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관개"으로 검색하여,
7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4-08-04▲ 미국 아마존웹서비스(AWS)의 전문기술 교육 및 멘토링 프로그램 우주 엑셀레이터:인도(Space Accelerator:India) 이미지[출처=AWS 인도 홈페이지]2024년 7월 서남아시아 ICT산업 주요동향은 아마존웹서비스(AWS)와 인도 우주연구소(ISRO) 등과의 교육 및 멘토링 프로그램, 인도 이륜차 제조업체의 유럽 진출, 파키스탄 인더스 유역 원격 측정 시스템 설치를 포함한다.○ 미국 아마존웹서비스(AWS)는 전문기술 교육 및 멘토링 프로그램 우주 엑셀레이터:인도(Space Accelerator:India)에 참여할 스타트업 24곳을 선발한다. 이는 2023년 인도우주연구소(ISRO) 및 인도 국가우주진흥인증센터(IN-SPACe)와 양해각서(MoU)를 체결한 결과로 최초의 국가 중심 프로그램이다.○ 인도 타타일렉트로닉스(Tata Electronics)는 팹리스(fabless) 세미콘덕터 스타트업 iVP 세미(iVP Semi)를 공식적으로 론칭했다.웨이퍼를 대만, 일본, 한국으로부터 구입한 후 국내에서 패키징을 해 현지에서 칩을 제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인도 복합기업 아다니 그룹(Adani Group)과 아랍에미리트연합(UAE) 국부펀드 인터네셔날홀딩컴퍼니(IHC)의 합작사 시리우스 디지테크(Sirius Digitech)는 인공지능(AI) 및 클라우드 플랫폼 Coredge.io를 인수했다.시리우스 디지테크는 기업이 민감한 데이터를 영역 내에 두면서도 독립적인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아다니 그룹의 상장사 아다니 엔터프라이즈(Adani Enterprises)와 IHC의 디지털 자회사 시리우스 인터네셔널(Sirius International)는 합작 투자를 통해 Coredge.io의 모기업 파서랩스 인디아(Parserlabs India) 지분의 75%를 인수할 예정이다.○ 2024년 7월16일 인도 자동차 연구 협회(ARAI)는 자국이 국제적인 차원에서 배터리 연구 및
-
▲ 파키스탄 수전력개발청(WAPDA)의 원격 측정 시스템 설치에 대한 계약 체결 현장[출처=WAPDA 공식 인스타그램]2024년 8월2일 서남아시아 경제는 인도와 파키스탄을 포함한다. 인도 재정부에 따르면 2024년 7월 상품 및 서비스세(GST)는 Rs 1조8207억5000만 루피로 전년 동월 대비 10.3% 증가했다.파키스탄 무함마드 아우랑제브 재무부 장관은 에티오피아 연방민주공화국 대사 제말 베커 압둘라와의 만남을 가졌다. 두 의원은 국가를 연결하는 교육 프로그램 개설에 대해 나눴다.◇ 인도 타타모터스(Tata Motors), 회계연도 2025년 1분기 세후순이익 Rs 556억6000만 루피로 전년 동기 대비 74% 급증인도 재정부에 따르면 2024년 7월 상품 및 서비스세(GST) Rs 1조8207억5000만 루피로 전년 동월 1조6510억5000만 루피 대비 10.3% 증가했다. 중앙정부의 GST, 지방정부의 GST, 통합 GST가 모두 늘어났다.2014년 1월~7월 GST 총액은 7조3800억 루피로 전년 동기 6조7000억 루피 대비 10.2% 확대됐다. 특히 2024년 4월 GST는 2조1000억 루피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5월 GST 1조7300억 루피, 6월 GST 1조7400억 루피로 각각 집계됐다.2023-24 회계연도 총 GST는 20조1800억 루피로 전년 대비 11.7% 증가했다. 2024년 3월 마감 회계연도 월 평균 GST는 1조6800억 루피로 전년 1조5000억 루피를 상회했다. 국내 소비 확대와 수입이 증가한 것이 주요인으로 분석된다.인도 자동차 제조업체인 타타모터스(Tata Motors)는 2025 회계연도 1분기 세후순이익은 Rs 556억6000만 루피로 전년 동기 320억3000만 루피 대비 74% 급증했다고 밝혔다.1분기 매출액은 1.07조 루피로 전년 동기 대비 5.7% 확대됐다. 상업용 자동차 관련 매출액은 1780억 루피로 전년 동기 대비 5.1% 늘어났다. 1분기 EBIT는 910억 루피이며 EBIT 마진
-
