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52
" 전략"으로 검색하여,
1,518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1905년 설립된 대한적십자사는 △재난구호 △공공의료 △남북교류 △혈액 등의 사업을 통해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인도주의 기관이다. 1905년 11월 을사조약 이후 일본에 의해 폐사된 후 1919년 상해 임시정부 하에 대한적십자회로 운영했다. 2025년 창립 120주년을 기념해 더욱 의미 있는 활동으로 전개해 사회적 변화를 이끄는 인도주의 기관으로 최선을 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국내 복지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맞춤형 지원의 정교화, 구호활동, 재난 예방 교육과 훈련을 확대할 방침이다. 국제적으로는 긴급구호와 지속가능한 지원을 위한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할 계획이다.대한적십자사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현황을 진단하기 위해 홈페이지, 국가정보전략연구소(국정연) 데이터베이스(DB), 국정감사·감사원·사법기관 자료, 각종 제보 등을 참조했다.글로벌 스탠다드를 지향하며 개발된 ‘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 모델을 적용해 대한적십자사의 ESG 경영 현황을 진단해봤다. ◇ 2022년 ESG 경영 1차 평가... 복지부동·무사안일 등 관료주의 폐습으로 사회공헌 집행은 5년간 ‘뒷걸음질’2021년 8월 적십자사는 ㈜삼녹과 지속 가능 성장을 위한 ESG 실천기업 협약을 체결했다. 하지만 홈페이지에 ESG와 관련된 자료를 전혀 없다.ESG 경영 선언문이나 ESG 경영헌장, ESG 경영추진단, ESG 경영소위원회 등 ESG 경영을 위한 추진 체계를 마련하지 않았다.종합청렴도 평가결과는 △2017년 3등급 △2018년 3등급 △2019년 5등급 △2020년 4등급 △2021년 2등급으로 2019년 이후 개선됐다. 자체 감사부서는 정원 11명에 현원 11명으로 구성됐다.감사원 지적사항은 △2017년 3건 △2018년 2건 △2021년 6건 등 총 11건이다. 주무부처인 보건복지부 지적사항은 △2016년 18건 △20
-
1957년 보령약국으로 창업한 주식회사 보령은 ‘인류의 건강을 위해 꼭 필요한 기업이 되겠다’를 경영 미션으로 밝혔다. 완제의약품, 원료의약품, 의약외품 등의 제조 및 매매업과 의약품 및 생명공학 관련 제품의 생산과 판매 사업을 운영하며 2024년 12월31일 기준 총 6개의 국내외 종속기업을 보유한다.경영 핵심가치는 △Become Irreplaceable 대체할 수 없는 기업 △Think Long-Term 장기적 관점으로 판단하는 기업 △Pursue Extreme Transparency 투명하고 깨끗한 기업 △Be Nice 상대방에 친절한 기업 등이다.보령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현황을 진단하기 위해 홈페이지, 국가정보전략연구소(국정연) 데이터베이스(DB), 국정감사·감사원·사법기관 자료, 각종 제보 등을 참조했다.글로벌 스탠다드를 지향하며 개발된 ‘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 모델을 적용해 의 ESG 경영 현황을 진단해봤다. ▲ 보령의 ‘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 모델 평가 결과 [출처=iNIS] ◇ ESG 경영 비전 및 계획은 수립했으나 경영 헌장은 부재... 2024년 부채총계 3795억 원으로 부채율 48.4%ESG 비전은 ‘BRing Sustainable Value for Humanity 인류를 위한 지속 가능한 가치 창출’로 정했다. ESG 경영 목표는 △환경적 책임 이행을 위한 환경경영 시스템 고도화 △이해관계자와의 소통을 통한 공존과 상생 추구 △투명한 ESG 거버넌스 구축으로 신뢰성 증대로 설정했다.거버넌스(BR ESG Governance) 경영 목표를 위한 경영 방침은 △윤리/청렴 문화 확산 △기후변화 대응 체계 구축으로 밝혔다. ESG 경영헌장은 부재했다. 윤리경영을 위한 윤리규범과 윤리경영 실천지침을 수립했다.2024년 이사회 구성원 수는 총 6명
