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HVA"으로 검색하여,
8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7-17▲ 대한전선 당진해저케이블 2공장 조감도 [출처=대한전선]대한전선(대표이사 송종민)에 따르면 2025년 7월16일(수) 이사회를 열고 초고압 직류송전(HVDC) 해저케이블 생산이 가능한 당진해저케이블 2공장(이하, 해저 2공장) 1단계 건설에 4972억 원을 투자하기로 결의했다.이번 투자는 국내외 해저케이블 수요 증가와 해상풍력 시장 확대 및 본격화되고 있는 ‘서해안 에너지 고속도로’ 사업 참여에 대응하기 위해 생산 인프라를 확충하기 위한 것이다.투자 기간은 2027년 12월까지다. 대한전선이 HVDC 해저케이블 경쟁력 강화 및 성장 동력 확보를 위해 대규모 투자를 추진하고 있다. 대한전선은 이번 투자 결정에 따라 연내 해저 2공장을 착공할 계획이다.해저 2공장 1단계는 640킬로볼트(kV)급 HVDC 및 400kV급 HVAC(초고압 교류송전) 해저케이블 생산이 가능한 전용 공장으로 초고압 케이블 생산의 핵심 설비인 VCV(Vertical Continuous Vulcanization, 수직 연속 압출) 시스템 등 최첨단 설비를 갖춘다.1단계 공장 가동은 2027년 목표이며 생산 능력 확대를 위한 2단계 공장 투자는 향후 시장 상황 등을 고려해 전략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대한전선 해저 2공장 부지는 충청남도 당진시 아산국가산업단지 고대지구 내 해저 1공장과 맞닿은 곳으로 면적은 약 21만5000평방미터(㎡)(축구장 30개 규모)에 달한다.공장이 가동되면 해저 1공장 대비 약 5배 수준의 생산 능력을 확보하는 동시에 기존 케이블 공장과 솔루션 공장 및 해저 1, 2공장 등 대한전선의 국내 모든 생산 인프라가 당진에 집적돼 인적·물적 시너지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이번 투자 배경에는 전 세계적인 해저케이블 수요 증가이다. 해저케이블 시장은 2022년 약 6조 원에서 2029년에는 28조 원 규모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특히 글로벌 HVDC 해저케이블 시장은 슈퍼그리드(Supergrid, 국가 간 전력망 연결)
-
▲ HS효성인포메이션시스템, 차세대 데이터 보호 솔루션 ‘HVA’ 백업 어플라이언스 출시 [출처=HS효성인포메이션시스템]인공지능(AI)·데이터 인프라 솔루션 전문기업 HS효성인포메이션시스템(대표 양정규)에 따르면 히타치 밴타라의 고성능 인프라와 데이터 보호 및 랜섬웨어 복구 분야 글로벌 선도기업 빔 소프트웨어의 기술을 결합한 차세대 통합 백업 어플라이언스 ‘HVA (Hitachi Veeam Appliance)’를 출시했다.최근 사이버 공격이 지능화되면서 데이터 침해 사고가 급증하고 있다. 한국인터넷진흥원의 ‘2024년 하반기 사이버 위협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2년간 침해사고 신고 건수는 전년 대비 약 48퍼센트(%) 증가했다.특히 랜섬웨어 감염으로 인한 중견·중소기업의 피해가 전체의 94%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데이터 보안과 복구 체계 구축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HVA 백업 어플라이언스는 3단계 입체적 보안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랜섬웨어 위협을 원천 차단한다. 먼저 백업 소프트웨어 단계에서 빔의 기술로 악성코드를 탐지하고 히타치 밴타라의 VSP 블록 및 파일 스토리지의 변경 불가(immutable) 스냅샷 기능을 통해 하드웨어 기반 보안을 강화한다.이어 오브젝트 스토리지 ‘HCP(Hitachi Content Platform)’의 S3 Object Lock 기능을 적용해 소산 백업 및 재해복구(DR) 환경에서도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호한다. 여기에 단일 벤더 기반의 신속하고 일원화된 기술 지원을 제공함으로써 비즈니스 연속성을 보장한다.HVA는 유연한 비즈니스 운영과 비용 효율성도 함께 제공한다. 국내 하이엔드 스토리지 11년 연속 1위 히타치 밴타라의 안정적인 스토리지 기술과 시장에서 검증된 빔 백업 솔루션을 기반으로 퍼블릭 클라우드, 가상화, 쿠버네티스, SaaS 등 다양한 IT 환경에 최적화된 맞춤형 데이터 보호를 지원한다.운영체제(OS)와
-
