.3% 이상이다.리튬 이온 배터리(LiB)는 스마트폰 및 스마트워치부터 전기자동차(EV) 및 에너지 저장 시스템까지 광범위한 제품 및 응용 분야에서 사용된다.1991년 상업적으로 출시된 이후 리튬 이온 배터리(LiB)는 성능과 기능이 크게 향상돼 다양한 제품에서 없어서는 안 될 필수품으로 자리매김했다.고에너지 밀도, 긴 수명, 경량화 및 친환경적 특징을 가진 건전지에 대한 소비자 수요가 리튬 이온 배터리(LiB) 사용 증가에 기여하고 있다. 리튬 이온 배터리(LiB)는 에너지 저장 애플리케이션과 함께 전기차(EV), 하이브리드 전기차(HEV), 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PHEV) 시장에서도 선호되는 옵션으로 떠올랐다. 나노기술 분야의 발전과 전극 설계 분야의 첨단 화학의 발전에 힘입어 미래의 에너지 저장장치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리튬 이온 배터리(LiB) 시장은 자동화 필요성이 높아지고 다양한 산업에서 배터리 구동 소재 취급 장비의 사용이 확대됨에 따라 성장이 가속화되고 있다. 엄격한 배출가스 규제가 시행됨에 따라 점점 더 많은 소재 취급 장비 제조업체들이 전기에 관심을 두고 있다. 따라서 각종 장비에 사용되는 리튬 이온 배터리(LiB)에 대한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 ▲GIA(Global Industry Analysts Inc.) 로고
-
2022-02-28미국 전기 자동차용 고속 충전 리튬 금속 배터리 제조업체인 소일렉트(Soelect)에 따르면 글로벌 자동차제조업체인 GM 등으로 US$ 1100만 달러를 투자받았다. 투자업체에는 한국의 롯데 벤쳐스(Lotte Ventures), KTB 네트워크(KTB Network)도 포함됐다. 소일렉트는 노스캐롤리나(North Carolina)에 위치한 스타트업으로서 2018년에 설립됐다.소일렉트의 배터리는 'LiX' 음극의 경우 15분 만에 최대 100%의 급속 충전 기능이 가능하다. 특히 대부분의 재활용 프로세스에 필요한 프로세스를 파괴하지 않고 다시 사용이 가능하다. 소일렉트의 리튬 금속 기술은 미래의 리튬 금속 및 고체 전지 음극 설계에 기여할 수 있다. 소일렉트에 대한 제너럴모터스의 투자는 솔리드에너지시스템(SES)과 자동차 제조업체의 파트너십을 가속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펀딩을 통해 소일렉트는 배터리 기술 개발과 상용화를 주도하고 배터리 화학 발전을 주도할 최고의 인재를 채용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소일렉트(Soelect)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2022-02-28프랑스 전기자전거 배터리 제조업체인 구아슈(Gouach)에 따르면 새 펀딩 라운드에서 €330만 유로를 모금했다. 투자금은 마이크로 모빌리티 부문에 배터리를 판매하고 팀을 확장하는 데에 사용될 계획이다.구아슈의 배터리는 10분 이내에 수리할 수 있으며 폐기물의 양을 줄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지역 일자리를 창출하고 배터리의 노후화를 방지해 마이크로 모빌리티 배터리의 탄소 발자국을 70%까지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사용한 전지를 재사용하거나 재활용하여 자전거의 순환 경제를 창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구아슈는 전기 자전거 및 스쿠터 시장의 유일한 프랑스 업체인 포니(Pony)와 함께 스마트 배터리를 테스트하고 있다.이 테스트는 18개월의 연구 개발 단계 및 인증 획득 후 진행되고 있다. 사용자는 앱을 통해 실시간으로 배터리의 수명을 추적하고 사용을 최적화할 수 있다.장애 발생 시 경고와 정확한 진단을 받을 수 있다. 배터리 사용에 대한 데이터는 충전 지점에서 운영자가 수집할 수도 있다. 이번 펀딩을 통해 구아슈는 한 단계 더 성장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구아슈(Gouach)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독일 마이크로모빌리티 제공업체인 티어 모빌리티(Tier Mobility)에 따르면 배터리 스타트업기업인 버티칼 밸류(Vertical Values)와 협력해 전자 스쿠터 배터리를 수리하고 업사이클링을 진행할 계획이다.재사용 및 순환 경제를 통해 환경 영향을 줄이는 목적이다. 2021년 베를린에 설립된 버티칼 밸류는 리튬 이온 배터리에 두 번째 생명을 주어 지속 가능성을 높이겠다는 비전을 갖고 있다.특히 버티칼 밸류는 결함이 있는 배터리를 수리하거나 고장난 전기스쿠터에서 배터리 셀을 추출 및 분류할 수 있다.이와 같이 전기 배터리는 원래 충전량의 70~80%를 유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종종 폐기되어 업사이클링의 주요 대상이다. 각 배터리에는 서로 다르게 노화된 수백 개의 셀이 포함되기 때문이다.분류된 배터리 셀은 용도가 변경되어 새로운 제품으로 전환돼 수명이 연장된다. 배터리는 수백 번의 충전 후에도 여전히 용량의 80% 이상을 유지하기 때문에 배터리 재사용을 확대하는 것이 중요하다.티어 모빌리티와 버티칼 밸류는 배터리 지속 가능성 측면에서 마이크로 모빌리티 산업의 새로운 표준을 설정할 계획이다.▲티어모빌리티(Tier Mobility)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미국 글로벌 자동차제조업체인 제너럴모터스(GM)에 따르면 LG 에너지 솔루션과 합작으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제3공장 건설을 위해 US$ 26억달러를 투자할 계획이다.제너럴모터스와 LG 에너지 솔루션은 합작회사인 얼티엄 셀즈(Ultium Cells)를 설립한 바 있다. 이번 투자를 통해 미시간주 랜싱(Lansing, Michigan)에 280만 평방피트의 크기로 배터리 셀 제조를 위한 얼티엄 셀즈의 제3공장을 건설한다. 제너럴모터스의 Ultium UEV 플랫폼은 IoT와 인공지능 기반으로 통합하는 순수 전기 세단인 캐딜락 셀레스틱(Cadillac Celestiq)을 뒷받침할 것으로 평가된다.캐딜락 셀레스틱은 GM Super Cruise의 후속인 GM의 울트라 크루즈 자동 운전자 지원 소프트웨어(Ultra Cruise automated driver assistance software)를 처음으로 채택한다. 해당 공장은 2024년 말 오픈될 예정이며, 가장 첨단이면서 효율적인 배터리 셀 제조 공정을 사용할 계획이다. 생산된 배터리 셀은 미시간의 Orion Assembly와 GM 전기차 조립 공장에 공급할 예정이다.이와 같은 배터리 셀의 공급 확대를 통해 제너럴모터스는 60만대의 전기 트럭을 포함해 2025년까지 전기자동차 생산량을 100만대로 늘릴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얼티엄 셀즈(Ultium Cells)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