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07
" 이익"으로 검색하여,
1,064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11-17▲ 한국씨티은행 본점 전경 [출처=한국씨티은행]한국씨티은행(은행장 유명순)에 따르면 2025년도 3분기 총수익은 2466억 원, 당기순이익은 654억 원을 각각 기록했다.2025년 1~3분기 누적 총수익은 8060억 원, 누적 당기순이익은 2486억 원을 각각 시현했다. 전년도 3분기 누적 대비 총수익은 11퍼센트(%), 당기순이익은 7% 감소했다.2025년 9월 말 현재 BIS 자기자본비율 및 보통주자본비율은 34.40%와 33.52%이며 전년 동기의 34.22% 및 33.20%와 비교해 각각 0.18퍼센트포인트(%p)와 0.32%p 상승했다.3분기 누적 총수익은 8060억 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11% 하락했다. 외환/파생상품/유가증권 관련 수익 등 기업금융 중심의 비이자수익은 전년 동기 대비 37% 증가했다.동기간 소비자금융의 지속적인 자산 감소 및 시장금리 하락에 따른 순이자마진의 감소 영향으로 이자수익이 전년 동기 대비 36% 감소한 것이 주요인이다.3분기 누적 비용은 민생금융지원을 비롯한 2024년도 일회성 영업외비용 영향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4% 감소한 4475억 원을 기록했다.대손비용은 359억 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61% 감소했으며 중견기업 부문의 충당금적립액 감소 및 소비자금융의 자산 감소에 따른 대손비용 감소가 주요인이다.2025년 9월 말 현재 총대출금은 11.7조 원으로 소비자금융 부문의 단계적 폐지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4% 감소했다. 예수금은 20.6조 원으로 기업금융 부문의 예수금 증가에 기인해 전년동기 대비 13% 증가했다.2025년도 3분기 누적 총자산순이익률과 자기자본순이익률은 각각 0.66% 및 6%를 기록했으며 전년 동기 대비 각각 0.19%p와 0.03%p 감소했다.유명순 은행장은 “금리 하락에 따른 이자수익 감소와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로 인한 시장심리 위축에도 불구하고 당행은 안정적인 리스크 관리, 수익 구조 다변화, 그리고 미래 성장 기반 강화에 집중하고 있다. 앞으로도 국제금융 분야의 차별화된 경쟁력
-
▲ 한화생명 63빌딩 [출처=한화생명]한화생명(대표이사 권혁웅 부회장, 이경근 사장)에 따르면 2025년 11월14일(금) 컨퍼런스콜(실적발표회)을 통해 발표한 2025년 3분기 연결 당기순이익은 3074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14.9퍼센트(%) 증가했다.3분기에는 보장성 중심의 신계약 확대와 상품 수익성 개선 노력을 통해 신계약 CSM 성장을 이어가며 중장기적인 수익 기반을 강화했다.특히 한화생명금융서비스 등 GA자회사와 국내 주요 종속법인(손해보험, 자산운용, 증권 등) 호실적, 신규 편입된 주요 해외 자회사(인니 노부은행, 미국 벨로시티 증권 등)를 통한 사업영역 확장 효과 등으로 2025년 누적 연결 당기순이익(2025.1Q~3Q)은 7689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8% 증가했다.◇ 자회사 실적 견인으로 3분기 연결 순이익 ‘훈풍’국내외 주요 자회사의 지속적인 성장세에 따라 2025년 3분기 연결 당기순이익은 3074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14.9% 증가했다.특히 기 진출한 동남아 시장(베트남, 인도네시아 등)에서의 안정적인 이익 창출력 및 2025년 신규 편입된 인도네시아 노부은행 및 미국 벨로시티 증권을 통한 사업영역 확장 효과로 해외법인을 통한 연결 순이익 491억 원을 확보했다.