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
" PID"으로 검색하여,
13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10-01▲ LG화학의 반도체 패키징용 액상 PID(오른쪽)와 필름 PID(왼쪽) [출처=LG화학]LG화학(대표이사 신학철 부회장)에 따르면 2025년 9월29일(월) 첨단 반도체 패키징의 핵심 소재인 액상 PID(Photo Imageable Dielectric) 개발을 완료하고 본격적인 인공지능(AI)·고성능 반도체 시장 공략에 나섰다.PID는 반도체 칩과 기판을 연결하는 미세 회로를 형성하는 감광성 절연재로 전기 신호가 흐르는 통로를 만들고 회로의 정밀도를 높여 반도체의 성능과 신뢰성을 강화하는 첨단 패키징 공정의 핵심 소재다.특히 고성능 반도체일수록 더 촘촘하고 정밀한 회로가 필요해 PID의 중요성은 점점 더 커지고 있다. LG화학의 액상 PID는 고해상도 구현이 가능하며 저온에서도 안정적으로 경화되고 수축·흡수율이 낮은 특성으로 공정 안정성을 높였다. 과불화화합물(PFAS), 유기용매(NMP, 톨루엔) 등을 첨가하지 않아 환경 규제 대응도 용이하다.◇ 첨단 반도체 기판용 필름 PID 개발 가속LG화학은 일본 소재 업체들이 주도해 온 PID 시장을 본격 공략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반도체·자동차 등 전자 소재 분야에서 축적해 온 필름 기술 역량으로 필름 PID 개발을 완료해 글로벌 톱 반도체 회사와 협업을 통한 개발에 나서고 있다.최근 반도체의 고성능화가 가속되면서 반도체칩뿐만 아니라 기판에서도 대형화 및 미세 회로 구현이 요구되고 있다. 기판이 커질수록 온도 변화에 따른 팽창·수축 차이로 균열이 발생하기 쉬우며 기존 칩에 사용되는 액상 PID는 기판의 양면 적용과 균일한 도포에 어려움이 있었다.LG화학이 개발 중인 필름 PID는 부착 형태로 대형 기판에서도 두께와 패턴의 균일성을 유지할 수 있고 높은 강도와 탄성, 낮은 수분 흡수율로 반복적인 온도 변화에도 균열 발생을 최소화했다.또한 기판 업체들이 이미 보유한 라미네이션(Lamination) 장비를 그대로 활용 가능해 공정 변경 없이 적용이 가능하다.&
-
▲ 한국 롯데리아의 베트남 지점의 모습[출처=롯데GRS 홈페이지]2024년 11월13일 동남아시아 경제는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를 포함한다. 윙스톱 싱가포르는 얼빈스와의 콜라보를 통해 소금계란맛 윙스를 출시했다.말레이시아 교통청에 따르면 라피드 케이엘의 My50 무제한 승차권을 구매하는 데 있어 마이카드를 대체할 디지털 방식을 포함시킨다.◇ 싱가포르 카트리나 그룹(Katrina Group), 2025년 2분기한국 롯데리아 첫 매장 오픈 예정싱가포르 카트리나 그룹(Katrina Group)에 따르면 2025년 2분기 한국 패스트푸드 체인 롯데리아가 싱가포르에 진출한다.롯데 GRS와 협업을 통해 주유와 음료(F&B) 및 호텔 사업을 하고 있는 카트리나 그룹이 인수한다. 카트리나 그룹은 다양한 외식 프랜차이즈도 운영하고 있다.태국·인도네시아 음식점 발리 타이(Bali Thai), 베트남 음식점 소 포(So Pho), 일본식 주류판매점 토모 이자카야(Tomo Izakaya) 뿐만 아니라 한국식 프라이드 치킨과 맥주를 취급하는 생활맥주와 생활치킨 등을 포함한다.미국 패스트푸트 체인점 윙스톱 싱가포르(Wingstop Singapore)는 스낵 브랜드 얼빈스(Irvins)와 소금계란맛 윙스를 출시했다.얼빈스가 패스트 캐주얼 레스토랑과 맺은 첫번째 콜라보레이션으로 새로운 맛을 개발하는 데 1년이 소요됐다고 밝혔다.윙스톱의 시그니처 수제 치킨에 얼빈스의 소금계란 소스를 묻힌 것으로 클래식과 순살 두 가지가 출시된다. 2024년 11월14일부터 윙스톱 매장에서 한정판매한다.◇ 말레이시아 교통청, 라피드 케이엘(Rapid KL)의 My50 무제한 승차권 결제방식에 비접촉 TNG 추가말레이시아 교통청에 따르면 쿠알라룸푸르 지하철공사 라피드 케이엘(Rapid KL)의 My50 무제한 승차권에 대해 마이카드(MyKad)를 대체할 만한 결제수단이 추가된다.참고로 마이카드는 스마트 카드 신분증의 일종이다.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 분실의
