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교통혼잡"으로 검색하여,
10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영국 런던의 랜드마크인 런던아이와 빅벤 시계탑을 잇는 웨스트민스터교의 2024년 5월 모습. 기존의 자동차 도로 일부가 사진과 같이 자전거 전용 도로로 전환되어 있다. [출처=iNIS]교통 데이터 분석회사 인릭스(Inrix)에 따르면 영국 런던이 2023년 세계 최악의 교통 혼잡 도시 3위로 꼽혔다. 작년 런던 중심부의 평균 속도는 시속 10마일(약 16km)로 전년 대비 10% 감소해 유럽에서 교통 체증이 가장 심한 도시 1위라는 불명예를 안게 됐다.인릭스는 매년 37개국 950여개 도시를 대상으로 교통 혼잡도를 측정한다. 2023년 세계에서 교통 체증이 가장 심한 도시 1위 뉴욕(미국), 2위 멕시코시티(멕시코)에 이어 런던(영국)이 3위를 차지했다. 런던은 최근 3년 연속 유럽에서 교통이 가장 혼잡한 도시 1위에 랭크됐다.영국의 수도인 런던의 운전자가 2023년 교통 체증으로 낭비한 시간은 연간 99시간이다. 이로 연료비 손실 비용 1인당 902파운드(약 158만원)인 것으로 인릭스는 추산했다. 교통 혼잡으로 인한 런던시 전체 경제 손실 규모는 38억 파운드(약 6조6890억 원)에 달한다.영국 내에서 런던 다음으로 교통체증이 심한 도시는 2위 버밍엄, 3위 브리스톨 4위 리즈, 5위 위건 등이다. 영국 전역의 운전자가 작년 한해 동안 교통 혼잡으로 낭비한 시간은 평균 61시간으로 2022년 대비 7% 증가했다. ▲ 런던에서 기차로 1시간 10분 거리에 있는 영국 최남단의 휴양도시 브라이튼(Brighton). 브라이튼 해변에도 자전거 전용 도로가 깔려있는데 인도를 가운데 두고 양쪽으로 양방향의 자전거 도로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출처=iNIS]런던교통공사(TfL)는 도로 정체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 최근 증가한 배달 차량과 소형 택시를 꼽았다.한편 운전자들은 자전거 전용 도로 확보를 위해 기존 도로를 좁혀온 것이 교통난을 야기했다며 자전거 전용도로 확대 계획을 비난했다. 현재까지 런던 전역에 건설된 자전거 도로는 242마일(약 3
-
▲ 유럽 주요국 영국‧독일‧프랑스‧이탈리아의 국기 [출처=CIA][영국] 英 주요 은행 HSBC‧바클레이즈(Barclays)‧내셔널웨스트민스터(NatWest, 냇웨스트) 3곳, 영란은행(BoE)의 금리 인하 가능성 ‘낙관적’으로 보이자 모기지(주택담보대출) 금리 인하 *5월 인플레이션 수치가 정부 목표치인 2%로 떨어지면서 일부 경제학자 이르면 올 8월 기준금리가 인하될 가능성이 높아질 것으로 전망 *영란은행(BoE, 중앙은행), 기준금리 2023년 8월 5.25%로 인상한 후 현재까지 유지 중, 16년 만에 최고 금리 수준… 오는 8월1일 BoE 통화정책위원회(MPC) 기준금리 발표 예정 *英 금융 데이터 제공업체 머니팩츠(Moneyfactscompare)에 따르면 신규 모기지 이자율이 2년 고정금리 모기지 이자는 평균 5.96%, 5년 고정금리는 평균 5.53%인 반면 1년 고정금리 저축 계좌 이자는 평균 4.63%임 *HSBC는 6월26일부터 신규‧기존 고객 대상 300개 이상의 주거용‧임대용 모기지 금리 인하... 바클레이즈 주택 구매자 대상 모기지 금리 0.25%~0.31% 인하 확정 및 냇웨스트 모기지 금리 0.71% 인하 예정 발표 [영국] 교통 데이터 분석회사 인릭스(Inrix), 2023년 세계 최악의 교통 혼잡 도시 3위 런던… 작년 런던 중심부 평균 속도 시속 10마일(약 16km)로 전년 대비 10% 감소해 유럽에서 교통 체증 1위 불명예 *인릭스, 37개국 950여개 도시 대상으로 교통 혼잡도 측정… 2023년 세계에서 교통 혼잡도 가장 심한 도시 1위 뉴욕(미국), 2위 멕시코시티(멕시코), 3위 런던(영국) *런던 3년 연속 유럽에서 교통 가장 혼잡한 도시로 꼽혀, 영국 내 혼잡도 2위 버밍엄 3위 브리스톨… 런던 운전자가 교통 체증으로 인해 낭비하는 시간 연간 99시간 및 연료비 손실 비용 1인당 9
-