-
높은 산맥과 넓은 강은 효율적인 군사작전을 수행하는 장애물이다. 한반도는 강과 하천이 많아 도하 작전이 매우 중요하다. 도하작전은 적이 통제해 건널 수 없는 강의 적정지점에 교두보를 설치하기 위해 수행된다.도하작전은 공병부대가 맡으며 공격 작전을 담당한 전투 부대가 신속하고 안전하게 강을 건너도록 지원한다. 도하작전에서 필수적인 장비가 부교로 교절을 결합해 뗏목처럼 이동시키는 형태의 구성품이다.우리 군이 사용하는 리본교(Ribbon Bridge System)는 기존 교량에 비해 설치가 간편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리본교는 교절이라고 불리는 구성품 여러 개를 연결해 완성한다.각 교절은 자체 작동장치에 의해 물에 진수되면 반자동으로 펼쳐진다. 수면에 진수된 교절은 교량가설단정(Bridge Erection Boat)으로 이동시켜 연결한다. 육군 공병부대는 단시간에 수십톤의 전차가 통과할 수 있는 리본부교를 설치할 수 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의 안보⸱재난안전기술단의 임무 소개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의 안보⸱재난안전기술단은 2010년 설립됐다. 국방 연구개발 제도개선, 국방 연구개발 과제화/연구지원, 군에 과학기술 지원 등의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더불어 안보⸱재난안전기술단 소속 미래국방국가기술전략센터는 2022년 만들어졌다. '국방과학기술 혁신을 위한 국가 연구개발 투자전략 싱크탱크'로 비전을 설정했다.주요 임무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국방 연구개발(R&D) 투자정책 수립 지원 △국방적용 가능 민간R&D 역량 발굴-과제기획 △국방R&D 민관군 협력기반 마련 등이다.이번에 소개할 기술은 KIST의 전북분원 구조용복합소재연구센터 유재상 책임연구원(jamesyu@kist.re.kr)이 수행한 '경량화 및 스텔스 기능을 가지는 부교용 CFRP 샌드위치 패널 개발 기술'이다.◇ 연구 목표... 전자파 흡수/차폐 및 진동감쇠 기능 보유한 탄소섬유강화 복합소재(CFRP) 개발전자파 흡수/차폐 및 진동감쇠 기능
-
2025-08-13▲ 현대자동차 정몽구 재단, 제 38회 한미과학기술학술대회(이하 UKC 2025)에서 한미 양국 과학기술인들을 대상으로 포럼 개최 [출처=현대자동차]현대자동차그룹(회장 정의선)에 따르면 2025년 8월7일(목, 현지시간) 정몽구 재단(이사장 정무성)이 미국 애틀란타에서 개최된 제 38회 한미과학기술학술대회(이하 UKC 2025)에서 한미 양국 과학기술인들을 대상으로 한 포럼을 개최했다.‘과학기술 혁신을 통한 사회문제 해결’을 주제로 한국과 미국의 기업 및 비영리 기관들이 과학기술을 기반으로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어떤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지 소개했다.8월5일(화)부터 9일(토)까지(현지시간) 미국 애틀란타 ‘옴니 애틀란타 호텔 앳 센테니얼 파크’에서 진행되는 UKC 2025는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과총)와 재미한인과학기술자협회(재미과협), 한미과학협력센터 주최로 개최됐다.1974년 첫 연례 학술대회를 시작으로 UKC는 매년 2000여 명의 한미 양국 석학, 차세대 연구자, 기업가, 정책 입안자 등이 참가해 기술 혁신과 글로벌 파트너십을 도모한다.복잡해지는 글로벌 과제들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영리와 비영리의 영역 구분을 뛰어넘어 이해관계자들이 어떻게 과학기술을 기반으로 해결책을 모색하고 있는지 지식 교류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현 시점에서 재단은 한국과 미국의 지속가능한 글로벌 사회를 위한 과학기술 혁신 사례를 공유하고 논의하기 위해 포럼을 개최했다.이번 포럼은 ‘과학기술 혁신을 통한 사회문제 해결’을 대주제로 △정진택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이사장 △최재호 현대차 정몽구 재단 사무총장 △Carie Davis Third Derivative 총괄 △Steven Jahng 현대자동차그룹 애틀란타 사무소 소장 등 4명이 참여했다. (좌장: 정진택 대구경북과학기술원 이사장)최재호 현대차 정몽구 재단 사무총장의 사회로 시작된 본 포럼에서 좌장인 정진택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
