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53
" 중국"으로 검색하여,
2,524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8-08▲ 대한항공, 중국 최대 온라인 여행사 ‘씨트립(Ctrip)’과 전략적 파트너십 체결 [출처=대한항공]대한항공(회장 조원태 사장 우기홍)에 따르면 2025년 8월6일(수) 오후 중국 상하이 트립닷컴 그룹 본사에서 전략적 협력 MOU 협약식이 열렸다.협약식에는 박요한 대한항공 중국지역본부장, 장용 트립닷컴 그룹 항공권 사업부 CEO 등 양사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대한항공은 중국 온라인 여행사 ‘씨트립(Ctrip)’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고 중화권 시장 공략에 나섰다.씨트립은 글로벌 여행 서비스 기업 트립닷컴(Trip.com) 그룹 계열사로 중국 본토에서 항공권, 숙박, 열차 등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등록 회원만 3억 명이 넘는 중국 최대 온라인 여행사다. 한국을 비롯한 기타 해외 지역에서는 별도 계열사인 트립닷컴으로 서비스되고 있다.이번 협약으로 대한항공과 씨트립은 중국 여행 시장을 공동 개척하고 비즈니스 혁신을 추진함으로써 소비자들에게 다양한 혜택과 서비스를 제공하기로 했다.구체적으로는 △씨트립 웹사이트 내 대한항공 공식 플래그십 스토어 운영 △대한항공 항공권 포함한 차별화된 여행 상품 개발 △기업 상용 수요 대상 맞춤형 프로모션 등 다양한 영역에서 전방위 협력에 나설 계획이다.양사의 전략적 협력으로 대한항공은 중화권 여행 수요를 흡수하고 한중 간 문화 교류에 기여할 수 있을 전망이다. 한국관광공사 통계에 따르면 2024년한 해 동안 한국을 찾은 중국인 관광객은 460만여 명으로 국가별 집계에서 1위를 차지했다.2025년 상반기에는 한국을 찾은 중국인 관광객이 252만 명을 넘어서며 전년 동기 대비 13.8퍼센트(%) 늘었다. 대한항공은 한-중 노선을 운항하는 양국 항공사 중 가장 많은 항공편을 운영하고 있다.중국 온라인 여행업계 1위 씨트립과의 협력으로 더욱 큰 시너지를 낼 전망이다. 대한항공은 2025년 8월 현재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등 중국 20개 주요 도시(21
-
▲ 아랍에미리트 두바이 국제공항(DXE)에 따르면 2025년 상반기 공항 이용객 수는 4600만명으로 집계됐다. [출처=두바이 경제관광부(DET) 엑스(X) 계정]2025년 8월5일 중동 경제동향은 아랍에미리트와 튀르키예의 통계와 에너지를 포함한다. 아랍에미리트 두바이 경제관광부(DET)에 따르면 2025년 상반기 두바이(Dubai) 방문객 수는 988만명으로 2024년 동기간 대비 6% 증가했다.튀르키예 정부 에너지 자원부(Minister of Energy and Natural Resources)에 따르면 2025년 8월 튀르키예-시리아 천연가스 파이프라인 운영을 시작했다. ◇ 중국 해관총서, 2024년 중국과 아랍 국가 간 무역 규모 US$ 4074억 달러로 전년 대비 2.3% 증가중국 해관총서(GACC)에 따르면 2024년 중국과 아랍 국가 간의 무역 규모는 US$ 4074억 달러로 전년 대비 2.3% 증가했다.2024년 중국의 아랍에의 수출 규모는 2060억 달러, 수입 규모는 2014억 달러로 집계됐다. 양국간 △금속 주조 △건축 자재 제조업 △섬유 생산 △수경 재배 등 다양한 산업 부문으로 투자가 확장된 영향으로 조사됐다.아랍 국부 펀드와 기업들은 중국 내의 △석유 화학 △에너지 △신기술 부문에의 투자를 높였다. 인프라시설 협업과△전자상거래 △클라우드 컴퓨팅 △인공지능 등의 투자도 성장세를 보였다. ◇ 아랍에미리트 두바이 경제관광부, 2025년 상반기 두바이 방문객 수 988만명으로 2024년 동기간 대비 6% 증가아랍에미리트 두바이 경제관광부(DET)에 따르면 2025년 상반기 두바이(Dubai) 방문객 수는 988만명으로 2024년 동기간 대비 6% 증가했다.정부는△협업 △글로벌 캠페인 △이벤트 △쇼케이스 등을 통해 관광객을 유치할 계획이다. 국내와 국제 파트너 3000곳 이상과 협업하는 것을 목
