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카니발"으로 검색하여,
8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9-02▲ 기아 본사 [출처=기아]기아(대표이사 사장 송호성)에 따르면 2025년 8월 글로벌 시장 자동차 판매량은 도매 판매 기준 25만3950대를 판매해 전년 동월 대비 0.8% 증가했다.이 중 동월 국내 판매량은 4만3501대로 7.4% 늘어났으나 해외 판매량은 20만9887대로 0.4% 감소했다. 특수 차량은 562대를 판매했다.차종별 실적은 스포티지가 4만4969대로 글로벌 시장에서 가장 많이 판매됐으며 셀토스가 2만7805대, 쏘렌토가 1만8466대로 뒤를 이었다.◇ 국내 판매 4만3501대로 전년 동월 대비 7.4% 증가기아는 2025년 8월 국내에서 전년 동월 대비 7.4% 증가한 4만3501대를 판매했다. 지난달 가장 많이 팔린 차량은 쏘렌토로 6531대가 판매됐다. 승용은 레이 3484대, K5 3238대, K8 1976대 등 총 1만2045대가 판매됐다.RV는 쏘렌토를 비롯해 카니발 6031대, 스포티지 5755대, 셀토스 4238대, EV3 2317대, 타스만 887대 등 총 2만8013대가 판매됐다. 상용은 봉고Ⅲ가 3168대 팔리는 등 총 3443대가 판매됐다.◇ 해외 판매 20만9887대로 전년 동월 대비 0.4% 감소기아의 2025년 8월 해외 판매는 전년 동월 대비 0.4% 감소한 20만9887대를 기록했다.차종별 해외 실적의 경우 스포티지가 3만9214대 팔리며 해외 최다 판매 모델이 됐고 셀토스가 2만3567대, K3(K4 포함)가 1만5881대로 뒤를 이었다.◇ 특수 판매 562대 기록특수 차량은 국내에서 174대, 해외에서 388대 등 총 562대를 판매했다.기아는 "글로벌 친환경차 판매 호조로 전년 대비 판매 성장세를 지속하는 중이다. 앞으로 EV4의 수출 본격화 및 PV5, EV5 등 친환경차 판매 확대를 통해 성장세를 이어 나갈 것이다"고 밝혔다.
-
2025-08-04▲ 기아 본사 전경 [출처=기아]기아(대표이사 사장 송호성)에 따르면 2025년 7월 도매 판매 기준 글로벌 자동차 판매량은 총 26만2705대로 전년 동월 대비 0.3퍼센트(%) 증가했다.이 중 국내 판매량은 4만5017대로 전년 동월 대비 2.2% 감소했으나 해외 판매량은 21만7188대로 전년 동월 대비 0.9% 늘어났다. 특수차량 판매량은 500대를 기록했다.차종별 실적은 스포티지가 4만6901대로 글로벌 시장에서 가장 많이 판매됐다. 셀토스가 2만8538대, 쏘렌토가 1만7852대로 뒤를 이었다.◇ 국내 판매기아는 2025년 7월 국내에서 전년 동월 대비 2.2% 감소한 4만5017대를 판매했다. 6월 가장 많이 팔린 차량은 카니발로 7211대로 조사됐다. 승용은 레이 3769대, K5 2868대, K8 2090대 등 총 1만1163대가 판매됐다.RV는 카니발을 비롯해 쏘렌토 7053대, 스포티지 5424대, 셀토스 4921대, EV3 2199대, 타스만 1271대 등 총 3만223대가 판매됐다. 상용은 봉고Ⅲ가 3520대 팔리는 등 버스를 합쳐 총 3631대가 판매됐다.◇ 해외 판매기아의 2025년 7월 해외 판매는 전년 동월 대비 0.9% 증가한 21만7188대를 기록했다.차종별 해외 실적의 경우 스포티지가 4만1477대 팔리며 해외 최다 판매 모델이 됐다. 셀토스가 2만3617대, K3(K4 포함)가 1만6813대로 뒤를 이었다.◇ 특수 판매특수 차량은 국내에서 116대, 해외에서 384대 등 총 500대를 판매했다.기아는 "글로벌 친환경차 판매 호조로 6개월 연속 전년 대비 판매 성장세를 지속하는 중이다"며 "8월에는 EV4의 수출 본격화와 PV5, EV5 등 친환경차 라인업 확대를 통한 판매 모멘텀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
2025-03-05▲ 기아 로고[출처=기아]기아(대표이사 사장 송호성)에 띠르면 2025년2월 글로벌 시장에서 국내 4만6003대, 해외 20만7462대, 특수 385대 등 전년 동기 대비 4.5% 증가한 25만3850대를 판매했다(도매 판매 기준).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국내는 4.5% 증가했다. 해외는 4.4% 증가한 수치다(특수 판매 제외).차종별 실적은 스포티지가 4만6287대로 글로벌 시장에서 가장 많이 판매됐으며 쏘렌토가 2만4173대, 셀토스가 2만4040대로 뒤를 이었다.◇ 국내 판매기아는 2025년 2월 국내에서 전년 동월 대비 4.5% 증가한 4만6003대를 판매했다. 