-
▲ 인도 보석수출촉진위원회(GJEPC)의 금과 은 수입세 절감 관련 이미지[출처=인도 보석수출촉진위원회(GJEPC) 공식 X(구 트위터) 계정]2024년 7월30일 서남아시아 경제는 인도, 파키스탄을 포함한다. 인도 배차 공유서비스 업체인 라피도(Rapido)는 기존 투자자인 웨스트브릿지(WestBridge Capital)로부터 US$ 1억2000만 달러(약 Rs 100억 루피)를 투자받으며 유니콘에 등극했다.파키스탄 중앙은행(SBP)에 따르면 현재 회계연도 2025년 동안 해외 부채 US$ 262억 달러를 갚는 데 있어 어려움이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2024년 7월 중 30억 달러를 상환했다.◇ 인도 보석수출촉진위원회(GJEPC), 금·은 수입세 15%에서 6%로 낮춰인도 보석수출촉진위원회(GJEPC)는 금과 은에 대한 수입세를 이전의 15%에서 6%로, 백금은 6.4%로 낮췄다. 정부는 연마된 다이아몬드를 대상으로 수입세를 5%에서 2.5%로 낮추는 것에 대해서 반대했다.하지만 GJEPC는 경기침체 및 다이아몬드 수요 감소로 어려워진 실정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제시했다. 위원회는 두바이와 벨기에를 경쟁자로 해 당국을 보석 및 귀금속 글로벌 허브로 발전시키고자 한다.2024년 8월1일 이후부터 온라인에서 원석 다이아몬드를 판매하는 것에 대해 2% 균등화 세금 제도를 폐지한다. 안전 항구 규범으로 하여금 국가가 지정한 전용 거래 센터인 '특별 통보 구역(SNZs)'에서는 생산자들이 소득세를 부과받지 않는다.이는 해외 광산기업이 제조업체와 원석을 직접 거래할 수 있어 이전 인도 세공자들이 해외의 다이아몬드 경매에 참가해야 했던 번거로움을 줄여준다.인도 국영 연료소매업체인 힌드스탄 페르롤리엄(HPCL)은 2024년 4~6월 분기 순이익은 Rs 35억5800만 루피로 전년 동기 620억3900만 루피 대비 84.2% 하락했다고 밝혔다. 동기간 매출액은 1조2035억8590만 루피로 전년 동기 대비 1.4% 축소됐다.2025 회계연도 1분기 EBITDA는
-
▲ 일본 경제산업성(経済産業省) 빌딩 [출처=위키피디아]일본 경제산업성(経済産業省)에 따르면 2024년 4월2일 국내 첨단 반도체 제조업체인 라피더스(Rapidus)에 최대 5900억 엔을 추가로 지원할 계획이다.지원금은 반도체 제조장치의 도입이나 연구개발에 드는 비용 등 5365억 엔, 반도체의 성능을 높이는 기술개발에 535억 엔을 각각 투입할 수 있다.이미 지원한 3300억 엔까지 포함하면 총액은 9000억 엔에 달한다. 라피더스는 홋카이도에 첨단 반도체의 국산화를 위해 신공장을 건설 중이다.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자율주행자동차, 인공지능(AI) 등에 첨단 반도체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미국, 대만, 한국 등 주요 국가가 차세대 반도체를 선점하고 있어 대응책이 필요하다.실제 첨단 반도체의 생산 역량이 일본 산업 전체의 경쟁력을 향상할 수 있는 핵심 기술이라고 판단된다. 특히 미국조차도 자체적으로 첨단 반도체에 개발 역량을 극대화하고 있다.경제산업성은 라피더스에 대대적인 지원을 통해 2나노미터의 첨단 반도체를 개발할 방침이다. 라피더스는 2025년 4월부터 프로토타입 라인을 가동할 예정이다.