-
대부분의 사람들은 첨단 의료기술에 기대 '무병장수'를 꿈꾸지만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각종 질환에 시달리게 된다. 고혈압, 당뇨, 심장병, 관절염, 암, 치매 등은 노인 뿐 아니라 청장년의 건강도 위협한다.각종 난치병에 도전하는 의료인에게 희망의 빛을 선사한 것은 줄기세포(sterm cell)다. 줄기세포는 배아 또는 성체에 있는세포로 여러 종류의 조직으로 분화할 수 있는 미분화 세포를 말한다.1890년대 독일 과학자들이 바다 성게의 배아와 도룡농 수정란을 이용해 세포분화 과정을 연구하기 시작했다. 1960년대 성체 줄기세포의 존재가 처음으로 확인된 이후 배아줄기세포가 처음 분리됐다.2004년 우리나라 황우석 박사가 인간 배아줄기세포를 복제했다는 논문을 발표하며 본격적인 경쟁이 시작됐다. 2006년 일본 교토대 야마나카 신야(山中伸弥) 교수는 유도만능줄기세포(iPS cell)를 개발해 배아를 사용하지 않고 줄기세포를 만드는 방법을 찾았다.야마나카 교수는 2012년 노벨생리의학상을 수상하며 일본의 줄기세포 연구 기반을 구축했다. 일본 정부도 2014년 줄기세포 관련 규제를 철폐해 임상2상에 안전성 문제가 없으면 사용허가를 내준다. 반면 한국 정부는 수정란을 파괴해야 한다는 윤리적 논란 탓에 연구 자체를 허용하지 않는다.대한줄기세포치료학회 김응석 회장과 우리나라 줄기세포 연구 현황에 대한 인터뷰를 시작한 계기다. 김 회장은 2008년 창립된 학회를 이끌며 줄기세포를 통한 난치병 치료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엠아이앤뉴스(대표 최치환)은 2025년 7월30일 라파셀의원에서 김 회장을 만났다.▲ 대한줄기세포치료학회 김응석 회장 [출처=iNIS]◇ 환자 중심의 통합의학을 실현하기 위해 노력 중... 학문적 플랫폼 만들기 위해 다양한 학회 활동 참여의학계는 '노화는 극복 가능한 문제'라는 혁신적 관점을 갖고 세포의 노화과정을 늦추고 건강한 삶의 질을 지키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김 회장은 치과의사인 부친의 영향으로 의사라는 직업을 선택했으며 치료 중심
-
▲ 하나은행 본점 전경 [출처=하나은행]하나은행(은행장 이호성)에 따르면 국내 시중은행 최초로 외국인 손님을 위한 중국 모바일 월렛인 알리페이와 위챗페이로 위안화(CNY) 해외송금이 가능한 ‘하나-웨스턴유니온 월렛송금’ 서비스를 시행한다.이번에 출시한 ‘하나-웨스턴유니온 월렛송금’은 수취인 영문 이름과 연락처만 있으면 수취인의 중국 모바일 월렛인 알리페이와 위챗페이로 위안화(CNY) 실시간 해외송금이 가능한 서비스다.특히 송금수수료는 금액 차등 없이 건당 US$ 3 달러(USD)이다. 이는 시중은행에서 제공하는 웨스턴유니온 제휴 서비스 중 최저 수준으로 기존 국제은행간결제시스템(Society for Worldwide Interbank Financial Telecommunication, SWIFT) 기반 송금보다 약 3~4배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다.‘하나-웨스턴유니온 월렛송금’의 송금 한도는 송금인 기준 건당 최대 US$ 7000달러이며 외국인의 한국 생활 필수 파트너인 하나은행 해외송금 전용 앱 ‘하나EZ’를 통해 이용 가능하다.한편 하나은행은 2025년 3월 외국인 손님을 위한 특화 브랜드 ‘HANA THE EASY’를 출범한 바 있다. 이와 더불어 하나은행은 국내 시중은행 중 최초로 비대면 채널에 모바일 월렛 송금을 도입함으로써 외국인 손님에게 보다 더 쉬운(Easy) ‘하나EZ’ 앱을 통해 외국인 종합 금융 플랫폼 기능을 한층 더 강화했다.하나은행 외환 사업지원부는 "글로벌 모바일 결제시장 성장에 맞춰 하나은행은 이번 서비스를 도입해 외국인 손님들이 이용하기가 불편한 소액 송금업자를 통하지 않고 보다 간편·신속하게 위안화 송금 서비스를 제공하게 돼 기쁘다"며 "앞으로도 글로벌 디지털금융 경쟁력을 강화하고 중국 국적 손님을 포함한 외국인 손님 편의성 중심의 외환 서비스를 지속 확대해 나갈 것이다"고 밝혔다.
