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공급망 사태"으로 검색하여,
8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2-03-30미국 부동산 투자기업이자 세계 최대 창고 소유주인 프롤로지스(Prologis)에 따르면 블랙스톤(Blackstone)의 유럽 물류 자산을 매입하기 위한 입찰을 시작했다.블랙스톤은 세계 최대 사모펀드 운용사이다. 코로나-19 사태와 온라인 쇼핑의 증가로 물류 및 창고 등의 자산 가치는 급격히 상승했다. 블랙스톤은 마일웨이(Mileway)를 앞세워 지난 6년간 2000개의 유럽 창고를 인수했다. 프롤로지스는 마일웨이를 €210억유로에 매입하겠다고 제안했다. 마일웨이는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의 건물시설관리업체이다.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공급망 차질, 컨테이너 선박인 에버 기븐(Ever Given)에 의한 수에즈 운하 봉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등도 기업들이 더 많은 자재를 창고에 비축하게 만들었다. 2022년 3월 현재 프롤로지스의 주가는 코로나-19 사태 이전 수준 대비 60% 이상 상승했고 기업의 시가총액은 1200억달러에 달한다. ▲프롤로지스(Prologis) 로고
-
2022-02-14영국 맥주 제조사인 코브라 비어(Cobra Beer)에 따르면 국내 맥주 소비자 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맥주 업계가 비용 급등의 악순환에 직면했기 때문이다. 제조 비용 및 에너지 요금 측면에서부터 화물 및 인력 공급에 이르기까지 공급망 전반에 걸쳐 치솟는 비용은 맥주 가격 상승의 주요인으로 작용했다.물가상승률은 30년 만에 최고치인 5.4%에 달한다. 2022년 4월부터 새로운 가격 상한 규정에 따라 에너지 요금도 치솟을 예정이다. 세금 인상도 전망되고 있다.2021년 12월 크리스마스 축제 기간 동안 펍, 바, 레스토랑 등의 주류 매출은 코로나-19 사태로 2년 연속 어려움을 겪으며 코로나-19 사태 이전인 2019년 수준 대비 60%나 감소했다. 2021년 11월 와인 및 스피릿 무역협회(Wine and Spirit Trade Association)에 따르면 대형트럭(HGV) 운전자 부족으로 인한 공급망 사태로 인해 주류 공급 부족이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코브라 비어(Cobra Beer) 홈페이지
-
2022-01-12영국 전국의 2만개 제조회사들을 대표하는 산업단체인 메이크 UK(Make UK)에 따르면 2022년 브렉시트(Brexit)로 인해 제조 비용이 급증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메이크 UK의 회원사들인 전국 대형 및 중소형 제조사들은 2022년 기업들의 최대 난제 중 하나로 관료주의를 꼽고 있다. 브렉시트로 인한 새로운 관세 규정으로 관세 서류작업의 양과 절차가 복잡해 공급망의 안정적인 운영을 더욱 저해할 것으로 우려한다. 중국발 코로나-19 사태와 브렉시트 여파가 기업들이 직면한 비용 상승을 더욱 복잡하게 만들면서 당분간 혼란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메이크 UK(Make UK) 로고
-
영국 글로벌 회계법인인 EY에 따르면 국내 전국 중소기업 3곳 중 1곳이 향후 몇 달 동안 직원을 대규모로 감축할 계획인 것으로 조사됐다. 런던에서는 중소기업 10곳 중 4곳 이상이 직원을 줄일 것으로 나타났다. 많은 자영업자들이 잠재적으로 어려운 2022년을 맞이하면서 직원 감축 계획을 세우는 것은 재정적 압박이 분명하기 때문이다. 글로벌 공급망 붕괴로 인한 물가상승률 압력도 가중될 것으로 우려된다. 많은 기업들은 코로나-19 극복을 위해 대출을 받았고 그 부채를 상환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게다가 공급망 붕괴로 인한 운전기사, 요리사 등 주요 직원의 부족, 높은 에너지 비용 등 다른 어려움에도 직면하고 있다. 기업의 49%는 향후 6개월 동안 제품 및 서비스 가격을 인상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대다수가 공급망 혼란 및 붕괴를 주요 원인으로 꼽았다. 기업의 38%는 인건비 증가가 제품 및 서비스 가격 인상을 견인하는 주요 원인이라고 지적한다. 많은 식당과 클럽을 포함한 업체들은 근로자 부족이 심화됨에 따라 직원을 유치하기 위해 £1000파운드 이상의 보너스를 제공하고 있다. ▲EY 홈페이지
-