-
▲ 일본 반도체기업인 라피더스(Rapidus) 홍보자료 [출처=홈페이지]일본 반도체기업인 라피더스(Rapidus)에 따르면 2025년 4월부터 프로토 타입 라인을 가동할 계획이다. 2024년 5월까지 공장 건물의 골조를 완성하고 12월 공장을 완공할 방침이다.2023년 9월 공장 기공식을 한 이후 동년 12월까지 기초 공사를 완료했다. 2024년 1월부터 지상 건물 부문이 건설을 시작했으며 현재 공자 진척율은 15% 정도다.라피더스는 공장이 건설되고 있는 홋카이도 치토세시에 현지 사무소를 설립했다. 20~30명의 직원을 배치해 현지 기업과의 협력, 직원 채용, 관공서 업무 등을 처리할 방침이다.라피더스는 세계에서 실용화되지 않은 2나노미터 이하인 첨단 반도체를 양산하겠다는 목표를 정했다. 첨단 기술이라 쉽지는 않지만 관련 기술의 개발에 자신감을 갖고 있다.최첨단 반도체를 생산해 국내 수요 뿐 아니라 미국으로 수출도 강화할 방침이다. 일본이 과거 1970~80년대 처럼 글로벌 반도체 거점으로 성장할지 주목된다.라피더스는 2024년 12월 공장 건물이 완공되면 제2동, 제3동 등으로 확장할 예정이다. 치토세시도 부동산, 요식업 등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
▲ 일본 반도체회사인 라피더스(Rapidus) 홍보자료 [출처=홈페이지]일본 반도체회사인 라피더스(Rapidus)에 따르면 2027년 홋카이도 치토세(千歳)시에서 건설하는 공장을 본격적으로 가동할 계획이다.2025년 4월 공장의 프로토타입 라인을 가동시킨 후 2027년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2023년 12월까지 기초 공사가 종료돼 2024년 1월부터 공장 건물의 지상부 공사가 시작됐다.홋카이도는 공업용수, 치토세시는 하수처리 등의 인프라를 정비할 계획이다. 하지만 반도체공장에서 사용할 대용량의 전기는 어떻게 확보할 것인지 아직 결정하지 못했다.라피더스는 재생가능 에너지를 활용해 '탄소 제로'를 달성할 계획이다. 홋카이도에서 재생가능 에너지의 여유가 없는 상태라 고민이 크다.홋카이도는 태양광발전소와 풍력발전소에서 전기를 생산한다. 라피더스의 반도체공장에 보낼 전기는 부족해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이에 따라 홋카이도전력은 현재 정지 중인 도마리원자력발전소(泊原子力発電所) 3호기를 재가동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하지만 원자력규제위원회의 심사가 오래 지연되며 통과 여부도 불투명하다.라피더스는 2022년 일본 대기업 8개사인 소니, 도요타자동차, 키옥시아, NTT, 소프트뱅크, NEC, 덴소, 미쓰비시UFJ 등이 줄자해 설립했다.2027년 첨단반도체인 2나노미터(㎚) 국산화가 목표며 제조라인 구축은 2025년까지 완료할 방침이다. 미국 IBM과 공동으로 기술을 개발하고 있으며 일본 정부가 700억 엔을 지원한다.