별도 기준 3분기 순이익은 1361억 원을 달성했다. 업계 공통적으로 건강보험 판매 및 의료 이용률이 증가하면서 발생한 보험금 예실차 등으로 인해 보험손익이 감소했지만 금리부자산 확대에 따른 이자수익 확대 및 전략적 자산운용으로 투자손익이 전년 대비 23.8% 상승했다.◇ 3분기 신계약 CSM 5643억 원… 연 2조원 이상 달성 전망3분기 신계약 APE(연납화보험료)는 약 1조60억 원을 기록했다. 그 중 보장성 APE는 전년 동기 대비 13% 증가한 8790억 원으로 보장성 중심의 성장세를 이어갔다.3분기 신계약 CSM은 전년 동기 대비 4.1% 증가한 5643억 원을 달성했다. 건강보험 상품 확대와
-
2025-11-14▲ 한국전력 본사 전경 [출처=한국전력]한국전력(사장 김동철, 이하 한전)에 따르면 2025년 3분기 결산 결과 연결 기준 매출액은 73조7465억 원, 영업비용 62조2051억 원, 영업이익은 11조5414억 원을 각각 기록했다.또한 별도 기준 매출액은 72조4684억 원, 영업비용 66조9324억 원, 영업이익 5조 5360억 원을 기록했다. 이는 연료 가격 안정과 요금 조정, 자구노력 등의 영향이다.2023년 3분기 기점으로 9개 분기 연속 연결 기준 영업이익 흑자를 기록했으나 여전히 누적적자는 연결 기준 23.1조 원, 별도 기준 39.1조 원에 달한다.전년 동기 대비 주요 증감 요인을 살펴보면 전기 판매 수익 판매량이 0.4퍼센트(%) 증가했다. 판매단가는 전년 동기 대비 5.5% 상승해 전기 판매 수익이 3조9037억 원 증가했다.연료비·구입 전력비, 자회사 연료비는 2조8151억 원 감소했고, 민간 발전사 구입 전력비는 2130억 원 감소했다. 연료비 원전 이용률 상승(81.7% → 86.5%)으로 인한 원전 발전량 증가에 따라 자회사의 석탄·LNG 발전량은 감소했다.이와 더불어 연료 가격 하락으로 자회사 연료비는 큰 폭으로 감소했다. 구입 전력비 민간 구입량 증가에도 SMP 하락 등으로 구입 전력비는 감소했다.기타 영업비용은 발전 및 송배전 설비 자산 증가에 따른 감가상각비 증가 등으로 1조3091억 원 증가했다.한전과 전력 그룹사는 국민께 약속드린 자구노력과 재정 건전화 계획을 충실하게 이행해 3분기까지 누적 3.5조 원의 재무 개선 노력으로 영업실적 개선에 기여했다.한전은 고객 참여 부하차단 제도, 계통 안정화 ESS 도입 등 합리적인 전력시장 제도 개편뿐만 아니라 전력 설비 점검 기준 효율화, 긴축예산 운영, 전력공급 외의 투자사업 시기 조정 등을 통해 1.6조 원을 절감했다.전력 그룹사는 예산·사업 심의 강화 및 출자회사 재무개선 추진 등을 통해 1.9조 원을 절감했다.한편
-
2025-11-14▲ HMM 선박 [출처=HMM]HMM(대표이사 최원혁)에 따르면 2025년 3분기 매출액은 2조7064억 원, 영업이익은 2968억 원, 당기순이익은 3038억 원을 각각 기록했다.3분기 영업이익률은 11퍼센트(%)로 글로벌 선사 중 상위권을 기록했다. 글로벌 정세 혼란, 공급과잉 등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상황에서도 2025년 1~3분기 누적 영업이익은 1조1439억 원으로 1조 원을 돌파했다.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는 2025년 3분기 평균 1481포인트(p)로 전년 동기 3082p 대비 52% 하락했다. 2024년 3분기는 미국 보호관세 우려로 선행 물동량이 증가했다.반면 2025년 3분기는 미국 보호관세 본격화로 물동량이 급감한 여파다. 특히 미주 노선 해상운임은 서안과 동안 각각 69%, 63% 급감했다.4분기는 전통적인 연말 비수기 진입으로 전반적 시황 약세가 예상된다. 또한 미국의 관세 정책 변화에 따른 불안정한 상황이 지속될 전망이다.항로별 기항지와 투입 선박 조정으로 운항 효율을 최적화하고 냉동 화물, 대형 화물 등 고수익 특수 화물을 적극적으로 유치하며 신규 영업 구간 개발 등을 통해 수익성을 개선할 방침이다.
