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44
" 실적"으로 검색하여,
439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한화생명 63빌딩 [출처=한화생명]한화생명(대표이사 권혁웅 부회장, 이경근 사장)에 따르면 2025년 11월14일(금) 컨퍼런스콜(실적발표회)을 통해 발표한 2025년 3분기 연결 당기순이익은 3074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14.9퍼센트(%) 증가했다.3분기에는 보장성 중심의 신계약 확대와 상품 수익성 개선 노력을 통해 신계약 CSM 성장을 이어가며 중장기적인 수익 기반을 강화했다.특히 한화생명금융서비스 등 GA자회사와 국내 주요 종속법인(손해보험, 자산운용, 증권 등) 호실적, 신규 편입된 주요 해외 자회사(인니 노부은행, 미국 벨로시티 증권 등)를 통한 사업영역 확장 효과 등으로 2025년 누적 연결 당기순이익(2025.1Q~3Q)은 7689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8% 증가했다.◇ 자회사 실적 견인으로 3분기 연결 순이익 ‘훈풍’국내외 주요 자회사의 지속적인 성장세에 따라 2025년 3분기 연결 당기순이익은 3074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14.9% 증가했다.특히 기 진출한 동남아 시장(베트남, 인도네시아 등)에서의 안정적인 이익 창출력 및 2025년 신규 편입된 인도네시아 노부은행 및 미국 벨로시티 증권을 통한 사업영역 확장 효과로 해외법인을 통한 연결 순이익 491억 원을 확보했다.별도 기준 3분기 순이익은 1361억 원을 달성했다. 업계 공통적으로 건강보험 판매 및 의료 이용률이 증가하면서 발생한 보험금 예실차 등으로 인해 보험손익이 감소했지만 금리부자산 확대에 따른 이자수익 확대 및 전략적 자산운용으로 투자손익이 전년 대비 23.8% 상승했다.◇ 3분기 신계약 CSM 5643억 원… 연 2조원 이상 달성 전망3분기 신계약 APE(연납화보험료)는 약 1조60억 원을 기록했다. 그 중 보장성 APE는 전년 동기 대비 13% 증가한 8790억 원으로 보장성 중심의 성장세를 이어갔다.3분기 신계약 CSM은 전년 동기 대비 4.1% 증가한 5643억 원을 달성했다. 건강보험 상품 확대와
-
▲ 세아그룹 본사 전경 [출처=세아그룹]세아제강지주(대표이사 이주성, 조영빈)에 따르면 2025년 3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은 9231억으로 전년 동기 대비 7.3퍼센트(%) 증가했다. 동기간 영업이익은 398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5.2%확대됐다. 글로벌 철강 시황 악화 및 글로벌 보호무역주의 강화 속에서도 미국 현지 법인(SSA, SSUSA)의 오일&가스向 에너지용 강관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했다.해외 법인(이녹스텍, SSUAE)의 중동 지역 프로젝트 공급 물량 확대 및 미국, 베트남, 중동 생산 법인의 안정적 글로벌 유통·공급망 전략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견조한 실적을 기록했다.반면 국내 건설 경기 침체 장기화 및 대미 수출 관세 인상에 따른 수출 부진으로 국내 부문의 수익성이 하락했다.세아제강의 별도 기준 실적은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17.9%↓)이 감소, 영업이익은 적자 전환했다.계절적 비수기 및 건설 등 전방산업 침체 장기화에 따른 수요 위축과 원재료 가격 상승, 미국 철강 관세 부담 가중으로 인한 수출 제품 수익성 감소 영향으로 영업 이익이 적자 전환됐다.4분기 전통적 오일&가스 시장의 계절적 성수기 진입, 제품 차별화 노력 및 친환경 에너지(LNG, 해상풍력, CCUS, 수소 등) 向 고부가가치 강관 판매 확대 추진을 통해 실적 개선이 기대된다.