-
2025-08-11▲ 2025 사이버안보 논문 공모전 개최 안내 [출처=국가정보원]국가정보원(원장 이종석, 이하 국정원)에 따르면 한국사이버안보학회 주최, 국정원 후원으로 2025년 8월25일(월)부터 9월24일(수)까지 '2025 사이버안보 논문공모전'을 개최한다.공모 분야는 △기술 분야 △국가전략 분야 △법·제도 분야 등이다. 기술 분야는 시스템보안, 네트워크보안, 응용보안, 융합보안, 산업보안 등 사이버안보(보안) 관련 기술 전 분야가 해당된다.국가전략 분야는 사이버안보(보안) 전략, 동맹정책, 다자협력, 국제협력, 거버넌스, 국제규범 등이며 법·제도 분야는 사이버안보(보안) 국내외 법·제도 등이다.논문 분량은 사이버안보연구 양식 기준 기술분야, 국가전략 분야, 법·제도 분야 각각 12페이지, 20페이지, 20페이지 이내다.응모자격은 국내외 대학 및 대학원생으로 2025년 10월 말 수상자를 발표하고 11월7일(금) 시상식을 개최한다.시상 내역은 총 상금 4300만 원으로 대상 3편 각 600만 원, 최우수상 3편 각 300만 원, 우수상 3편 각 200만 원, 장려상 1편 각 100만 원 등이다.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된다.
-
2025-08-08▲ 대한항공, 중국 최대 온라인 여행사 ‘씨트립(Ctrip)’과 전략적 파트너십 체결 [출처=대한항공]대한항공(회장 조원태 사장 우기홍)에 따르면 2025년 8월6일(수) 오후 중국 상하이 트립닷컴 그룹 본사에서 전략적 협력 MOU 협약식이 열렸다.협약식에는 박요한 대한항공 중국지역본부장, 장용 트립닷컴 그룹 항공권 사업부 CEO 등 양사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대한항공은 중국 온라인 여행사 ‘씨트립(Ctrip)’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고 중화권 시장 공략에 나섰다.씨트립은 글로벌 여행 서비스 기업 트립닷컴(Trip.com) 그룹 계열사로 중국 본토에서 항공권, 숙박, 열차 등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등록 회원만 3억 명이 넘는 중국 최대 온라인 여행사다. 한국을 비롯한 기타 해외 지역에서는 별도 계열사인 트립닷컴으로 서비스되고 있다.이번 협약으로 대한항공과 씨트립은 중국 여행 시장을 공동 개척하고 비즈니스 혁신을 추진함으로써 소비자들에게 다양한 혜택과 서비스를 제공하기로 했다.구체적으로는 △씨트립 웹사이트 내 대한항공 공식 플래그십 스토어 운영 △대한항공 항공권 포함한 차별화된 여행 상품 개발 △기업 상용 수요 대상 맞춤형 프로모션 등 다양한 영역에서 전방위 협력에 나설 계획이다.양사의 전략적 협력으로 대한항공은 중화권 여행 수요를 흡수하고 한중 간 문화 교류에 기여할 수 있을 전망이다. 한국관광공사 통계에 따르면 2024년한 해 동안 한국을 찾은 중국인 관광객은 460만여 명으로 국가별 집계에서 1위를 차지했다.2025년 상반기에는 한국을 찾은 중국인 관광객이 252만 명을 넘어서며 전년 동기 대비 13.8퍼센트(%) 늘었다. 대한항공은 한-중 노선을 운항하는 양국 항공사 중 가장 많은 항공편을 운영하고 있다.중국 온라인 여행업계 1위 씨트립과의 협력으로 더욱 큰 시너지를 낼 전망이다. 대한항공은 2025년 8월 현재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등 중국 20개 주요 도시(21
-
