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75
" 기술"으로 검색하여,
1,749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11-17▲ 한국전력 본사 전경 [출처=한국전력]한국전력(사장 김동철, 이하 한전)에 따르면 세계 최대 기술 전시회 ‘CES 2026’를 앞두고 ‘CES 혁신상(CES Innovation Awards)’ 5관왕을 달성했다.기술 중심의 에너지 전환을 선도하는 ‘글로벌 에너지 솔루션 기업’으로의 도약을 공식화했다. ‘CES 2026’은 2026년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다.이번 수상은 글로벌 전력 유틸리티 기업 최초의 수상으로 한전이 전력 인프라 중심에서 인공지능(AI)과 디지털 기술을 접목한 ‘글로벌 에너지 솔루션 기업’으로 전환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성과다.특히 세계적인 기술 전시회인 CES에서 다수의 혁신상을 동시에 수상한 것은 한전이 글로벌 무대에서 기술 경쟁력을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이번에 혁신상을 받은 기술은 △AI 기반 변전설비 예방 진단 솔루션(SEDA) △하이브리드 에너지저장시스템(HESS) △변압기 부싱 진단장치 △전력 설비 광학 진단시스템 △분산 에너지 보안기술로 모두 전력산업의 미래 경쟁력을 좌우할 핵심기술로 평가된다. 이들 기술 대부분은 상용화 단계에 진입해 현장에서 운영 중일 만큼 실효성과 완성도가 높다.한전은 자체 개발한 기술을 발전부터 송전·변전·배전·전력 서비스에 이르는 전력 全 밸류체인에 적용·운영해왔다. 이 과정에서 축적된 방대한 데이터를 활용해 기술을 발전시켜 왔으며 CES 혁신상 수상이라는 값진 결실로 이어졌다.한전은 2026년 1월6일부터 9일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 LVCC North Hall에 ‘한전관’을 마련하고 ‘오늘 만나는 내일의 전기(Power of Tomorrow, Discovered Today)’를 주제로 한전의 기술력과 비전을 전 세계에 알릴 예정이다.김동철 한전 사장은 “이번
-
2025-11-17▲ 농협중앙회, '2025 농업·AI 융합 미래기술 테크 매칭 데이' 개최농협중앙회(회장 강호동)에 따르면 2025년 11월12일(수)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 그랜드센트럴 오디토리움에서농림축산식품부,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과 함께 '2025 농업·AI 융합 미래기술 테크 매칭 데이'를 개최했다.이번 행사는 농업 현장에 적용 가능한 인공지능(AI)·자동화·스마트팜 기술 등의 상용화를 촉진하고 기술 수요자인 농업인·기업과 연구자 간 실질적 기술이전 연계를 강화하기 위해 마련됐다.행사는 기술지원 프로그램 안내를 시작으로 △농업분야 AI적용 성공사례발표 △유망기술 소개 △1:1연구자 상담 등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진행됐다.주요 발표기술로는 △AI모델 매니퓰레이터 △구근배양효율이 향상된 칼라식물 재분화 기술 △AI기반 오류 감소 협동로봇 팔 △스마트 적재 및 관리시스템 △신속 대응형 식물바이러스 진단 시스템 등이 소개됐다. 첨단 기술을 보유한 연구자와의 1:1개별상담 기회도 제공돼 참여자들의 호응을 얻었다.특히 농협 투자기업인 AI 도축로봇 솔루션 ㈜로보스의 이두연 CTO가 참여해 AI 기반 로봇기술을 활용한 농업 자동화 사례와 상용화 전략에 대한 실전적 통찰을 공유했다.농협중앙회 조현상 디지털전략부장은 “이번 테크 매칭 데이는 단순한 기술 발표를 넘어 실제 농업현장과 기술간의 간격을 좁히는 실전형 기술이전 플랫폼으로써의 역할을 했다”며 “앞으로도 농협은 민·관·연 협업을 통해 농업혁신 기술의 확산과 청년·기업의 진입 기회를 적극적으로 뒷받침하겠다”고 강조했다.