▲ 필리핀 국기[출처=CIA] 지난 6월 4주차 필리핀 경제는 중앙은행(BSP)에 따르면 국민들의 온라인뱅킹 사용이 확산됨으로써 2024년 1월에서 4월까지 집계된 전자자금이체는 4억2040만 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70% 상승했다.정부는 루손 경제 회랑의 개발 프로젝트에 따라 2027년부터 수빅-클락-마닐라-바탕가스 잇는 철도를 건설할 예정이다.세부-코르도바 고속화대교의 확장 작업에 고속도로 운영사 메트로 퍼시픽 톨웨이즈(MPTC)가 재정 70억 페소를 지원해줄 투자자를 모색한다.○ 제조업협회(FPI), 마닐라전력 메랄코(Meralco)의 안정적이고 신뢰 있는 저렴한 전력 서비스 제공위해 지원할 것... 2028년 만료될 메랄코 프랜차이즈의 갱신을 강력 지지해○ 중앙은행(BSP), 2024년 1월~4월 전자자금이체 4억2040만 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70% 상승... 국민의 온라인뱅킹 사용 확산에 따라 필리핀 EFT 시스템 앤드 오퍼레이션 네트워크(PESONet)과 인스타페이(InstaPay) 플랫폼을 거친 거래 가치 5조2200억 페소로 37% 증가○ 부동산업체 SM 프라임 홀딩스(SM Prime Holdings)의 자회사 SM 호텔즈 앤드 컨벤션즈(SMHCC), 제로 웨이스트(zero waste) 프로젝트 실시... 현재까지 호텔에서 주기적으로 교체되는 린넨 1716야드 재활용해 지역공동체를 위한 사회적 가치 실현○ 정부, 2027년부터 루손 경제 회랑(Luzon Economic Corridor)의 주력 개발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수빅-클락-마닐라-바탕가스 잇는 철도 건설 예정... 경제 활성화 위해 US$ 32억 달러 투자○ 무역산업부(DTI), 2024년 4월 해외 수출 증가에 따라 성과 낙관적이며 디지털 플랫폼 PHX 소스(PHX Sorce)를 통해 수출 상품·서비스 매칭 및 정보 접근 용이해질 것... 통계청(PSA)에 따르면 4월 상품수출 US$ 62억 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26.4% 증가○ 농무부(DA), 태양열 관개 시
-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정부가 관개시설 개발에 $NZ 4억달러를 투자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낙농업 등 주요 산업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 환경보호에 미흡하기 때문이다.낙농업, 원예 등의 산업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환경훼손이 불가피하고 뉴질랜드의 '청정'이미지도 훼손되고 있다. 이민자의 증가로 인한 인구확장도 도시화를 촉진시키고 있다.OECD는 1998년부터 2009년까지 10년동안 뉴질랜드 질소비중이 다른 어느 나라에 비해 악화됐다고 진단했다. 물속의 질소 비중이 높아지면 수질이 악화돼 물고기나 녹조류 등이 생존할 수 없다.▲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로고
-
필리핀 정부에 따르면 오스트레일리아의 관개기술 적용으로 헥타르당 설탕생산량이 25%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헥타르당 75톤이 증가해 현재 870억 페소 규모의 설탕산업이 큰 혜택을 입을 것으로 예상된다.오스트레일리아의 경우 헥타르당 평균 사탕수수 생산량은 91톤이고 최고 120톤에 달한다. 2015/16년 설탕수출량은 $A 18억 달러를 기록해 오스트레일리아가 세계 3위 설탕수출국가로 등극하는데 기여했다.관개시스템만 잘 정비해도 사탕수수 생산량을 30% 정도는 쉽게 늘릴 수 있다. 관개하지 않는 토지에서 생산량은 65톤인데 관개할 경우 100톤이나 된다.▲필리핀 농업부 로고
-
말레이시아 물공급업체 PBA Holdings는 2016년 4월 연방정부에 북부지역 농업용수의 공급을 일시적으로 중단하라고 요청했다.당사는 엘니뇨로 발생한 '슈퍼가뭄'으로 현수준의 물 공급량으로는 손실만 발생시킨다고 주장한다. 특히 타지역에 비해 북부농경지의 가뭄현상이 극심해 관개시설의 운영을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했다.이외에 남부지역는 이달 4째주부터 비가 오는 것으로 예정돼있어 상황을 더 지켜보기로 했다. 동부지역은 3개의 물처리공장을 가동해 간신히 지역수요를 충당하고 있으며 서부지역은 피해규모가 적었다.현재 정부차원에서 빗물저장시스템, 물저장시설, 인공호수 등의 구축을 지속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물관련 인프라의 구축과 동시에 국민들의 '물절약' 습관도 강조하라고 조언한다.▲ '물절약' 홍보 포스터(출처 : PBA홀딩스 홈페이지)
-
▲ 말레이시아 정부 로고말레이시아 물공급업체 PBA Holdings는 2016년 4월 연방정부에 남부지역 농업용수의 공급을 일시적으로 중단하라고 요청했다. 엘니료로 인한 '슈퍼가뭄'으로 현재 수준의 물공급으로는 손실만 발생시키고 있다고 주장한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