▲ KT&G CI [출처=KT&G]KT&G(사장 방경만)에 따르면 2025년 8월7일(목) 기업설명회에서 발표한 2025년 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은 1조5479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7퍼센트(%) 증가했다.동기간 영업이익은 3498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6% 성장했다. 이로써 2024년 4분기부터 3분기 연속 매출과 영업이익의 동반성장을 이뤄냈으며 2025년 상반기 매출액도 최초로 3조 원을 돌파했다.먼저 본업인 담배사업 부문은 글로벌사업의 고성장에 힘입어 매출과 영업이익은 1조906억 원, 3218억 원을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0%, 1.6% 증가하며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갔다.특히 해외궐련은 매출과 영업이익, 판매수량이 모두 증가하는 ‘트리플 성장’을 5분기 연속 달성했으며 매출은 2024년 2분기 대비 30.6% 오른 4690억 원을 기록했다.이어 판매수량은 9.1% 증가한 167억 개비, 역대 최대 분기 매출 및 판매량을 재경신했다. 2024년 매출채권 대손충당금 환입분을 제외한 2025년 2분기 조정영업이익 역시 전년 동기 대비 51.1% 상승해 고성장 모멘텀을 확보했다.이는 방경만 KT&G 사장이 2024년 취임 이후 최우선으로 추진해온 글로벌 현지 완결형 밸류체인 전략과 CIC 체제로의 전환이 본격적인 성과로 이어진 결과다.또한 아태, 중앙아시아, 중남미 등 주요 권역에서 ‘에쎄’ 중심의 경쟁력 있는 신제품 출시와 높아진 브랜드 파워를 기반으로 한 고가제품군 비중 확대, 판매 단가 인상 전략이 주효했다.2025년 하반기 해외 공장에서 원재료 현지 수급체계가 완성되면 향후 원가절감으로 인한 이익 성장이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된다.국내 NGP사업부문은 ‘릴 에이블’ 판매가 늘어나 상반기 점유율 45.8%를 기록했으며 해외 스틱 매출 수량은 22억 개비로 전년 동기대비 4.2% 상승하며 판매량이 반등했다.KGC인삼공사가 영위하는 건강기능
-
대부분의 사람들은 첨단 의료기술에 기대 '무병장수'를 꿈꾸지만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각종 질환에 시달리게 된다. 고혈압, 당뇨, 심장병, 관절염, 암, 치매 등은 노인 뿐 아니라 청장년의 건강도 위협한다.각종 난치병에 도전하는 의료인에게 희망의 빛을 선사한 것은 줄기세포(sterm cell)다. 줄기세포는 배아 또는 성체에 있는세포로 여러 종류의 조직으로 분화할 수 있는 미분화 세포를 말한다.1890년대 독일 과학자들이 바다 성게의 배아와 도룡농 수정란을 이용해 세포분화 과정을 연구하기 시작했다. 1960년대 성체 줄기세포의 존재가 처음으로 확인된 이후 배아줄기세포가 처음 분리됐다.2004년 우리나라 황우석 박사가 인간 배아줄기세포를 복제했다는 논문을 발표하며 본격적인 경쟁이 시작됐다. 2006년 일본 교토대 야마나카 신야(山中伸弥) 교수는 유도만능줄기세포(iPS cell)를 개발해 배아를 사용하지 않고 줄기세포를 만드는 방법을 찾았다.야마나카 교수는 2012년 노벨생리의학상을 수상하며 일본의 줄기세포 연구 기반을 구축했다. 일본 정부도 2014년 줄기세포 관련 규제를 철폐해 임상2상에 안전성 문제가 없으면 사용허가를 내준다. 반면 한국 정부는 수정란을 파괴해야 한다는 윤리적 논란 탓에 연구 자체를 허용하지 않는다.대한줄기세포치료학회 김응석 회장과 우리나라 줄기세포 연구 현황에 대한 인터뷰를 시작한 계기다. 김 회장은 2008년 창립된 학회를 이끌며 줄기세포를 통한 난치병 치료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엠아이앤뉴스(대표 최치환)은 2025년 7월30일 라파셀의원에서 김 회장을 만났다.▲ 대한줄기세포치료학회 김응석 회장 [출처=iNIS]◇ 환자 중심의 통합의학을 실현하기 위해 노력 중... 학문적 플랫폼 만들기 위해 다양한 학회 활동 참여의학계는 '노화는 극복 가능한 문제'라는 혁신적 관점을 갖고 세포의 노화과정을 늦추고 건강한 삶의 질을 지키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김 회장은 치과의사인 부친의 영향으로 의사라는 직업을 선택했으며 치료 중심
-