-
2025년 11월13일 북중남미 경제동향은 미국, 캐나다, 브라질을 포함한다. 미국 자동차 제조업체는 숙련된 기게직 근로자를 확보하지 못해 경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캐나다는 신규 일자라가 증가하며 실업률이 하락했지만 대부분의 일자리가 파트타임으로 드러났다. 도매와 소매와 같은 유통업은 일자리가 늘어난 반면에 건설업은 줄어들었다.브라질 국영은행은 영업이익이 감소하고 90일 이상 연체된 대출액이 증가하고 있다. 미국과 관세전쟁으로 경제가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브라질 국영 대형 은행인 반코 두 브라질(Banco do Brasil SA) 빌딩 [출처=위키피디아]◇ 미국 포드(Ford), 5000개의 기계직 일자리 오픈미국 자동차 제조업체인 포드(Ford)는 5000개의 기계직 일자리를 오픈한다고 밝혔다. 일반 미국 근로자의 중간 급여인 US$ 12만 달러를 제시했지만 확보하지 못했기 때문이다.비단 포드만의 문제가 아니며 많은 제조업체가 높은 급여를 제시했지만 숙련된 육체 노동자를 충분하게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의 다시 위대하게 만들기 위해 제조업체를 부흥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공장에서 필요한 노동자의 숫자와 공장에서 일하고자 하는 근로자의 숫자 사이에 큰 차이가 있다.응급 서비스, 트럭 운전수, 공장 근로자, 배관공, 전기 기술자, 유통 전문가 등 다수 영역에서 100만 명 이상의 근로자가 부족한 실정이다.◇ 캐나다 통계청(Statistics Canada), 2025년 10월 신규 일자리 6만7000개 창출캐나다 통계청(Statistics Canada)은 2025년 10월 신규 일자리가 6만7000개 만들어졌다고 밝혔다. 10월 기준 실업률은 6.9%로 하락했다.하지만 10월 창출된 일자리 대부분은 파트타임인 것으로 드러났다. 일자리가 늘어난 산업은 도매와 소매 거래로 4만1000가가 생겼다.다른 산업은 교통과 창고업, 정보통신, 문화와 레크레이션, 유틸리티 등이 대표적이다. 반면에 가장 많은 일자리가
-
2025-11-12▲ SK네트웍스 삼일빌딩 전경 [출처=SK네트웍스]SK네트웍스(대표이사 이호정)에 따르면 2025년 3분기 연결 기준 잠정 매출액은 1조9726억 원, 영업이익 223억 원, 세전이익 245억 원을 각각 기록했다.자회사 SK인텔릭스의 신제품 출시 비용 반영으로 전년 동기 대비 영업이익이 22퍼센트(%) 감소했다. 차입금 및 이자 비용 감소 등에 따라 세전이익은 149% 증가했다. 당기순이익 감소는 전년 3분기 SK렌터카 매각 차익 반영에 따른 기저효과로 인한 것이다.SK네트웍스는 3분기 보유 사업 전반에 걸쳐 안정적인 성과를 거뒀다. 정보통신 사업은 네트워크 관리 강화 및 단말기 판매 증가 효과가 나타났다. 워커힐은 호텔 객실과 식음료 매장, 대외 사업 고객 증가에 따라 매출이 한층 증가했다.SK스피드메이트의 경우 정비·부품·ERS 사업의 고른 성장으로 수익성이 개선됐다. 엔코아 또한 솔루션·교육 사업 중심의 매출 확대와 경영 효율화를 통해 흑자전환에 성공했다.실리콘밸리 기반 인공지능(AI) 스타트업 피닉스랩(PhnyX Lab)은 2025년 8월 SK네트웍스의 전략적 투자와 글로벌 AI 리더들의 참여 속에 US$ 400만 달러 규모의 자금을 유치했다.SK인텔릭스는 렌탈시장의 경쟁 심화 속에서 ‘원코크 플러스 얼음물 정수기’가 꾸준한 인기를 끌었다. 10월 ‘초소형 라이트 직수 정수기’ 판매에 나서는 등 지속적인 고객 마케팅을 실시했다.아울러 ‘AI 웰니스 플랫폼’ 기업으로 도약하겠다는 전략 방향성을 앞세워 브랜드 체계를 재정비했다. 이 과정에서 새롭게 개발한 세계 최초 웰니스 로보틱스 브랜드 나무엑스(NAMUHX) 제품 마케팅 비용 등이 발생해 이익 측면에서는 전년에 미치지 못한 실적을 기록했다.SK네트웍스는 2025년 4분기 및 향후 사업별 본원적 경쟁력을 강화하는 동시에 AI 기반 사업 모델 혁신 속도를 높여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제고할 계
-