-
2025-07-26▲ HD현대건설기계 본사 전경[출처=HD현대건설기계]HD현대(대표이사 회장 권오갑, 대표이사 수석부회장 정기선)에 따르면 자회사 HD현대건설기계(대표이사 사장 최철곤)가 2025년 2분기 매출은 9677억 원, 영업이익 400억 원을 각각 기록했다.매출은 자원 및 인프라 개발 수요에 따른 신흥 시장의 성장과 중국 시장의 회복세로 전년 동기 대비 13.4퍼센트(%)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2025년 4월 공시된 중국 사업 재편 등 일회성 비용 213억 원이 반영돼 31.6% 감소했다.지역별로는 신흥 시장의 성장세와 중국의 회복 흐름, 인도의 견조한 수요가 이어지고 있다. 선진 시장에서도 영국, 이탈리아 등 일부 유럽 국가응 중심으로 점진적인 반등 흐름이 나타나며 글로벌 시장이 회복 국면에 진입할 가능성을 보이고 있다.아프리카·중동·인도네시아 등 신흥 시장에서는 마이닝 및 인프라 개발 수요 확대에 힘입어 매출이 전년동기 대비 32% 증가했다.중국은 내수 부양 정책과 해외 수주 증가에 따른 수출 확대 효과로 전년동기 대비 77%의 매출 성장을 기록하며 회복세를 이어갔다.인도는 인프라 투자 기조가 이어지며 견조한 수요를 보였고 매출은 전년 수준을 유지했다. 브라질은 금리 인상 등 외부 요인으로 수요가 감소하며 매출이 줄었으나 신형 HX 굴착기 출시와 구매 지원 프로그램 확대를 통한 하반기 판매 반등이 기대된다.선진 시장에서는 북미가 전 분기 대비 23%, 유럽은 5%의 매출이 증가하며 수요 흐름의 안정화와 함께 반등의 기미를 보이고 있다.HD현대건설기계는 판매 채널 강화와 함께 굴절식 덤프트럭(ADT) 판매 확대, 스키드 스티어 로더·콤팩트 트랙 로더 신모델 출시 등을 통해 제품 믹스를 개선하면서 하반기 선진 시장 매출 확대를 추진할 계획이다.HD현대건설기계는 "건설기계 시장이 올해를 저점으로 회복세에 접어들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지역별 맞춤형 포트폴리오를 통해 매출을 확대해 나갈 것이다"며 "신흥 시장에서 입지 강화와 글로벌 생산
-
▲ HD현대인프라코어 로고 [출처=HD현대인프라코어]HD현대인프라코어(대표이사 조영철, 오승현)에 따르면 7월23일(수) 공시를 통해 2025년 2분기 실적을 발표했다.매출은 1조1846억 원으로 주요 지역의 건설기계 수요 회복과 엔진 부문의 안정적인 실적 증가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6.9퍼센트(%) 증가했다.영업이익은 제품 가격 인상의 영향과 수익성이 높은 지역 내 판매, 고부가가치 제품의 판매 확대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29.8% 증가한 1058억 원을 기록했다. 매출은 7분기 만에 성장세로 전환했으며 영업이익은 전분기 대비 56% 증가했다.사업부별로 살펴보면 건설기계 사업은 매출 8574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9% 증가했다. 글로벌 수요가 완만한 회복세를 보이는 가운데 신흥 시장이 전체 매출 증가를 이끌었다.특히 인프라 투자와 자원개발 수요가 활발한 동남아, 아프리카, 중남미를 중심으로 중대형 장비 판매가 확대되고 수익성도 개선됐다.중국 시장 매출은 인프라 투자 확대와 부동산 부양 정책, 장비 교체 주기의 도래에 따른 수요가 맞물리며 회복세를 나타냈다. 북미와 유럽 등 선진시장도 금리 인하에 따른 수요 개선으로 매출이 소폭 증가했다.엔진 사업은 전력 수요 확대와 탄소 저감 제품군의 판매 증가 등으로 견조한 흐름을 이어갔다. 매출은 327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 증가했다.영업이익은 판가 인상과 고수익 제품 중심의 포트폴리오 개선에 힘입어 32% 증가한 672억원을 기록했다. 특히 발전기용 엔진과 친환경 선박용 엔진을 중심으로 매출이 증가했으며 방산용 엔진은 꾸준한 수요를 바탕으로 안정적인 매출을 유지했다.HD현대인프라코어는 "업황 전반이 바닥을 다져가는 시점에서 선제적인 대응 전략이 실적 개선으로 이어졌다"며 "하반기에도 시장 상황을 면밀히 주시하며 고부가 제품군 판매에 집중하고 핵심 시장을 공략해 수익성 중심의 내실 있는 성장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