지난달 가장 많이 팔린 차량은 쏘렌토로 9067대가 판매됐다.승용은 레이 4287대, K5 2503대, K8 2457대 등 총 1만176대가 판매됐다. RV는 쏘렌토를 비롯해 카니발 7734대, 스포티지 6568대, 셀토스 4764대 등 총 3만2432대가 판매됐다. 상용은 봉고Ⅲ가 3281대 팔리는 등 버스를 합쳐 총 3395대가 판매됐다.◇ 해외 판매기아의 2025년 2월 해외 판매는 전년 동월 대비 4.4% 증가한 20만7462대를 기록했다. 차종별 해외 실적의 경우, 스포티지가 3만9719대 팔리며 해외 최다 판매 모델이 됐고 셀토스가 1만9276대, K3(K4 포함)가 1만6549대로 뒤를 이었다.◇ 특수 판매특수 차량은 국내에서 44대, 해외에서 341대 등 총 385대를 판매했다.기아는 "전년 하반기부터 잇따라 출시한 K4와 시로스 등 신차가 미국과 인도 등 해외 시장의 판매를 이끌며 글로벌 판매 호조를 보였다. 앞으로도 EV4 및 타스만 등 경쟁력 있는 신차로 판매 모멘텀을 이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
2025-02-04▲ 기아 로고[출처=기아]기아에 따르면 도매 판매 기준 2025년 1월 글로벌 자동차 판매량은 23만9571대로 전년 동월 대비 2.4% 감소했다. 이중 국내 판매량은 3만8403대이며 해외 판매량은 20만993대, 특수 차량 판매량은 175대를 각각 기록했다.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국내는 13.9% 감소했으며, 해외는 0.1% 증가한 수치다(특수 판매 제외).차종별 실적은 스포티지가 4만3473대로 글로벌 시장에서 가장 많이 판매됐으며 셀토스가 2만2198대, 쏘렌토가 2만1421대로 뒤를 이었다.◇ 국내 판매는 전년 동월 대비 13.9% 감소한 3만8403대를 판매기아는 2025년 1월 설 연휴로 인한 영업일수 감소로 인해 국내에서 전년 동월 대비 13.9% 감소한 3만8403대를 판매했다. 지난달 가장 많이 팔린 차량은 쏘렌토로 7454대가 판매됐다.승용은 레이 3876대, K5 2583대, K8 2297대 등 총 1만363대가 판매됐다. RV는 쏘렌토를 비롯해 스포티지 6547대, 카니발 6068대, 셀토스 4342대 등 총 2만5520대가 판매됐다. 상용은 봉고Ⅲ가 2419대 팔리는 등 버스를 합쳐 총 2520대가 판매됐다.◇ 해외 판매는 전년 동월 대비 0.1% 증가한 20만993대를 기록기아의 2025년 1월 해외 판매는 전년 동월 대비 0.1% 증가한 20만993대를 기록했다. 차종별 해외 실적의 경우 스포티지가 3만6926대 팔리며 해외 최다 판매 모델이 됐고 K3(K4 포함)가 1만8663대, 셀토스가 1만7856대로 뒤를 이었다.◇ 특수 판매 현황특수 차량은 국내에서 9대, 해외에서 166대 등 총 175대를 판매했다.기아는 "1월 설 연휴로 인한 영업일수 감소로 국내 시장 판매가 일시적으로 감소했으나, 해외 시장은 판매 성장세를 지속하는 중"이라며 "2025년은 타스만, 시로스, EV4, PV5, EV5 등 다양한 신차로 라인업을 확장해 글로벌 판매 성장세를 지속해 나갈 것이다"고 밝혔
-
▲ 기아 New K8 Medel[출처=기아자동차]기아자동차(회장 정의선, 대표이사 송호성)에 따르면 2024년 8월 글로벌 자동차 판매량은 25만1638대(도매 판매 기준)로 전년 동월 대비 1.7% 감소했다.이중 특수판매를 제외한 국내 판매량은 4만510대로 전년 동월 대비 4.1% 줄어들었다. 해외 판매량은 21만483대로 1.4% 감소했다. 특수 판매량은 645대로 국내에서 175대, 해외에서 470대를 각각 판매했다.글로벌 시장에서 많이 판매된 차종별로 살펴보면 스포티지가 4만5406대, 셀토스 2만7595대, 쏘렌토가 1만8580대를 각각 판매했다.국내에서 8월에 판매된 4만510대 중 가장 많이 판매된 차량은 스포티지로 5988대를 기록했다. 승용은 레이 3710대, K8 2711대, K5 2690대 등 총 1만786대가 판매됐다.RV는 스포티지를 비롯해 셀토스 5551대, 카니발 5534대, EV3 4002대 등 총 2만6624대가 판매됐다. 상용 차량은 봉고Ⅲ가 2990대 팔려 버스를 합쳐 총 3100대가 판매됐다.8월 해외에서 판매된 21만483대 중 스포티지가 3만9418대 팔리며 해외 최다 판매 모델이 됐다. 셀토스가 2만2044대, K3(K4 포함)가 1만5980대로 뒤를 이었다.기아는 "K8 상품성 개선 모델, 스포티지 상품성 개선 모델 등 경쟁력 있는 신차를 통해 하반기 판매 확대를 추진할 것이다"고 밝혔다.