-
▲ 화성 EVO Plant East 차체 용접 생산라인 모습 [출처=기아]기아(사장 송호성)에 따르면 2025년 11월14일(금) 경기도 화성시 우정읍에 위치한 오토랜드(AutoLand) 화성에서 ‘EVO Plant East’ 준공식 및 ‘EVO Plant West’ 기공식을 개최했다.목적기반차량(PBV, Purpose-Built Vehicle) 전용 공장인 ‘화성 EVO Plant(이보 플랜트)’로 연 25만대 규모의 미래형 PBV 생산 허브 구축에 나선다.이날 행사에는 김민석 국무총리, 문신학 산업통상부 1차관, 김동연 경기도지사, 정명근 화성시장 등 정부 및 지자체 관계자와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 송호성 기아 사장, 성 김 현대차그룹 전략기획담당 사장, 송창현 현대차그룹 AVP본부장 사장을 비롯한 현대차그룹 관계자 등 200여 명이 참석했다.기아는 화성 EVO Plant East 및 2027년 가동 예정인 EVO Plant West, 컨버전 센터 등의 조성을 위해 축구장 42개 크기인 30만375평방미터(㎡의 부지, 약 9만864평)를 확보했다.시설 투자와 연구개발(R&D) 비용으로 약 4조 원을 투입한다. 이를 통해 기아는 연 25만대의 PBV 차종을 생산하고 국내외에 공급하는 등 화성 EVO Plant를 PBV 핵심 거점으로 활용할 예정이다.행사에 참석한 김민석 국무총리는 축사를 통해 “기아 화성 EVO Plant East 준공식과 West 기공식에 함께하게 돼 뜻깊게 생각한다”며 “전기차와 자율주행, AI 등 또 다른 도전을 준비하고 있는 자동차 산업과 함께 미래 모빌리티 혁신의 새 시대를 열겠다”고 말했다.송호성 기아 사장은 환영사에서 “기아는 경상용차(LCV) 시장의 전동화 전환을 기회로 삼아 PBV를 미래 핵심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다”며 “정부의 전기차 지원 정책과 연계
-
▲ 농협 NH콕뱅크, 2025년 디지털 혁신 유공 과기정통부 장관 표창 수상 [출처=농협중앙회]농협중앙회(회장 강호동)에 따르면 2025년 11월14일(금) 농협상호금융(대표이사 여영현)의 대표 모바일 플랫폼 'NH콕뱅크'가 과학기술 정보통신부 주최로 열린 '2025 대한민국 Digital Innovation Award'에서 부총리 겸 장관 표창을 수상했다.'대한민국 Digital Innovation Award'는 정보통신기술(ICT) 개발 및 융·복합 활용을 통해 국가 발전과 디지털 경제에 기여한 우수 기업 및 기관을 선정하는 행사다.'NH콕뱅크'는 금융과 농업을 융합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종합금융 플랫폼으로 다양한 고객 특성에 맞춘 서비스를 제공해온 공로를 높이 평가받았다.특히 'NH콕뱅크'는 사용자 친화적이고 간편한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고령층 고객과 농촌 지역 주민의 금융 접근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했다.여영현 대표이사는 “이번 표창 수상은「NH콕뱅크」가 그동안 고객 중심의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실행한 노력의 결과다. 앞으로도 농협과「NH콕뱅크」는 고객들의 디지털 동반자가 되겠다”고 밝혔다.