2021-12-10영국 중앙은행(BoE)에 따르면 최소 내년인 2022년 4월 봄까지 물가상승률이 5% 이상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오프젬(Ofgem)의 에너지 소매 가격 상한선 인상이 물가 상승 압력에 포함되기 때문이다.코로나-19 사태로 인한 경제 변화에 적응함에 따라 사상 최대의 구인 부족현상도 예상보다 오래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 중앙은행은 생활 수준 하락에 맞서 스스로를 보호하려는 노동자들의 임금 요구 상승, 임금과 물가의 급작스러운 징후의 영향을 둘러싼 불확실성 등을 주시할 계획이다. 최근 몇 달간 글로벌 공급망 긴축으로 인한 상품 특히 자동차의 가격 상승은 완화될 가능성이 있다. 중앙은행이 2021년 12월 중순 통화정책회의에서 기준 금리를 0.1%에서 0.25%로 인상할 가능성은 낮다. ▲중앙은행(BoE) 홈페이지
-
2021-12-03독일 프랑크푸르트 유럽중앙은행(European Central Bank, ECB)에 따르면 2021년 11월 독일의 물가상승률은 전년 동월 대비 6% 상승했다. 1992년 이후 최고 수준으로 치솟았다. 독일 11월 물가 상승 급등의 주요인은 에너지 가격이 1년 전보다 22% 인상됐기 때문이다.에너지 가격 인상은 전체 상품 가격을 5.2% 상승시키는데 영향을 미쳤다. 식료품 가격은 4.5%, 서비스 가격은 2.8%, 임대료는 1.4% 각각 올랐다.ECB는 치솟는 에너지 가격과 공급망 병목 현상 등 물가 상승의 많은 일회성 원인이 내년에는 사라질 것이라고 진단했다. 물가 상승에 대한 우려를 잠재우려는 발언이다.독일의 물가상승률은 2021년 11월이 최고조일 것이라고 주장했다. 2022년 독일의 물가가 진정될 것이라는 몇 가지 요인이 있다.지난해인 2020년 한시적 판매세 인하로 인한 가격 반등이 2022년 1월까지 물가상승률 자료에서 빠질 것이다. 2021년 11월 발표된 코로나바이러스 급증을 억제하기 위한 제한조치는 소비자 지출과 물가를 냉각시킬 수 있다. 치솟는 물가상승에 직면한 것은 독일만이 아니다. 스페인은 5.6% 상승했는데, 이는 1992년 이후 가장 빠른 상승폭이다. 벨기에 물가도 5.6% 올랐다.2021년 11월 유로존의 물가상승률은 4.4%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13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오른 것이며 ECB의 목표치인 2%의 2배가 넘는 수치이다. ▲유럽중앙은행(European Central Bank, ECB) 홈페이지
-
2021-11-26독일 통계청(Destatis)에 따르면 2021년 3분기 경제성장률이 1.7%로 추정치인 1.8%에 미치지 못한 것으로 집계됐다. 글로벌 공급망 붕괴가 국내 경제에 악영향을 미치면서 수출, 투자, 제조업 생산 등이 위축됐기 때문이다.2021년 3분기 민간소비는 6.2%나 성장하며 국내 경제성장률을 견인했다. 하지만 코로나-19 사태의 여파로 인해 다른 많은 부분들이 경제 회복을 지연시켰다.2021년 3분기 수출은 이전 분기 보다 1%, 제조업 생산은 2.2%, 설비 투자는 3.7% 각각 감소했다. 정부 지출도 축소됐다. 경제는 환대와 엔터테인먼트 부문의 회복에 힘입어 성장했다. 코로나바이러스 규제 완화가 반영된 덕분이다. 엔터테인먼트와 레크리에이션이 포함된 카테고리는 13.5%, 환대는 5.3% 각각 증가했다.유로존 최대 제조업체 국가인 독일은 글로벌 공급망의 병목현상으로 인해 제품 부족 현상이 발생했다. 제조업 전체 특히 자동차 부문에서 공급업체 납품이 지연되면서 큰 타격을 입었다.참고로 2021년 3분기 프랑스 경제성장률은 3%, 이탈리아는 2.6%를 각각 기록했다. 유럽연합 소속 국가들의 경제위축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통계청(Destatis) 홈페이지
-
2021-05-24영국 글로벌 DIY 가구 및 인테리어 제품 소매체인운영기업인 킹피셔(Kingfisher)에 따르면 2021년 1분기 매출 증가에도 불구하고 향후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공급망 불안 문제 발생을 우려하고 있다.공급망 불안 품목에 대한 압박이 가중되고 있어 비용 절감 유지를 위해 노력할 방침이다. 2020년에 이어 2021년 현재도 온라인 쇼핑사업 부문의 성장은 호황을 보이고 있다. 실례로 2021년 4월 킹피셔의 자회사인 스크류픽스(Screwfix)는 프랑스에서 온라인 전용 유통업체로 사업을 시작했다.2021년 현재 킹피셔의 온라인 쇼핑사업은 전체 매출의 21%를 차지한. 2021년 상반기 킹피셔의 세전이익은 전년 동기 세전이익인 £5억8000만~6억파운드 사이 대비 더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반면 부동산시장 호황이 사그라지기 시작할 경우 DIY 상품 수요가 줄어들 우려도 있다. 여기에 공급망 불안 문제로 인한 품절 현상이 보이면 고객 충성도 및 고객 수는 급감된다.▲킹피셔(Kingfisher) 홈페이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