1988년 서울 올림픽 이후 우리나라 기업의 국제적 위상이 높아지며 해외 진출이 증가했다. 6·25 전쟁의 폐허를 딛고 산업고도화에 매진한 결과는 경이로울 정도였다.1960년대 주력 수출품이었던 합판, 가발, 철광석이 1970년대를 거치며 신발, 인형, 섬유, 비누로 변경됐다. 정부의 중화학공업 정책 덕분에 1980년대 수출품은 반도체, TV, PC, 자동차, 전화 등으로 고급화됐다.1992년 집권한 김영삼정부는 세계화(Segyewha)를 선언하며 세계무역기구(WTO), 경제개발협력기구(OECD) 가입을 추진했다. 교육 개혁, 행정 개혁 등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방정책을 밀어부쳤다.체계적인 준비가 부족했던 세계화는 1997년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로 귀결됐다. 국란 극복을 외친 김대중정부는 정보통신기술(ICT)을 도입해 정보화 혁명의 기치를 내걸었다.기업 주도의 글로벌화는 성공적이었지만 여전히 국제적 수준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다. 우리나라 글로벌화 수준을 평가하고 진정한 개혁을 추진하기 위한 방안을 살펴보자.▲ 글로벌 식품기업인 네슬레(Nestlé)의 스위스 본사 전경 [출처=홈페이지]◇ 글로벌 사고를 가진 인재 확보 노력 시급... 강한 민족성이 글로벌화의 걸림돌로 작용해글로벌 경쟁이 치열하고 정부의 역할이 감소하고 있는 21세기 초에는 창의적이고 도전적인 글로벌 마인드를 가진 인재가 필요하다. 2013년 출범한 박근혜정부는 '창조경제'를 내세워 창의적 인재 육성을 추진했지만 성과를 미진했다.도요타자동차의 부흥기를 이끈 9대 사장인 조 후지오(張富士夫)는 ‘진정한 글로벌화를 위해서는 국적, 성별을 불문하고 우수한 인재를 모을 필요가 있다’고 역설했다.2000년대 중반 이후 국내 대기업도 ‘글로벌 리크루팅’ 제도를 통해 우수 인재를 스카우트하기 위해 경영진이 해외출장도 마다하지 않았다.해외 대학캠퍼스에서 취업 설명회를 개최하는 것뿐만 아니라 현지 채용
-
2025-08-04▲ 신한금융그룹 사옥 [출처=신한금융그룹]신한금융그룹(회장 진옥동)에 따르면 정보통신기술(ICT) 전문기업 신한DS(신한디에스/대표 민복기)가 AI·DX 전문기업 인스웨이브(대표 어세룡)와 금융 특화 인공지능(AI) 서비스 공동 발굴 및 기술 협력을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이번 협약은 신한금융그룹 내 AI 활용을 더욱 넓히고 실제 금융 업무에 맞는 AI 기술을 함께 개발하고 적용하기 위해 마련됐다.신한DS는 이번 협력을 통해 내부 플랫폼과 외부 기술을 효과적으로 연결함으로써 AI 기반의 디지털 업무 환경을 더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그룹 공통 AI 플랫폼인 AISP와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 PMS(하모니)를 기반으로 인스웨이브의 AI 솔루션을 연계해 실제 금융 업무에 필요한 AI 모델을 함께 설계하고 검증해 나갈 계획이다.이와 함께 해당 솔루션이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기술 교육과 실무 확산을 지원하고 PMS 기반 공동 프로젝트 수행도 병행할 예정이다. 양사는 이를 통해 실질적인 금융 업무에 적용 가능한 AI 서비스를 개발하고 다양한 부서로의 확산을 모색할 방침이다.AISP는 AI Shared Platform의 약어로 신한DS가 신한금융그룹 차원의 AI 역량 강화를 위해 구축한 통합 플랫폼이다. 다양한 AI 기술 수요를 유연하게 수용하고 공통 자산으로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신한금융그룹의 기술 내재화와 서비스 품질 향상을 실현할 수 있는 기반으로 디지털 혁신을 실질적으로 뒷받침하고 있다.신한DS는 이번 협력을 시작으로 그룹 내부 디지털 인프라를 활용한 외부 기술 수용 역량을 높이고 이를 기반으로 금융 산업 전반의 AI 확산과 실효성 있는 디지털 혁신 성과를 이어갈 계획이다.민복기 신한DS 대표는 “이번 협약은 금융 업무에 맞는 AI 기술을 실제 환경에 적용해 보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다”며 “신한DS가 보유한 플랫폼에 인스웨이브의 기술을 더해 신한금융그룹 전체의
1
2
3
4
5
6
7
8
9
10
1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