-
▲ 탄자니아 LPG 기업인 타이파 가스 탄자니아 LTD(Taifa Gas Tanzania LTD)의 다르에스살람(Dar es Salaam) LPG 저장 시설의 모습. [출처=타이파 가스 탄자니아 홈페이지] 2025년 11월17일 아프리카 경제동향은 아프리카와 케냐의 금융, 석유, 통계를 포함한다. 아프리카 시장조사기업인 스티어스(Stears)에 따르면 2025년 3분기 아프리카에서 민간자본 유치율이 가장 높았던 산업군은 정보기술(IT)로 21%를 기록했다. 탄자니아 다국적 복합기업인 타이파 그룹(Taifa Group Ltd)에 따르면 2025년 11월 케냐의 USD 1억3000만달러 규모 액화석유가스(LPG) 공장 프로젝트를 위한 법적 승인을 받았다. ◇ 스티어스, 2025년 3분기 아프리카에서 민간자본 유치율이 가장 높은 산업군 정보기술(IT)로 21%아프리카 시장조사기업인 스티어스(Stears)에 따르면 2025년 3분기 아프리카에서 민간자본 유치율이 가장 높은 산업군은 정보기술(IT)로 21%를 기록했다.IT 부문 내에서는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7% △소비자 디지털 서비스 6%가 투자가 가장 활발한 분야로 전체 IT 투자 거래의 2/3를 차지했다.처음으로 IT가민간자본 유치가 가장 높은 것으로 그동안 소비재 및 서비스 부문의 투자율이 가장 높았던 것과 대조된다.IT 다음으로는 △2위 금융 서비스 20% △3위 에너지 및 유틸리티 13%로 조사됐다. 소비재 및 서비스 부문은 5위를 기록했다.아프리카 지역별 민간자본 유치 규모와 허브 국가의 투자 유치 비중은 △1위 남아프리카 (남아프리카공화국 87%) △2위 서아프리카 (나이지리아 70%) △3위 동아프리카 (케냐 65%) △4위 남아프리카 △5위 중앙아프리카 순으로 높았다. ◇ 케냐 중앙은행, 20
-
2025-11-14▲ HD현대 본사 전경 [출처=HD현대]HD현대(대표이사 정기선 회장, 조영철 부회장)에 따르면 최근 그룹 인공지능(AI) 기술 개발을 총괄하는 HD한국조선해양(대표이사 회장 정기선, 사장 김형관) 내 AI 전담 조직을 AIX 추진실로 재편했다.또한 김형관 사장이 직접 총괄하는 체제로 편제를 변경하는 조직 개편을 단행했다. HD현대가 그룹 AI 기술 개발을 총괄하는 AI 전담 조직을 대표이사 직속으로 격상해 초격차 기술력 강화에 나선다.이는 AIX 추진실을 대표이사 직속의 독립 기구로 운영하고 최고경영자(CEO)가 직접 AI 기술 개발 전반을 챙김으로써 신속한 의사결정과 과감한 예산 집행을 통해 그룹의 AI 초격차 기술을 선점하기 위한 조치다.새로 출범한 AIX 추진실은 기존 HD한국조선해양 미래기술연구원 산하 부문급 조직이던 AI 센터와 DT 혁신실을 통합한 본부급 조직으로 격상됐다.그룹 AI 연구 조직인 AI 센터와 설계·공정·경영관리 등 각종 소프트웨어 개발 업무를 담당하던 DT 혁신실의 기능이 하나로 결합돼 보다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AI 기술 개발과 활용이 가능해질 것으로 보인다.그중에서도 특히 기대되는 곳은 선박 설계 분야다. 수십 년간 축적된 데이터를 활용, 선박 효율을 최적화한 선박 설계 모델을 도출하고 설계 과정에서 발생하는 단순 반복 작업을 감소시켜 생산성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전망된다.더욱이 차세대 CAD(Computer-Aided Design) 플랫폼 도입을 앞두고 설계 프로세스 전반에 AI 기술 적용을 위한 구조적 전환이 요구되고 있는 만큼 AIX 추진실의 출범은 이를 보다 효율적으로 추진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또한 HD현대는 그간 개별 과제를 중심으로 진행되던 AI 사업을 통합적으로 운영, 그룹 차원의 일관된 AI 거버넌스 체계를 구축하고 조선·건설기계·에너지·로봇 등 전 사업 분야에 AI 기술을 확대·적용한다는 방침이다.현재 HD현대는 △미래형
-