2025-06-10▲ LS전선 직원이 구미 공장에서 초고압 직류(HVDC) 케이블을 테스트하고 있다 [출처=LS전선]LS전선(회장 구자엽, 대표이사 구본규)에 따르면 세계 최대 송전 용량의 초고압직류(HVDC) 케이블 상용에 성공뿐 아니라 국내 최대 HVDC 사업인 한국전력 ‘동해안-수도권’ 송전망 1단계에 단독 공급한다.이 제품은 525킬로볼트(kV)급 고온형 HVDC 케이블로 도체의 허용 온도를 기존 70도씨(℃)에서 90℃로 높여 송전 용량을 최대 50퍼센트(%)까지 향상시킨 것이 특징이다. 2025년 9월 ‘동해안-수도권’ HVDC 1단계 지중 구간에 투입될 예정이다.해외에서 기술을 개발한 사례는 있었지만 양산 제품이 실제 송전망에 적용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전력 업계는 이를 ‘기술 한계를 넘어선 이정표’로 평가하고 있다.‘동해안-수도권’ 송전망 프로젝트는 동해권 발전 전력을 수도권으로 효율적으로 이송하기 위한 국가 핵심 전력망 사업이다. 1단계는 동해안-신가평 변환소 구간이며 수도권까지 연결하는 2단계도 추진 중이다.HVDC는 기존 교류(HVAC)보다 송전 손실이 적고 최대 3배 많은 전력을 장거리로 전달할 수 있어 탄소중립 시대의 핵심 기술로 꼽힌다. 글로벌 시장은 2018년 1조8000억 원에서 2030년 41조 원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다.LS전선은 유럽(1950년대)과 일본(1990년대)보다 늦은 2008년 HVDC 케이블 개발에 착수했지만 불과 10여 년 만에 선도 기업으로 도약했다. 현재 이 기술을 상용화한 기업은 전 세계에 6곳뿐이며 국내에서는 LS전선이 유일하다.이인호 LS전선 기술개발본부장(CTO)은 “HVDC 시장의 경쟁력은 상용화 기술 확보에 달려 있다”며 “LS마린솔루션과 함께 서해안 HVDC 에너지고속도로, 동해안-수도권 2단계, 독일 테네트 프로젝트 2단계 등 국내외 주요 사업에 적극 참여할 계획이다”고
-
2024-09-09▲ LG전자 H&A사업본부 칠러사업담당 박완규 상무(왼쪽)와 동원산업 장인성 종합기술원장(오른쪽)[출처=동원그룹]동원그룹(회장 김남정)에 따르면 2024년 9월9일 LG전자와 고효율 냉동공조(HVAC, Heating·Ventilation&Air conditioning) 솔루션 구축에 관한 MOU를 맺었다. 2030년까지 탄소 배출량을 현재보다 40% 이상 감축하기 위한 ‘탄소중립 2050’의 일환이다.동원그룹이 LG전자와 협업해 고효율 냉동공조 솔루션을 구축하려는 이유는 LG전자의 핵심 부품 기술력인 ‘코어테크’가 적용돼 에너지 효율이 높고 안정성이 뛰어나기 때문이다.그동안 동원그룹은 주로 식품 포장재의 소재를 혁신하거나 설비의 내구성을 증대하는 방향으로 탄소 배출량 저감화를 실천해 왔다.동원그룹은 ‘탄소중립 2050’ 비전 달성을 위한 프로젝트에 본격 착수했다. 향후 2030년까지 총 400억 원을 추가로 투자해 60여 곳의 주요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탄소 배출량을 현재의 절반 가까이 줄일 계획이다.이번 프로젝트는 동원그룹 내에서 생산혁신 활동과 신기술 구축, 신사업 발굴을 전담하는 조직인 종합기술원이 주도하고 있다. 종합기술원 소속의 기술진·전문가들이 LG전자 기술진들과 함께 협업해 프로젝트를 수행 중이다.첫 대상지로 동원로엑스의 물류 거점인 경산센터와 양산센터가 선정됐다. 50여 대에 달하는 냉동공조 설비의 에너지 효율을 진단하고 솔루션을 구축하는 데에만 6개월 이상이 소요됐다.동원그룹은 저온유통물류체계(콜드체인시스템)를 적용한 동원로엑스의 특성을 고려해 이번 프로젝트의 첫 대상지로 선정했다.동원그룹은 2020년 창립 50주년을 맞아 탄소중립 추진의 원년을 선포하며 각 사업장의 에너지 절감 계획을 수립했다.이에 따라 수산·식품·소재·물류 등 회사의 핵심 사업 요소마다 탄소 배출량 저감화를 접목하기 위해 역량을 집중해
-
▲ 미국 전국보험감독관협회(NAIC) [출처=홈페이지]2024년 7월 4주차 미국 경제동향은 유피에스(UPS)가 2024년 2분기 2022년 이후 처음으로 높은 수수료로 인해 이익과 매출이 감소했다. 전국보험감독관협회(NAIC)는 재보험 위험성이 잠재적으로 관리 기준이 낮은 지역으로 이전될 수 있다고 밝혔다.○ 독일 보쉬(Bosch)는 미국 밀위키(Milwaukee)에 위치한 존슨 컨트롤즈 인터내셔널(Johnson Controls International)로부터 난방, 환기 및 공조 자산을 US$80억 달러에 인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보쉬는 냉난방공조시스템(HVAC) 시장에서 세계적 선두 위치를 달성하고 균형적인 포트폴리오를 확보하기 위한 목적이다.HVAC 시장은 2030년까지 40%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며 보쉬의 HVAC 시장 매출은 두 배 증가하여 연간 약 90억 유로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글로벌 물류업체인 유피에스(UPS)는 2024년 2분기 2022년 이후 처음으로 미국 내 물량을 늘렸지만 높은 수수료로 인해 이익과 매출이 감소했다고 밝혔다. 