글로벌 보호무역주의 확산 및 대미 수출 관세 강화에 대응해 미국 현지 법인의 생산·판매 비중을 확대하고 미국 오일&가스 시장 내 가격 경쟁력과 안정적 수익 기반을 확보할 계획이다.국제 유가 하락 압력에 따른 오일&가스 向 에너지용 강관 시장 수요 위축 가능성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글로벌 철강 경기 둔화 속에서 중동 등 프로젝트 중심의 고부가가치 제품 공급 전략 강화를 통한 수출 경쟁력을 확대할 계획이다.해상풍력·CCUS·수소 등 성장 잠재력
-
2025-11-14▲ 한국전력 본사 전경 [출처=한국전력]한국전력(사장 김동철, 이하 한전)에 따르면 2025년 3분기 결산 결과 연결 기준 매출액은 73조7465억 원, 영업비용 62조2051억 원, 영업이익은 11조5414억 원을 각각 기록했다.또한 별도 기준 매출액은 72조4684억 원, 영업비용 66조9324억 원, 영업이익 5조 5360억 원을 기록했다. 이는 연료 가격 안정과 요금 조정, 자구노력 등의 영향이다.2023년 3분기 기점으로 9개 분기 연속 연결 기준 영업이익 흑자를 기록했으나 여전히 누적적자는 연결 기준 23.1조 원, 별도 기준 39.1조 원에 달한다.전년 동기 대비 주요 증감 요인을 살펴보면 전기 판매 수익 판매량이 0.4퍼센트(%) 증가했다. 판매단가는 전년 동기 대비 5.5% 상승해 전기 판매 수익이 3조9037억 원 증가했다.연료비·구입 전력비, 자회사 연료비는 2조8151억 원 감소했고, 민간 발전사 구입 전력비는 2130억 원 감소했다. 연료비 원전 이용률 상승(81.7% → 86.5%)으로 인한 원전 발전량 증가에 따라 자회사의 석탄·LNG 발전량은 감소했다.이와 더불어 연료 가격 하락으로 자회사 연료비는 큰 폭으로 감소했다. 구입 전력비 민간 구입량 증가에도 SMP 하락 등으로 구입 전력비는 감소했다.기타 영업비용은 발전 및 송배전 설비 자산 증가에 따른 감가상각비 증가 등으로 1조3091억 원 증가했다.한전과 전력 그룹사는 국민께 약속드린 자구노력과 재정 건전화 계획을 충실하게 이행해 3분기까지 누적 3.5조 원의 재무 개선 노력으로 영업실적 개선에 기여했다.한전은 고객 참여 부하차단 제도, 계통 안정화 ESS 도입 등 합리적인 전력시장 제도 개편뿐만 아니라 전력 설비 점검 기준 효율화, 긴축예산 운영, 전력공급 외의 투자사업 시기 조정 등을 통해 1.6조 원을 절감했다.전력 그룹사는 예산·사업 심의 강화 및 출자회사 재무개선 추진 등을 통해 1.9조 원을 절감했다.한편
-
2025-11-14▲ HMM 선박 [출처=HMM]HMM(대표이사 최원혁)에 따르면 2025년 3분기 매출액은 2조7064억 원, 영업이익은 2968억 원, 당기순이익은 3038억 원을 각각 기록했다.3분기 영업이익률은 11퍼센트(%)로 글로벌 선사 중 상위권을 기록했다. 글로벌 정세 혼란, 공급과잉 등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상황에서도 2025년 1~3분기 누적 영업이익은 1조1439억 원으로 1조 원을 돌파했다.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는 2025년 3분기 평균 1481포인트(p)로 전년 동기 3082p 대비 52% 하락했다. 2024년 3분기는 미국 보호관세 우려로 선행 물동량이 증가했다.반면 2025년 3분기는 미국 보호관세 본격화로 물동량이 급감한 여파다. 특히 미주 노선 해상운임은 서안과 동안 각각 69%, 63% 급감했다.4분기는 전통적인 연말 비수기 진입으로 전반적 시황 약세가 예상된다. 또한 미국의 관세 정책 변화에 따른 불안정한 상황이 지속될 전망이다.항로별 기항지와 투입 선박 조정으로 운항 효율을 최적화하고 냉동 화물, 대형 화물 등 고수익 특수 화물을 적극적으로 유치하며 신규 영업 구간 개발 등을 통해 수익성을 개선할 방침이다.