2025-07-22▲ 인천항만공사 김상기 운영부사장(가운데)과 ‘M/V SHAOYUN’호 선장 및 허더항운 관계자등이 참석한 가운데 첫 입항을 기념하고 있다 [출처=인천항만공사]인천항만공사(사장 이경규)에 따르면 2025년 7월21일(월) 인천-징탕(JINGTANG)-황하(HUANGHUA)를 연결하는 신규 컨테이너 항로 서비스(HIS, Huanghua Incheon Service)가 개설됐다.이번 서비스는 한국 인천항과 중국 허베이 지역의 두 항만을 연결하는 최초 항로로 중국의 허더항운(Hede(Hongkong) International Shipping Limited)에서 600TEU급 선박 ‘샤오윈(M/V SHAO YUN)’호를 투입해 주 1.5항차(5일 1항차)로 운영한다.항로 개설을 통해 베이징, 톈진을 비롯한 허베이성 지역과 수도권간 물류가 활성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황하항에서 중국횡단철도(TCR)을 통해 중앙아시아까지 연결이 가능해 중고자동차 수출에도 기여하는 등 연간 5만TEU의 물동량 창출 효과가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한진인천컨테이너터미널(HJIT)에 접안한 SHAO YUN(샤오윈) 호 [출처=인천항만공사]또한 향후 신규 항로 홍보와 함께 허베이성 지역에 수출입 화물 운송을 희망하는 주요 화주를 대상으로 물동량 유치 마케팅을 추진할 계획이다.IPA 김상기 운영부사장은 "이번 신규항로 개설로 허베이 지역 선복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대중국 수출입 화주에 도움이 될 것이다"며 "화주 대상 발로 뛰는 마케팅을 통해 인천항의 항로서비스에 대해 널리 알리고 수출입 화주의 물류비 절감에도 기여하겠다"고 강조했다.
-
2025년 7월21일 유럽 경제동향은 영국, 프랑스, 아일랜드를 포함한다. 중국 전기자동차(EV) 제조업체는 미국 테슬라와 경쟁하기 위해 가격을 1500파운드 인하했다.프랑스 금융기관은 지점 운영비의 상승과 모바일 뱅킹의 확산으로 지방에 위치한 지점을 폐쇄하고 있다. 지역 주민은 금융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이 낮아졌다면 반발하는 중이다.아일랜드 운전자는 휘발유와 디젤로 가는 내연기관을 운행할 경우에 전기자동차(EV)에 비해 연간 €1만373유로를 추가로 지출해야 한다.▲ 중국 전기자동차(EV) 제조업체인 리프모터(Leapmotor)가 판매 중인 SUV C10 모델 이미지 [출처=홈페이지]◇ 중국 리프모터(Leapmotor), 영국에서 T03 모델을 £1만4495파운드로 기존 가격에서 1500파운드 인하중국 전기자동차(EV) 제조업체인 리프모터(Leapmotor)는 영국에서 T03 모델을 £1만4495파운드로 기존 가격에서 1500파운드 인하했다고 밝혔다.영국 정부가 2025년 8월부터 EV에 대해 보조금을 지급하기로 결정하면서 판매가를 내린 것이다.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인 C10은 3750파운드를 인하했다.결과적으로 EV 판매가격은 3만2750파운드로 정부의 보조금 지급 기준인 3만7000파운드에 비해 한참 낮아졌다. EV 보조금은 1500파운드에서 3750파운드까지 제공된다.◇ 프랑스 크레딧 아그리콜(Crédit Agricole), 2025년 8월 중부 오트루아르 지역에서 12개 지점 폐쇄프랑스 대표적인 금융기관인 크레딧 아그리콜(Crédit Agricole)에 따르면 2025년 8월 중부 오트루아르 지역에서 12개 지점을 폐쇄한다. 서비스를 강화하기 위해 사업구조를 혁신한다는 입장이다.은행은 문을 닫는 지점의 정확한 명칭을 공개하지 않고 있다. 일부 지역의 주민은 지방정부에 지점의 폐쇄를 막아달라고 청원하는 중이다.지점을 폐쇄하는 대신에 현금자동입
-