지상 배송 시스템의 개선으로 인해 2024년 2분기에 국내 패키지 물량이 소폭 증가했다.2024년 2분기에 UPS는 14억1000만 달러, 즉 1주당 1.65달러를 벌었다. 1회성 비용을 제외하면 수익은 주당 1.79달러였으며 전문가들의 예상 가격인 1주당 1.98달러보다 낮았다.○ 미국 유전 서비스 제공업체 할리버튼(Halliburton)은 펌핑 서비스 감소와 멕시코만 활동 감소로 인해 북미 매출이 8% 감소한 US$24억8000만 달러를 기록했다.다만 해외 부문에서는 높은 수요와 활동 수준, 그리고 주요 시추 분야에서의 "장비 부족"으로 인해 해외 수익이 8% 증가한 33억5000만 달러를 기록했다.부문별로는 완료 및 생산 수익이 2.2% 감소한 34억 달러를 기록했다. 드릴링 및 평가 수익은 4.7% 증가한 24억3000만 달러로 집계됐다.○ 
-
2024-07-23▲ 글로벌 물류업체인 유피에스(UPS)에서 운영 중인 트럭 이미지 [출처=홈페이지]◇ 독일 보쉬(Bosch), US$80억 달러에 미국 존슨 컨트롤즈 인터내셔널(Johnson Controls International) 인수독일 보쉬(Bosch)는 미국 밀위키(Milwaukee)에 위치한 존슨 컨트롤즈 인터내셔널(Johnson Controls International)로부터 난방, 환기 및 공조 자산을 US$80억 달러에 인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보쉬는 냉난방공조시스템(HVAC) 시장에서 세계적 선두 위치를 달성하고 균형적인 포트폴리오를 확보하기 위한 목적이다.HVAC 시장은 2030년까지 40%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며 보쉬의 HVAC 시장 매출은 두 배 증가하여 연간 약 90억 유로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글로벌 물류업체인 유피에스(UPS)는 2024년 2분기 2022년 이후 처음으로 미국 내 물량을 늘렸지만 높은 수수료로 인해 이익과 매출이 감소했다고 밝혔다. 지상 배송 시스템의 개선으로 인해 2024년 2분기에 국내 패키지 물량이 소폭 증가했다.2024년 2분기에 UPS는 14억1000만 달러, 즉 1주당 1.65달러를 벌었다. 1회성 비용을 제외하면 수익은 주당 1.79달러였으며 전문가들의 예상 가격인 1주당 1.98달러보다 낮았다.미국 유전 서비스 제공업체 할리버튼(Halliburton)은 펌핑 서비스 감소와 멕시코만 활동 감소로 인해 북미 매출이 8% 감소한 US$24억8000만 달러를 기록했다.다만 해외 부문에서는 높은 수요와 활동 수준, 그리고 주요 시추 분야에서의 "장비 부족"으로 인해 해외 수익이 8% 증가한 33억5000만 달러를 기록했다.부문별로는 완료 및 생산 수익이 2.2% 감소한 34억 달러를 기록했다. 드릴링 및 평가 수익은 4.7% 증가한 24억3000만 달러로 집계됐다.◇ 16133258 캐나다(Canda), 전문 수면 소매업체 슬립 컨트리 캐나다 홀딩스(Sleep Count
-
베트남 틴반그룹(Tinhvan Group) 산하의 틴반아웃소싱회사(Tinhvan Outsourcing, TVO)는 도쿄도 시나가와구에 일본지사를 개설한다.일본이 해외시장 확대를 위한 장기발전 전략에서 중요한 시장이라고 판단한 것이다. 지사 개설을 통해 일본 고객과 직접적인 사업을 모색할 예정이다.또한 일본이라는 시장이 세계에서 신뢰의 표상이라고 볼 수 있기 때문에 이 시장에서 해외 경쟁력을 높이고 대외적인 신용도와 고객과의 신뢰를 구축할 것으로 보인다.TVO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개발, 소프트웨어 개발, 엔터프라이즈 솔루션,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등의 사업을 다룬다.최근 6년간 TVO의 매출 중 일본 시장에서의 매출은 65%나 증가해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2017년의 매출액 증가율은 80%를 전망하고 있으며 향후 몇 년동안은 50% 이상을 유지할 것으로 판단된다.▲베트남 틴반그룹(Tinhvan Group) 홈페이지
-
베트남 틴반그룹(Tinhvan Group) 산하의 틴반아웃소싱회사(Tinhvan Outsourcing, TVO)에 따르면 도쿄도 시나가와구에 일본지사를 개설한다.일본이 해외시장 확대를 위한 장기발전 전략에서 중요한 시장이라고 판단한 것이다. 지사 개설을 통해 일본 고객과 직접적인 사업을 모색할 예정이다.TVO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개발, 소프트웨어 개발, 엔터프라이즈 솔루션,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등의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