-
글로벌 공유차량업체인 우버(Uber)가 2013년 한국에서 서비스를 시작한지 6년이 지났지만 국내의 차량공유(car sharing) 서비스는 정체된 상태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반면에 차량공유 서비스 활성화로 인해 수익이 감소할 것이라는 택시업계의 반발은 더욱 거세지는 중이다. 특히 개인택시 기사들은 극단적인 선택을 통해 자신들의 반대 의사를 표명하고 있어 공유경제를 활성화시키려는 정부를 당혹스럽게 만들고 있다.공유차량이 허용되지 않았지만 2018년 10월부터 법적인 규제를 피해 11인승 기아 ‘카니발’로만 운행하는 ‘타다’라는 기사 딸린 렌터카 사업이 호조를 보이고 있다. 택시와 달리 손님을 골라 태우지 않고 스마트 폰 앱으로 호출을 하면 서울 시내 기준 5분 이내로 도착하기 때문이다.손님이 탑승하면 간단한 인사를 한 이후에는 택시기사처럼 말을 걸지 않고 승차거부, 경로우회, 바가지 요금 근절 등으로 인기를 끄는 중이다.택시 운전자의 수다, 불평, 희롱에 질린 승객들에게 큰 호응을 얻고 있는 공유차량의 안전을 평가하기 위해 국가정보전략연구소가 개발한 ‘K-Safety 진단모델’을 적용해 보면 다음과 같다.▲ K-Safety 진단 모델로 공유차량 종합평가 결과 [출처=iNIS]◇ 택시업계가 반발해도 차량공유는 시대적 흐름글로벌 차량공유 서비스는 미국의 우버(Uber)가 주도하고 있지만 개별 지역별로 경쟁자가 속출하고 있다. 중국은 디디추싱((滴滴出行)이 우버과 경쟁하다가 2018년 우버의 중국 사업권을 인수했다.동남아시아는 그랩(Grab)과 고젝(Gojek)이 경쟁하고, 인도는 올라(ola)가 우버와 힘겨운 싸움을 벌이고 있다. 우버의 성공적인 스토리에 힘입어 미국에서도 리프트가 론칭된 이후 급성장하는 중이다.해외에서는 인기를 끌고 있는 공유차량이 한국에서만 맥을 못 추고 있다. 2018년 12월 카카오가 카풀 시범서비스를 시작하자 택시업계가 반발했다. 출퇴근 시간에만 한시적으로 허용
-
2019-06-04미국 연방 법원에 따르면 세계 최대 크루즈운영기업인 카니발(Carnival)에게 해양오염 혐의로 벌금 $US 2000만달러를 부과했다.2019년 연초 검찰은 카니발의 크루즈 유람선인 프린세스(Princess)호가 바하마에서 음식물 쓰레기, 플라스틱 등을 바다에 버려 해양 생물 및 해양에 심각한 위협이 되는 오염행위를 저질렀다고 밝혔다.2016년에도 프린세스호가 기름 쓰레기를 배출하고 이를 은폐한 것이 드러나 벌금 4000만달러를 부과받은 적이 있다. 2019년 9월 13일, 10월 9일까지 환경보호를 위한 조치를 취할 것도 명령받았다.대형 크루즈선박의 환경보호에 대한 인식이 낮아 대책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참고로 플로리다 마이애미에 본사를 두고 있는 카니말은 전 세계적으로 9개 브랜드에 105척의 선박을 운영하고 있다. ▲카니발(Carnival) 홈페이지
-
미쯔비시중공업, 카니발 산하 아이다크루즈로부터 수주한 2척 납품지연으로 여객선 사업 철수 가능성 증대... 설계변경 및 자재조달 난항·인테리어 설계 변경 등으로 납기 연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