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에너지광물자원부"으로 검색하여,
4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인도네시아 에너지광물자원부(ESDM)에 따르면 2018년 7월 로칸 유전지대(Rokan Oil Block)에 대한 경매가 진행될 예정이다.현재 로칸 유전지대는 현 정부와 미국의 석유기업 쉐브론(Chevron) 현지법인이 2021년까지 유전개발 계약을 유지하고 있다. 경매에 낙찰된 기업은 이 계약이 끝난 이후 로칸지대에 대한 관리권을 획득할 수 있다. 지금도 많은 투자자들이 관심을 보이고 있다.로칸지대는 원유생산량이 가장 많은 지역인 리아우(Riau Islands) 내에 위치해 있다. 일평균 원유생산량은 약 23만배럴에 달한다. 향후 생산가치가 높게 평가되고 있다 보니 지난 4월 쉐브론은 유전지대 관리에 대한 계약을 20년 연장하겠다는 제안서를 제출했다.참고로 로칸지대에 대한 관리권은 기존 계약자와 자동갱신되지 않는다다. 모든 입찰 기업에게 공평한 기회를 주겠다는 의도다.
-
인도네시아 에너지광물자원부(ESDM)에 따르면 현재 매장된 유전(oil reseves)이 앞으로 12년 내로 고갈될 것으로 전망된다. 물론 신규 유전이 개발되지 않는다는 전제에서다.현재 원유 매장량은 약 33억배럴로 추정되며 일평균 원유 생산량은 80만배럴에 달한다. 올해 유전이 개발되지 않는다면 2019년부터 생산량이 일평균 70만배럴로 줄어들 전망이다.업계 전문가들은 에너지안보의 위협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첨단 유전개발기술'이 시급하다고 말한다. 현재 탐사기술로는 유전(미개발 포함) 중 40~50%정도만 탐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현재 인도네시아의 원유매장량은 전세계의 0.2%에 불과하다. 앞으로 늘어날 원유 수요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기술개발은 물론 충분한 자본력도 뒷받침돼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한편 석유에 이어 떠오르는 자원 '천연가스'의 매장량은 앞으로 25~50년까지 사용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자원이 한정되고 불분명한 것은 마찬가지다.
-
▲ 인도네시아 정부 로고인도네시아 에너지광물자원부(ESDM)에 따르면 해당부처는 조코위도도 대통령에게 2040년 '오일연료'용 자동차에 대한 판매금지를 제안했다.가솔린, 디젤뿐만 아니라 가스까지 포함한 화석연료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겠다는 의도이다. 전기, 수소 등 친환경에너지에 초점을 맞춘 것이다.만약 오일연료용 자동차가 공급되지 않는다면 환경적인 측면에서 대기질이 개선되며 재정적인 측면에서는 화석연료에 대한 수입지출이 줄어든다.이러한 로드맵이 추진되기 위해서는 전기자동차가 전적으로 지원돼야 한다. 우선 수입되는 전기자동차에 대한 관세인하가 중점적으로 검토되고 있다.시장전문가들은 아직 화석연료에 대한 의존도가 매우 높고 전기차 수요 및 충전소 인프라가 미비하기 때문에 섣부른 정책은 지양하라고 조언한다.단 환경적, 경제적 효과를 목적으로 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높다고 평가했다. 유럽, 미국, 일본 등 전기차 수요가 높은 시장부터 참고하라고 덧붙였다.
-
▲ 인도네시아 정부 로고인도네시아 에너지광물자원부(ESDM)에 따르면 2017년 7월 해당부처는 정부에 환경정책의 일환으로 '전기자동차 특별법'이 마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탄소배출량 감축에 대한 환경적 이슈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전기자동차만큼 효과적인 것이 없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단 전기자동차의 수입보다는 자체개발에 초점을 맞췄다.문제는 전기자동차 개발예산, 구입비용, 세금부담 등 경제적인 여건이 미비하다는 점이다. 결국 정부가 주도한 특별법 제정과 연구개발에 대한 재정지원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해당부처는 2025년까지 친환경자동차의 보급을 확대해 탄소배출량을 23% 감축하는 것이 목표다. 법 제정, 예산확보와 더불어 관련 인프라 구축에도 힘써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