2025-07-17중국 국가에너지국(国家能源局)에 따르면 2025년 7월16일(수) 최대 전력부하가 처음으로 15억 킬로와트(kW)를 돌파했다. 7월 들어 4일 14억6500만kW, 7일 14억6700만kW, 16일 15억600만kW를 각각 기록했다.중국 국가우정국(国家邮政局)에 따르면 2025년 상반기(1~6월) 중국우편업계 택배업무량이 총 1045억1000만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16.9% 증가했다.일본 NTT도코모(NTTドコモ)에 따르면 2025년 8월1일(금)부터 삼성전자의 갤럭시 Z폴드 7 SC-56F / Z플립 7 SC-55F를 판매한다.일본 재무성(財務省)에 따르면 6월 수출액은 9조1626억 엔으로 전년 동월 대비 0.5퍼센트(%) 감소했다. 이 중 미국향 수출액은 11.4% 줄어 3개월 연속 하락했다. 특히 수출 비중이 큰 자동차의 경우 26.7% 감소했다.세계 최대 반도체 수탁 생산기업 TSMC에 따르면 2025년 4~6월기 매출액은 NT$ 9337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38.6% 증가했다. 동기간 순이익은 3982억 달러로 60.7% 늘어났다.홍콩공항청(香港機管局)에 따르면 2024/25 회계연도에 항공 교통량 증가 및 매출 증가에 힘입어 HK$ 24억5700만 달러 이익을 기록했다. 따라서 홍콩 정부에 13억 달러 배당금을 지급하기로 했다.▲ 일본 NTT도코모 홈페이지◇ 중국 국가에너지국(国家能源局), 2025년 7월16일(수) 최대 전력부하 15억 킬로와트(kW) 돌파중국 국가에너지국(国家能源局)에 따르면 2025년 7월16일(수) 최대 전력부하가 처음으로 15억 킬로와트(kW)를 돌파했다. 7월 들어 4일 14억6500만kW, 7일 14억6700만kW, 16일 15억600만kW를 각각 기록했다.여름에 진입한 후 7월16일 정오(12시)까지 텐진(天津), 지베이(冀北), 지난(冀南), 산둥(山东), 장쑤(江苏), 저장(浙江), 안후이(安徽), 푸젠(福建), 후베이(湖北), 허난(河南), 장시(江西)
-
2025년 7월02일 북중남미 경제동향은 미국, 캐나다, 브라질을 포함한다. 미국 트럼프 정부의 관세전쟁 여파와 가격 상승으로 자동차 판매량이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캐나다 국민은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캐나다 비하 발언, 관세 부과 등으로 미국산 제품의 구입을 줄였을 뿐 아니라 여행도 자제하고 있다.중국 전기자동차 제조업체는 브라질에서 100% 생산한 제품을 공개했다. 생산량을 늘려 국내 수요 뿐 아니라 라틴 아메리카 시장으로 수출할 방침이다.◇ 미국 JD 파워(JD Power), 2025년 6월 자동차 판매량은 1500만 대로 전월 1760만 대에서 급감미국 자동차산업 시장조사업체인 JD 파워(JD Power)에 따르면 2025년 6월 자동차 판매량은 1500만 대로 전월 1760만 대에서 급감한 것으로 드러났다.2025년 2분기 자동차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2.5%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일부 구매자가 관세전쟁으로 가격 인상이 예상됨에 따라 구매를 서두른 것이 주요인으로 분석된다.2019년 이후 자동차 가격은 약 28% 이상 상승했다. 2020년 2월 시작된 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으로 공급망 혼란, 인플레이션 등이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중국 전기자동차 제조업체인 비야디(BYD)이 판매 중인 돌핀 미니 이미지 [출처=홈페이지]◇ 입소스(Ipsos), 2025년 7월1일 캐나다 국민의 4분의 3이 미국으로 여행을 피해마케팅 리서치의 글로벌 리더인 입소스(Ipsos)는 2025년 7월1일 캐나다 국민의 4분의 3이 미국으로 여행을 피하고 있다고 답변했다고 밝혔다. 2월 이후 10포인트 상승했다.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전쟁으로 캐나다 경제가 타격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으로 여행도 포기하지만 미국산 제품에 대한 구매의욕도 많이 떨어졌다.캐나다 통계청(Statistics Canada)에 따르면 2025년 1~5월 미국에서 캐나다로 여행을 온 사람의 비율도 2자릿수로 하락했다. 특히 5월 수치는 이전에 비해 침
1
2
3
4
5
6
7
8
9
10
1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