-
2025-11-13▲ 농협중앙회, ‘제7차 범농협 비상경영대책위원회’ 개최 [출처=농협중앙회]농협중앙회(회장 강호동)에 따르면 2025년 11월12일(수) 서울특별시 중구 소재 농협중앙회 본관에서 ‘제7차 범농협 비상경영대책위원회’를 개최했다.이날 회의에서는 △10월 말 경영실적 및 연도말 추진목표 실적 점검 △농축협 건전결산 대책 △연도말 사업추진 마무리 계획 등을 함께 논의했다.특히 계열사별 비상경영 이행사항 점검주기를 단축하는 등 세밀한 경영관리를 통해 연도말 추진 목표를 기필코 달성하기로 다짐했다.▲ 농협중앙회, ‘제7차 범농협 비상경영대책위원회’ 개최 [출처=농협중앙회]지준섭 부회장은 2025년 어려운 경영여건에도 불구하고 손익 거양을 위해 최선을 다한 임직원들의 노고를 격려했다. 또한 남은 기간 동안 연도말 사업추진 마무리 계획을 철저하게 이행하고 목표 달성을 위해 모든 역량을 집중할 것을 당부했다.
-
2025-11-13▲ BNK부산은행 본점 전경 [출처=BNK부산은행]BNK부산은행(은행장 방성빈)에 따르면 2025년 11월12일(수) 영업점 방문 없이 모바일뱅킹 앱(App)을 통해 손쉽게 신청할 수 있는 모바일 전용 주택담보대출 신상품 ‘ONE 주택담보대출’을 출시했다.‘ONE 주택담보대출’은 거래실적 연동 우대금리 조건이 없는 주택담보대출 상품이다. 복잡한 거래실적 충족 부담 없이 합리적인 금리로 이용할 수 있다.금융소비자의 접근성을 높이고 상품 이해도를 개선해 최근 금융시장 트렌드를 반영한 것이다. 대출 신청 과정에서는 스크래핑 및 공공 마이데이터 연계해 고객이 별도 서류를 제출하지 않아도 심사에 필요한 자료가 자동 제출된다.또한 공동 인증서 외에도 금융 인증서, 민간 인증서 등 다양한 인증수단을 지원해 모바일에서도 빠르고 편리한 대출 신청이 가능해 고객의 이용 편의성이 한층 강화된다.이번 신상품 출시에 맞춰 부산은행은 모바일 주택담보대출 심사 프로세스를 전면 개편했다. ‘원클릭 심사 프로세스’를 도입해 심사부터 승인까지의 업무처리 과정을 자동화함으로써 대출 실행까지 걸리는 시간을 크게 단축했다.이를 통해 고객은 신청 후 신속하게 심사 결과를 확인할 수 있어 고객의 만족도가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부산은행 신식 개인 고객 그룹장은 “부산은행은 고객 중심의 금융상품 개발과 혁신적인 디지털 프로세스 개선을 통해 모바일 환경에서도 쉽고 빠르게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
▲ 금호타이어 로고 [출처=금호타이어]금호타이어(대표이사 정일택)에 따르면 2025년 3분기 연결 기준 잠정 매출액은 1조1137억 원, 영업이익은 1085억 원을 기록했다.3분기 매출액은 북미·유럽 등 주요 글로벌 시장에서 고부가가치 제품 판매 증대, 완성차 업체의 신규 OE 공급 확대 등으로 1조1137억 원 실적을 달성했다.2023년 4분기부터 8분기 연속으로 분기 매출 1조 원 이상을 유지하고 있으며 프리미엄 제품 및 고인치 매출 증가로 영업이익률은 9.7퍼센트(%) 수치를 확보했다.2025년 5월 광주공장 화재로 인해 매출은 전년 대비 0.1% 감소, 영업이익은 22.6% 감소했지만 하반기 미국발(發) 관세 부과 및 자동차 시장 침체 등 불확실성과 변동성이 커진 시점에 비교적 실적 선방을 거뒀다.특히 고인치 중심의 신제품 출시 및 지역별 전략 차종에 공급을 확대하면서 북미 지역에서는 2024년 동기(누적 기준) 대비 19.9% 증가한 수치를 기록했다.유럽은 9.3% 증가, 중국은 2.1% 증가한 실적을 달성하면서 글로벌 시장의 안정적인 성과를 유지해 나가고 있다.