오스트레일리아 퀸즐랜드주 브리즈번도로교통부에 따르면 회계연도 2017/18년 10억달러를 지출해 브리즈번(Brisbane)의 교통혼잡을 완화시킬 예정이다.2017/18년에 추진할 주요 프로젝트와 소요비용은 다음과 같다. Kingsford Smith Drive는 $2억2300만달러, Telegraph Road (stage 1a, 1b and 2)는 8100만달러, Wynnum Road는 3000만달러, Inner City Bypass는 1000만달러 등이다.또한 동기간 재포장을 할 도로는 다음과 같다. Algester의 Algester Road, Carseldine의 Beams Road, Camp Hill의 Boundary Road, Murarrie의 Creek Road, Wavell Heights의 Hamilton Road, Graceville의 Honour Avenue, Forest Lake의 Inala Avenue, Parkinson의 Johnson Road, Manly의 Manly Road, Toowong의 Miskin Street, Enoggera의 Newmarket Road, Carindale and Coorparoo의 Old Cleveland Road, Woolloongabba의 Wellington Road 등이다.▲퀸즐랜드주정부 홈페이지
-
뉴질랜드 교통부(NZTA)에 따르면 2020년까지 오클랜드 주요 도로의 1/3이 정체돼 교통이 혼잡할 것으로 예측한다. 오클랜드 인구의 급속한 증가가 주요인이다. 지난 3년동안 오클랜드 인구는 12만1000명으로 급증했다. 향후 이러한 인구 성장률은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 또한 오클랜드는 매주 800대의 신규 차량이 등록되고 있다.NZTA는 도로 및 대중교통 등을 확대하기 위해 다양한 인프라 투자 및 정책을 시행하고 있지만 급속한 인구 증가를 따라가지 못해 곤란을 겪고 있다. ▲교통부(NZTA) 로고
-
필리핀 재정부(DOF)에 따르면 마닐라시의 교통 혼잡을 줄이기 위해 자동차세 인상을 추진하고 있다. 2018년 시작할 계획이다.미츠비시의 미라지 G4와 같은 소형차에는 약 1만5000페소의 소비세를 부과하고 대형 고급차량의 경우에는 더 높은 비용을 부담하도록 할 예정이다.
-
▲ 뉴질랜드 정부 로고뉴질랜드 교통청(NZTA)에 따르면 오클랜드 아침 출근길 도심교통혼잡이 날로 심각해져 교통사고가 증가하고 있어 빠른 대책이 필요하다.2016년 10월 11일 아침에만 오클랜드 북부, 항구, 남부, 공항 등으로 향하는 고속도로 등에서 7건의 교통사고가 발생했다.이에 따라 여행을 위한 운전자들은 오클랜드 고속도로를 피해 여행하는 것이 낫다는 경고 등이 나오면서 관광산업에도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
2016-09-24▲ 세계은행(WB) 빌딩 [출처=홈페이지]세계은행(WB)의 자료에 따르면 베트남 하노이의 교통혼잡 문제는 도로의 비율이 낮아 초래된 것으로 드러났다. 토지 대비 도로비율을 보면 하노이 중심은 9%에 불과한데 뉴욕 맨하탄의 경우는 32%에 달한다.2018년 동남아시아국가의 자유무역이 발효되면 저렴한 자동차가 태국으로부터 밀려들면 교통혼잡은 더욱 가중될 것으로 전망된다. 2015년의 경우 자동차와 트럭의 판매가 전년 대비 55%나 증가했다.
-
필리핀 육로교통가맹및규제위원회(LTFRB bans)의 자료에 따르면 7월 30일부터 마닐라 EDSA에서 UV차량의 운행이 금지됐다. 교통혼잡을 우려했기 때문이다.2014년 일본국제협력단(JICA)는 마닐라에서 교통혼잡으로 인한 비용이 최소한 1일 24억페소에 달한다고 밝혔다. 2015년 국가경제개발청(NEDA)는 1일 교통혼잡 비용이 30억페로로 산정했다.
-
말레이시아 정부에 따르면 2018년까지 전국에 '통행료전자지불시스템(ETC)'을 구축해 ▲고객편의성 향상 ▲교통혼잡 완화에 기여할 계획이다.우선 전자식으로 통행료가 결제되기 때문에 기존의 현금계산보다 더욱 간편하고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톨게이트의 대기시간이 단축돼 교통혼잡률을 30~50%까지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전문가들은 해당 전자시스템의 오류 및 상용화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기기 및 소프트웨어의 에러현상으로 되려 고객들의 불편과 교통혼잡을 더욱 가중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자동차에 장착하는 ETC기기인 '스마트태그' 소개 홈페이지(출처 : 스마트태그)
-
말레이시아 정부에 따르면 2018년까지 전국에 통행료전자지불시스템(ETC) 구현해 ▲고객편의성 향상 ▲교통혼잡을 완화할 계획이다. 통행료 지불시간을 단축해 교통혼잡을 30~50%까지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