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악성코드"으로 검색하여,
3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러시아 글로벌 컴퓨터 보안제품 개발업체인 카스퍼스키(Kaspersky)에 따르면 2021년 1월~6월 나이지리아, 케냐,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3만 건 이상의 모바일 악성코드 공격을 차단했다.지난 6개월 동안 나이지리아에서 1만4071건, 케냐에서 1만697건,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5499건 등을 각각 차단한 셈이다.또한 중동, 터키, 아프리카 대륙에서 카스퍼스키 솔루션에 의해 차단한 모바일 악성코드 공격 건 수는 20만6000건 이상이다.동기간 감시 대상 아프리카 국가들의 경우 나이지리아는 차단된 공격 건수에 의해서만 본다면 이집트(1만9466건) 다음으로 많은 건수이다. 즉 고도로 연결된 국가들에서 모바일 위협이 얼마나 만연해졌는지를 보여준다. 실제로 카스퍼스키의 최근 연구에 따르면 상위 10개국을 모바일 악성코드에 의해 공격받는 사용자 점유율로 보면 나이지리아가 8위(11.76%)를 차지했다.케냐, 남아공 역시 모바일 악성 프로그램에 대한 위협은 고도로 연결된 국가들이 겪고 있는 보다 표적화된 기반 공격으로의 전환과 함께 여전히 우려할 사항이다.▲카스퍼스키(Kaspersky) 홈페이지김백건 기자
-
미국 글로벌 보안소프트웨어회사인 맥아피(McAfee)에 따르면 2018년 2분기 가상통화 마이닝 악성코드는 250만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86%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2018년 1분기에는 290만건이 발견됐으며 전분기 대비 629% 증가했다. 2017년 4분기에는 40만건에 불과했기 때문이다.가상통화를 공격하는 악성코드가 증가하고 있는 것은 블록체인과 가상통화에 대한 인기가 확대되고 있기 때문이다. 와이파이(Wi-Fi) 라우터, 사물인터넷(IoT) 가전 등의 보안취약성이 해커들의 공격대상이 되고 있다.악성코드 조사와 연구활동 관련 업무는 안티 멀웨어전문연구소이며 자회사인 맥아피랩(McAfee Labs)이 담당하고 있다. 참고로 맥아피는 미국 캘리포니아에 본사를 두고 있는 거대 정보보호업체이다.▲맥아피(McAfee)의 창업자 존 맥아피(출처 : 위키피디아)
-
중국인터넷협회 및 국가인터넷응급대응센터는 중국 모바일 인터넷 발전 상황 및 안전 보고서를 발표했다. 발표내용에 따르면 2015년 모바일 악성코드에 감염된 중국인수가 1억7400만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