금호타이어는 2025년 세계 4대 디자인 어워드 석권, 아우토빌트 등 유럽 자동차 전문지 테스트 우수 성적 확보 등 제품 기술력을 입증하고 있다.이뿐만 아니라 타이어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기술을 활용한 차세대 타이어 솔루션 개발, 스마트 타이어, UAM 용 에어본 타이어, 에어리스 타이어, AGT 철도차량 전용 타이어 등 기술 확장에 발 빠르게 대응하고 있다.2025년 9월 ‘오토노머스 에이투지(A2Z)’와 ‘자율주행차 미래형 타이어 기술개발 및 공급 업무 협약’을 체결하고 자율주행차 ‘로이(Roii)’에 타이어를 공급하면서 국제 무대인 ‘2025 APEC’에서 선보이기도 했다.한편 금호타이어는 2024년 창립 이래 최대의 매출과 영업이익을 경신하며 재무구조를 안정화하며 경영 체질
-
▲ 세아그룹 본사 전경 [출처=세아그룹]세아베스틸지주(대표이사 김수호, 이태성)에 따르면 2025년 3분기 연결 기준 잠정 매출액은 9295억 원, 영업이익 267억 원을 기록했다.주요 자회사(세아베스틸, 세아창원특수강, 세아항공방산소재)의 적극적 영업활동 추진을 통한 판매량 확대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YoY 4.8퍼센트(%)↑)이 증가했다.중국산 저가 특수강봉강 제품의 국내 유입 지속 및 주요 전방산업 수요 둔화가 심화되고 있다. 세아창원특수강·세아항공방산소재의 항공·방산향 고부가가치 소재의 전략적 비중 확대로 전년 동기 대비 영업이익(YoY 9.5%↑)이 증가했다.특히 구조적 성장세에 진입한 글로벌 항공·방산 시장에 고강도 알루미늄 소재를 공급하는 세아항공방산소재는 3분기 누적 기준 창사 이래 최대 영업실적(매출액 989억 원, 영업이익 203억 원, 영업이익률 20.6%)을 경신했다.전분기 대비 주요 전방 산업 부진이 지속되는 가운데 계절적 비수기로 인한 조업일수 감소 및 하계 전력비 증가 등 비우호적 경영환경에 따라 전분기 대비 매출액(QoQ 4.0%↓), 영업이익(QoQ 39.9%↓)이 감소했다.세아베스틸은 개별 기준 특수강 전방산업의 수요 둔화에도 적극적 영업 활동을 통해 판매량 증가하면서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YoY 4.8%↑)이 증가했다.다만 중국산 저가 수입재 유입 지속으로 인한 국내 특수강봉강 시장 잠식, 원부재료 가격 약세에 따른 판매단가 인하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영업이익(YoY 65.4%↓)이 감소했다.중국산 특수강봉강 국내 유입량은 2024년 3분기 15만2884톤에서 2025년 3분기 16만1873톤으로 늘어났다.건설·기계·석유화학 등 전방산업 수요 부진 심화 및 하계 휴가에 따른 조업일수 감소가 판매량 하락으로 이어져 전분기 대비 매출액(QoQ 8.3%↓), 영업이익(QoQ 79.3%&
-
▲ S-OIL 본사 전경 [출처=S-OIL]S-OIL(대표이사 안와르 알 히즈아지)에 따르면 2025년 11월3일(월) 발표한 2025년 3분기 매출액은 8조4154억 원, 영업이익은 2292억 원으로 흑자 전환했다. 환율 상승에 따라 매출액이 전 분기 대비 4.6퍼센트(%) 증가한 가운데 정제마진 개선세에 힘입어 흑자 전환했다.◇ 2025년도 3분기 사업 부문별 실적· 정유 부문두바이 원유 가격은 OPEC+의 증산 기조에도 지정학적 리스크와 미국의 대(對) 러시아 제재로 인해 보합했다. 아시아 정제마진은 러시아 정제설비의 가동 차질 등에 따른 공급 제한으로 등경유 제품 스프레드 강세 바탕으로 상승했다.