2025-11-10▲ 동원그룹 CI [출처=동원그룹]동원그룹(회장 김남정)에 따르면 사업 지주사인 동원산업의 연결 재무제표 기준 2025년 3분기 잠정 집계한 누적 영업이익은 4066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1퍼센트(%) 증가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7조2644억 원으로 8.0% 늘었다.연결 기준 3분기 매출액은 2조5865억 원으로 전년 대비 10.6% 증가했으나 영업이익은 1481억 원으로 15.1% 감소했다.동원그룹은 수산·포장재 등 주요 사업 부문이 고환율에 따른 원자재 비용 상승과 통상임금 인상 등에 따라 3분기 수익성 하락이 불가피했다고 설명했다.식품 부문 계열사인 동원F&B는 글로벌 수출 성장세가 두드러졌다. 모델 방탄소년단 진을 앞세운 동원참치를 비롯해 떡볶이·김·김치 등 간편식과 펫푸드·음료 등 전략 품목이 고르게 성장해 수출이 전년 대비 약 20% 증가했다.내수 시장에서는 조미 소스(참치액), 유제품, 샘물 등이 안정적인 성장세를 보였고 온라인 경로도 15% 이상 성장했다.동원홈푸드는 조미식품·식자재·급식 서비스·축산물 유통 등 전 사업이 호조를 기록, 매출과 영업이익이 모두 증가해 성장과 내실 개선을 동시에 이뤄냈다.조미식품 사업은 B2C와 B2B 경로에서 가파른 성장세를 보였고 식자재 및 축산물 유통 사업은 신규 거래처 확보로 매출이 2자릿수 이상 증가했다. 또한 수익성 중심의 판매 전략을 지속해 영업이익도 30% 이상 끌어올렸다.동원산업의 별도 기준 3분기 누적 매출액은 8283억 원, 영업이익은 1383억 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2.2%, 33.9% 증가했다.어획량은 줄어들었지만 횟감용 참치 등 프리미엄 제품 판매로 매출이 소폭 늘었고 원가 절감 노력에 힘입어 수익성이 개선됐다.포장재 부문 계열사 동원시스템즈(014820)는 미국, 캐나다 등 해외 시장으로 연포장재 수출을 확대하며 실적을 이끌었다. 소재 부문은 펫푸드·레토르트 파우치 등
-
▲ 아모레퍼시픽 본사 전경 [출처=아모레퍼시픽]아모레퍼시픽 그룹(회장 서경배)에 따르면 2025년 3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은 1조1082억 원으로 전년 동기 4퍼센트(%) 증가했다. 3분기 영업이익은 1043억 원을 기록했다.라네즈, 에스트라, 설화수, 려 등 주요 브랜드의 글로벌 확산과 운영 효율화에 힘입어 주력 계열사인 아모레퍼시픽이 그룹 전체 매출 성장과 수익성 개선을 이끌었다. 국내 사업은 온라인, MBS(멀티브랜드숍), 백화점 등 주요 내수 채널은 물론, 면세와 크로스보더(국내 본사에서 해외 유통사, 리테일러와 직접 협업해 현지 진출하는 사업 모델) 채널 판매가 크게 확대되며, 매출은 전년동기 대비 4%, 영업이익은 24% 증가했다.설화수는 온/오프라인 전 채널에서 판매 증가하며 럭셔리 스킨케어 리더십을 공고히 했다. 헤라와 AP 뷰티 브랜드는 신제품 출시와 고객 커뮤니케이션 강화를 통해 브랜드 경쟁력을 제고했다.라네즈, 에스트라는 이커머스 채널 중심의 고성장세를 이어갔으며 마몽드는 크로스보더 채널을 통해 해외 시장 진출을 가속화했다.미쟝센, 라보에이치 등 헤어앤뷰티 브랜드 역시 신제품 출시 및 온/오프라인 전 채널 판매 확대로 두 자릿수 매출 성장을 달성했다.해외 사업은 립, 스킨케어 카테고리를 중심으로 한 라네즈 브랜드, 글로벌 더마 시장 진출 가속화 중인 에스트라 브랜드, 기능성 헤어케어 제품을 강화한 려 브랜드의 성장세가 두드러졌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3%, 영업이익은 73% 증가했다.미주 시장에서는 라네즈의 고성장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에스트라, 한율 등 신규 브랜드 확산이 본격화됐다. 코스알엑스는 신규 성장 주력 제품 중심 바이럴이 확대되며 틱톡샵 매출이 늘었다.유럽 및 중동(EMEA) 시장 또한 라네즈, 이니스프리 브랜드의 견고한 성장과 더불어 에스트라 등 신규 브랜드 진출을 통해 브랜드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했다.중화권 시장은 사업 구조 및 체질 건전화로 흑자 전환했고, 려 브랜드 등 헤어 카테고리 매출 고성과도 이어졌다. 기
-