-
영화관 대기업 소니 픽처스(Sony Pictures)에 따르면 12월 영화 티켓을 주문하는 AMC Stubs Premiere, AMC Stubs A-List and AMC Investor Connect 회원들에게 8만6000개의 NFT 토큰을 제공할 계획이다.대상 영화는 12월 16일 상영하는 스파이더맨(Spider-Man: No Way Home)이다. 영화 티켓은 11월 29일 판매를 시작하며 NFT 자격이 있는 고객은 12월 22일 교환 관련 이메일을 받게 된다.100개 이상의 NFT 디자인을 사용할 예정이며 토큰은 2022년 3월 1일까지 교환해야 된다. 최근 들어 암호화 수집품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구매자들이 차세대 디지털 물결을 빠르게 흡수하고 있다.소비자와의 연결과 잠재적인 매출 확대를 위해 새로운 방법으로 NFT가 각광을 받으면서 수많은 기업들이 NFT 도입을 서두르고 있다.▲ 소니 픽처스(Sony Pictures) 홈페이지
-
중국 기술회사인 윈선빌딩테크닉(盈创建笻科技)에 따르면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해 코로나 바이러스 검역실을 제작했다. 지금까지 15개를 만들어 후베이성(湖北省)의 시안닝(鹹寧)시에 위치한 병원에 기증했다.각각의 크기는 10평방 미터로 침대 2개에 충분한 크기이다. 열 보존 및 격리에 필요한 표준을 충족하며 강한 바람과 지진에도 견딜수 있도록 설계됐다.특히 3D 프린트된 검역실은 이동성이 뛰어나고 설치가 쉬우며 전원에 연결되는 즉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소독하기 쉽고 전염병이 끝나면 재사용될 수 있다.이와 같은 검역실은 2시간 내에 프린팅될 수 있고, 1대의 프린터기는 하루 15개의 검역실을 생산할 수있다. 기본 비용은 약 ¥28,000위안이다.중국에서 발생된 코로나 바이러스는 중국 병원의 병실 수요를 크게 증가시켰다. 이러한 급작스러운 수요를 회사가 개발한 3D 프린팅 기술이 해결해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hina-WinSunBuildingTechnique-3Dprint▲ 윈선빌딩테크닉(盈创建笻科技)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2018-10-05오스트레일리아 빅토리아(Victoria)주정부에 따르면 차지폭스(ChargeFox)에게 $A 100만달러의 보조금을 지원할 계획이다. 초고속 전기자동차(EV) 충전소 2곳을 설치하기 위한 목적이다.이번달에 충전소 설치를 시작해 10월말까지 완료할 예정이다. 초고속 충전기 2대는 각각 350kW이며, 2대는 저전력으로 50kW이다. 초고속 충전기는 글로벌 전력기업인 ABB, 저전력 충전기는 국내 인프라 기업인 트리티움(Tritium)이 각각 개발했다.브리즈번에 위치한 트리티움이 개발한 475kW 고전력충전기는 5분 충전으로 150km를 주행할 수 있다. 현재 유럽에서 다양한 충전소 네트워크를 구축 중이다.차지폭스는 멜버른 기반의 특수장비업체로서 전기자동차 충전용 플랫폼의 소프트웨어를 개발했다. 이번을 계기로 국내에서 최초로 초고속 전기자동차(EV) 충전소를 설치하는 업체가 된다.신설될 2곳의 초고속 전기자동차(EV) 충전소는 빅토리아주의 Euroa, Barnawartha North 등이다. 차지폭스는 향후 멜버른에 전기자동차 쇼룸도 오픈한다.또한 시드니 매스콧에 새로운 본사를 개설하고, 13곳의 판매대리점 등을 포함해 전국에 45곳의 판매대리점을 개설할 계획이다.▲차지폭스(ChargeFox) 전기자동차(EV) 충전소(출처 : 홈페이지)
-
2018-08-27사우디아라비아 국영석유회사 아람코(Aramco)에 따르면 말레이시아 정유시설에 투자를 확대할 계획이다. 경제성이 높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말레이시아 국영석유회사인 페트로나스(Petronas)와 협력할 방침이다. 2017년 아람코(Aramco)는 $US 70억달러 규모를 정유시설에 투자하기로 합의했다.페트로나스(Petronas)는 남부의 라피드(RAPID) 지역에 270억달러에 달하는 석유화학단지를 건설하고 있다. 아람코(Aramco)는 라피드(RAPID) 프로젝트에 9억달러에 달하는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1일 30만배럴의 원유를 정제처리하고, 연간 770만톤의 석유화학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용량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원유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탱크도 확보했다.페트로나스(Petronas)는 말레이시아 석유 및 가스생산량의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아람코(Aramco)는 세계 최대 석유회사 중 하나로 사업다각화를 위해 해외 투자사업을 확대하고 있다.▲아람코(Aramco) 플랜트(출처 : 홈페이지)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