· 석유화학 부문- 아로마틱파라자일렌(PX): 중국 신규 PTA 설비 가동 등 안정적 다운스트림 수요에 힘입어 스프레드 개선 지속벤젠: 미국의 수입 수요가 관세 부과로 인해 줄어든 가운데 중국 내 신규 벤젠 설비 가동에 따라 공급이 증가해 스프레드 약세- 올레핀 다운스트림(PP & PO) : 역내 공급 증가와 미-중 관세 분쟁에 따른 불확실성으로 인해 수요 회복이 지연돼 약세 지속· 윤활 부문견조한 수요를 바탕으로 전 분기 수준을 유지했다.◇ 2025년 4분기 전망· 정유 부문글로벌 정제설비 가동 차질 및 노후 설비 폐쇄에 따라 공급이 제한적인 가운데 난방유 성수기 진입으로 계절적 수요가 확대될 예상임에 따라 견조한 정제마진 지속 전망이다.· 석유화학 부문-아로마틱: 휘발유 비수기 진입에 따라 공급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나, 신규 다운스트림 설비 가동에서 비롯된 수요 증가가 이를 상쇄할 전망-올레핀 다운스트림: 블랙프라이데이 및 크리스마스 등 계절적 수요를 배경으로 시황 개선이 기대· 윤활 부문계절적 비수기나, 인도를 중심으로 한 수요가 견조할 것으로 기대되는 가운데 일부 지역의 정기보수가 예정돼 있어 안정적인 시황이 예상된다.◇ 주요 경영 현황&midd
-
▲ HD현대 본사 전경 [출처=HD현대]HD현대(회장 정기선)에 따르면 2025년 11월3일(월) 공시 결과 3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은 18조2243억 원, 영업이익은 1조7024억 원을 기록했다.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9.8퍼센트(%), 영업이익은 294.5% 증가했다. 조선과 전력기기 사업이 견조한 실적 흐름을 이어간 가운데 정유 부문이 흑자 전환한 데 따른 결과다.조선·해양 부문의 HD한국조선해양은 △고선가 선박 매출 비중 확대 △생산성 개선 등을 통해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21.4%와 164.5% 늘어난 7조5815억 원과 1조538억 원을 기록했다.HD현대마린솔루션은 주력 사업인 AM(After Market) 사업과 디지털 솔루션 사업의 호조세에 힘입어 매출은 전년 동기보다 11.3% 늘어난 5132억 원을, 영업이익은 12.2% 증가한 936억 원을 기록했다.건설기계 부문의 HD현대사이트솔루션은 △북미·유럽 선진 시장을 비롯한 글로벌 건설기계 시장 수요 회복과 △신흥 및 광산 시장 공략 강화 △AM 사업 다각화 등을 통해 수익성이 개선됐다.그 결과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전년 동기 대비 15.8% 96.7% 증가한 2조526억 원과 1432억 원을 기록했다. HD현대사이트솔루션은 원가 경쟁력 강화 및 고수익 제품 포트폴리오 확대를 통해 수익성을 극대화할 계획이다.에너지 부문 계열사인 HD현대오일뱅크는 글로벌 업황 둔화에 따른 석유화학 사업 부진에도 불구하고 정제마진 상승 등에 따라 정유사업 실적이 큰 폭으로 개선되며 매출 7조3285억 원, 영업이익 1912억 원을 기록해 1분기 만에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HD현대오일뱅크는 공장 가동 안정화와 효율 극대화, 고부가 제품 비중 확대 등을 통해 실적 개선세를 지속적으로 이어간다는 계획이다.HD현대일렉트릭은 북미·유럽 등 주요 해외 시장의 변압기 판매 확대와 국내 고압차단기 매출 증가에 힘입어 매출 9954억 원, 영업이익 2471억 원을 달성했다.특히 고부가가치 프
1
2
3
4
5
6
7
8
9
10
1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