2025-11-14▲ 엔씨소프트 ‘신더시티’, 마이크로소프트와 기술 협력으로 글로벌 서비스 역량 고도화(왼쪽부터 최원종 엔씨소프트 IP얼라이언스실장(상무), 배재현 빅파이어 게임즈 대표 겸 엔씨소프트 CDA(Chief Development Advisor, 부사장), 제러미 홀렛(Jeremy Hollett) 마이크로소프트 애저(Azure) 고객 신뢰 엔지니어링(CRE) 총괄 부사장(Corporate Vice President), 임옥희 한국마이크로소프트 고객 성공 사업부(Customer Success Unit) 부문장) [출처=엔씨소프트]엔씨소프트(공동대표 김택진, 박병무, 이하 엔씨(NC))에 따르면 마이크로소프트와의 기술 협력을 통해 신작 ‘신더시티(CINDER CITY)’ 개발에 혁신 기술을 적용한다.엔씨(NC)의 개발 스튜디오 빅파이어 게임즈의 배재현 대표와 마이크로소프트 제러미 홀렛(Jeremy Hollett) 애저(Azure) 고객 신뢰 엔지니어링(CRE) 총괄 부사장(Corporate Vice President)은 부산 해운대구 벡스코(BEXCO)에서 열린 ‘지스타(G-STAR) 2025’ 현장에서 기술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신더시티’는 마이크로소프트 ‘애저(Azure)’의 클라우드 인프라와 ‘애저 오픈AI’ 기반의 최적화 솔루션을 활용해 △NPC 행동 모델링 △콘텐츠 추천 △실시간 로드 밸런싱(Load Balancing, 부하 분산) 등의 기술로 이용자 경험을 혁신할 계획이다.‘신더시티’는 2026년 하반기 론칭을 목표로 개발 중인 ‘오픈월드 택티컬 슈터’ 장르 신작 게임이다. 엔씨(NC)는 11월13일(목)부터 16일(일)까지 ‘지스타 2025’에 신더시티를 시연 게임으로 출품했다.배재현 대표는 “마이크로소프트 ‘애저(Azure)’의 게임에 최적화된 기술적 안정
-
2025-11-14▲ HD현대 정기선 회장 인도 석유부 장관과 ‘글로벌 파트너십’ 확대 논의 [출처=HD현대]HD현대(회장 정기선)에 따르면 2025년 11월13일(목) 정기선 회장이 경기도 판교에 위치한 HD현대 글로벌R&D센터에서 하딥 싱 푸리(Hardeep Singh Puri) 인도 석유 천연가스부 장관을 만나 상호 협력 확대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이날 회담에는 구란갈랄 다스(Gourangalal Das) 주한 인도대사를 비롯해 에샤 스리바스타바(Esha Srivastava) 석유 천연가스부 차관보, 락쉬마난 해운 수로부 차관보, 아룬 쿠마 싱(Arun Kumar Singh) 인도 석유 천연가스공사(ONGC) 회장, 마두 나이르(Madhu S Nair) 코친 조선소 회장, 스실 쿠마 싱(Sushil Kumar Singh) 구자라트주 딘다알 항만청장 등 공기업 CEO 및 조선·해운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했다.인도 대표단 일행은 정기선 회장의 안내로 HD현대가 보유한 선박 설계 및 건조 역량, 스마트 조선소 운영 시스템에 대한 설명을 들으며 인도 조선업의 역량 향상과 선대(船隊) 확대, 기술 발전을 위한 세부 협력 방안을 모색했다.이번 인도 대표단의 방문은 현재 인도 정부가 핵심과제 중 하나로 삼고 있는 ‘마리타임 암릿 칼 비전 2047(Maritime Amrit Kaal Vision 2047)’의 추진과 연결돼 있다.인도는 해운·항만·조선·해양플랜트 산업 전반의 자립화와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현재 1500척 규모의 상선을 2500척으로 확대하고 글로벌 5위권의 조선 강국으로 도약한다는 계획을 수립한 상태다.이를 위해 인도 정부는 약 US$ 240억 달러의 예산을 투자할 예정이다. 2025년 10월에는 선박 신조(新造) 사업 확대를 위해 약 80억 달러 규모의 지원 정책을 발표한 바 있다.앞서 HD현대는 2025년 7월 인도 최대 국영 조선사인 코친 조선소와 MOU를 체결하고 △설계·구매
-