▲ KT&G CI [출처=KT&G]KT&G(사장 방경만)에 따르면 2025년 11월6일(목) 3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은 1조8269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6퍼센트(%) 증가했다.동기간 영업이익은 4653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4% 늘어났다. 분기 영업이익은 수익성 극대화 전략으로 5년만에 최고치를 갱신했다.본업 중심의 경쟁력 강화와 수익성 중심 성장 전략을 통해 역대 최고 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을 동시에 달성했으며 이에 2025년 연간 실적 전망을 상향 조정했다.이러한 실적 호조 속에 KT&G는 연간 매출, 영업이익 가이던스를 기존 5~7%, 6~8% 성장에서 각각 ‘두 자릿수 성장’으로 상향했다.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담배사업부문 매출액은 1조2323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7.6% 증가하며 분기 사상 최대치를 경신했고 영업이익은 3718억 원으로 전년동기대비 11% 성장했다.특히 해외궐련사업은 중앙아시아, 중남미, 아태 등 주요 시장에서 판매수량 성장과 전략적인 단가 인상 효과로 3개 분기 연속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해외궐련사업 3분기 매출은 5242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4.9% 증가하며 분기 사상 최초 5000억 원을 돌파했고 영업이익과 수량 역시 각각 22.4%, 12.8% 올랐다.이어 궐련 및 NGP(Next Generation Products, 전자담배)를 포함한 국내 담배사업은 심화되는 경쟁 속에서도 압도적인 시장점유율 1위를 유지했다. 해외NGP사업은 디바이스 신규 버전 출시 효과 등으로 디바이스와 스틱 판매량이 동시에 증가했다.KGC인삼공사가 영위하는 건강기능식품 사업부문은 고수익 위주로 채널 포트폴리오를 재편하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6.8% 감소한 3598억 원을 기록한 반면 마케팅 비용 효율화 등 수익성 중심의 전략을 통해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3.9% 성장한 715억 원을 기록했다.앞서 KT&G는 2025년 9월 미국 Top-tier 담배제조사 Al
-
▲ 금호타이어 로고 [출처=금호타이어]금호타이어(대표이사 정일택)에 따르면 2025년 3분기 연결 기준 잠정 매출액은 1조1137억 원, 영업이익은 1085억 원을 기록했다.3분기 매출액은 북미·유럽 등 주요 글로벌 시장에서 고부가가치 제품 판매 증대, 완성차 업체의 신규 OE 공급 확대 등으로 1조1137억 원 실적을 달성했다.2023년 4분기부터 8분기 연속으로 분기 매출 1조 원 이상을 유지하고 있으며 프리미엄 제품 및 고인치 매출 증가로 영업이익률은 9.7퍼센트(%) 수치를 확보했다.2025년 5월 광주공장 화재로 인해 매출은 전년 대비 0.1% 감소, 영업이익은 22.6% 감소했지만 하반기 미국발(發) 관세 부과 및 자동차 시장 침체 등 불확실성과 변동성이 커진 시점에 비교적 실적 선방을 거뒀다.특히 고인치 중심의 신제품 출시 및 지역별 전략 차종에 공급을 확대하면서 북미 지역에서는 2024년 동기(누적 기준) 대비 19.9% 증가한 수치를 기록했다.유럽은 9.3% 증가, 중국은 2.1% 증가한 실적을 달성하면서 글로벌 시장의 안정적인 성과를 유지해 나가고 있다.금호타이어는 2025년 세계 4대 디자인 어워드 석권, 아우토빌트 등 유럽 자동차 전문지 테스트 우수 성적 확보 등 제품 기술력을 입증하고 있다.이뿐만 아니라 타이어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기술을 활용한 차세대 타이어 솔루션 개발, 스마트 타이어, UAM 용 에어본 타이어, 에어리스 타이어, AGT 철도차량 전용 타이어 등 기술 확장에 발 빠르게 대응하고 있다.2025년 9월 ‘오토노머스 에이투지(A2Z)’와 ‘자율주행차 미래형 타이어 기술개발 및 공급 업무 협약’을 체결하고 자율주행차 ‘로이(Roii)’에 타이어를 공급하면서 국제 무대인 ‘2025 APEC’에서 선보이기도 했다.한편 금호타이어는 2024년 창립 이래 최대의 매출과 영업이익을 경신하며 재무구조를 안정화하며 경영 체질
1
2
3
4
5
6
7
8
9
10
1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