2025-11-14▲ 11월 13일(현지시간) 미국 실리콘밸리 마운틴뷰에서 진행된 ‘실리콘밸리 미래 통신 서밋 2025’ 행사장 전경 [출처=삼성전자]삼성전자(회장 이재용)에 따르면 2025년 11월13일(목, 현지시간) 미국 실리콘밸리 마운틴뷰에서 ‘실리콘밸리 미래 통신 서밋 2025(Silicon Valley Future Wireless Summit 2025)’를 개최했다.‘AI 네트워크가 여는 새로운 가능성(Unlocking New Possibilities with AI-Centric Network)’을 주제로 열린 이번 행사는 글로벌 주요 이동통신사, 제조사, 정부 기관, 학계 리더 등 100여 명의 통신 전문가들이 참석했다.삼성전자는 이날 행사에서 통신 시스템에 적용된 ‘인공지능(AI) 내재화(AI-Native)’ 기술 개발 성과 등을 공유하며 6G 통신 기술 리더십을 선보였다.◇ 인공지능(AI)이 불러올 무선 통신의 혁신… AI-RAN 기술 검증 본격화행사는 △AI 기반 신규 서비스(AI-Driven New Services) △AI 무선 기술 혁신(AI Radio Innovation) △AI 네트워크 혁신(AI Network Innovation) 등 총 3개 세션으로 운영됐으며 참가자들은 패널 토의를 통해 자유롭게 질의하고 토론하는 시간도 가졌다.▲ 11월 13일(현지시간) 미국 실리콘밸리 마운틴뷰에서 진행된 ‘실리콘밸리 미래 통신 서밋 2025’ 행사장 전경 [출처=삼성전자]‘AI 기반 신규 서비스’ 세션에서는 △증강현실(AR)·확장현실(XR) △센싱 및 통신 융합(ISAC, Integrated Sensing and Communication) 등 AI 기술이 적용된 새로운 무선 통신망 서비스의 현실화 가능성이 논의됐다.‘AI 무선 기술 혁신’ 세션에서는 6G 통신의 핵심 기술인 AI-RAN의 최신 발전 현황과 AI를 통한 무선 통신망
-
2025-11-1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국가보안기술연구소와 ‘철도분야 디지털 제어시스템의 사이버보안 관리체계 구축과 기술개발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 체결(사공명 철도연 원장(좌측)과 황수훈 국보연 소장(우측)) [출처=한국철도기술연구원]한국철도기술연구원(원장 사공명, 이하 철도연)에 따르면 2025년 11월12일(수) 대전광역시 국가보안기술연구소에서 국가보안기술연구소(소장 황수훈, 이하 국보연)와 철도 분야 디지털 제어시스템의 사이버보안 관리체계 구축과 기술개발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철도연은 철도 분야 국제공인 인증기관이다. 철도제어시스템에 대한 인공지능(AI) 및 디지털기술 적용과 함께 사이버보안 기술개발에도 중점을 두고 있다.2024년부터 철도분야 사이버보안 국제표준에 대한 공인인증을 위한 자체연구과제도 수행해왔다.국보연은 국가공공기관의 사이버보안 역량 강화를 선도하는 전문기관이다. 제어시스템 분야의 안전성 시험과 보안 모니터링을 비롯해 국가 기반시설의 안전과 신뢰를 확보하기 위한 기술 및 정책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특히 이러한 제어시스템 보안 연구를 통해 국가 기반시설의 안정적 운영과 국민 안전을 뒷받침하는 핵심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양 기관은 국가과학기술연구회(이사장 김영식, 이하 NST) 소관 연구기관으로 2017년부터 연구회 융합클러스터 사업 등을 통해 철도교통의 사이버보안 연구 협력을 진행해왔다.▲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국가보안기술연구소와 ‘철도분야 디지털 제어시스템의 사이버보안 관리체계 구축과 기술개발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 체결 기념촬영(왼쪽에서 네 번째 사공명 철도연 원장, 다섯 번째 황수훈 국보연 소장) [출처=한국철도기술연구원]최근 철도 분야에서도 디지털전환, AI 기술의 활용이 확대됨에 따라 사이버보안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번 협약을 통해 국가철도 전반의 사이버보안 기술 역량을 강화하고 기술기준 및 표준을 개발해 사이버공격을 선제적으로 방어하는 협력 성과가 기대된다. 또한 사이버보안 국제표준에 대한 공인인증 기반
1
2
3
4
5
6
7
8
9
10
1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