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PVN"으로 검색하여,
5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6-10▲ 두산에너빌리티, 베트남서 약 9000억원 규모 가스복합발전소 수주 [출처=두산그룹]두산에너빌리티(대표이사 회장 박지원)에 따르면 베트남 최대 국영기업인 베트남 국가산업에너지그룹(PVN)과 약 9000억 원 규모의 오몬(O Mon)4 가스 복합발전소 건설공사 계약을 체결했다.베트남 현지의 발전소 건설 전문회사 PECC2와 컨소시엄을 맺고 계약에 성공한 두산에너빌리티는 주기기 공급, 건설, 종합 시운전 등을 담당한다. 두산에너빌리티는 글로벌 가스 복합발전소 건설시장에서 수주를 확대하고 있다.오몬4 가스 복합발전소는 베트남 호치민에서 남서쪽 약 180킬로미터(km)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총발전 용량 1155메가와트(MW) 규모로 2028년 준공 예정이다.발전소가 완공되면 인근 껀터(Can Tho) 지역을 포함해 베트남 남부지방의 전력 안정화에 기여할 전망이다.두산에너빌리티는 이번 계약을 포함해 2025년 들어 총 5건, 약 4조3000억 원 규모의 해외 가스 복합발전소 건설사업을 따냈다.2025년 2월 카타르 피킹 유닛(약 2900억 원)을 시작으로 3월에는 사우디아라비아에서 루마1, 나이리야1(약 2조2000억 원), PP12(약 8900억 원) 프로젝트 계약을 연이어 체결했다.두산에너빌리티 이현호 Plant EPC BG장은 “그동안 베트남 발전시장에서 다수의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며 입증한 경쟁력이 이번 수주로 이어지게 됐다”며 “베트남은 2030년까지 최대 37.4GW 규모의 가스 복합발전소 증설을 계획하고 있어, 앞으로도 수주 확대를 위해 적극 나서겠다”고 강조했다.
-
2025-04-16▲ 한전, 베트남과 손잡고 원전 및 신사업 협력 강화(응우옌 안 투안(Nguyen Anh Tuan) 베트남전력공사 회장과 김동철 한전사장)[출처=한국전력공사]한국전력(사장 김동철, 이하 한전)에 따르면 2025년 4월11일(금)부터 14일(월)끼지 김동철 사장이 베트남을 방문해 베트남 정부, 국영 기업들과 원자력 발전 및 에너지 신사업 분야에서 폭넓은 협력을 추진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했다.한전은 4월11일(금) 베트남 하노이에서 양국 정부 관계자, 한전 및 팀코리아, 원전 유관기관 등 7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원전 및 전력 신기술 파트너십 워크숍’을 성공적으로 개최했다.한전을 포함한 팀코리아는 아랍에미리트(UAE) 바라카 원전사업의 경험과 주요 성과를 소개하고 베트남의 주요 관심 분야인 원전 사업구도, 재원조달, 금융지원제도, 인력양성, 기술이전 등에 대해 설명하고 이에 대해 상호 논의했다.김동철 사장은 4월14일(월) 양국 장관급 협의체인 한-베 산업공동위원회에 참석해 베트남 정부 및 산업계 고위 인사들과 면담하고 한국의 베트남 원전 사업 참여 의지를 표명하며 적극적인 협조와 지원을 요청했다.이번 산업공동위원회에서 한전은 베트남송전공사(EVNNPT)와 전력망 및 에너지 신사업 분야 MOU를 체결하고 초고압 직류 송전)HVDC), AC 송전망 구축 및 운영 등 전력망 전반에 대한 공동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더불어 한전은 베트남 주요 국영 에너지 기업 회장과의 면담을 통해 양국 간 파트너십을 한층 강화하는 성과를 거뒀다.베트남 닌투언-1 원전사업자인 베트남전력공사(EVN) 및 닌투언-2 원전사업자인 베트남석유공사(PVN) 회장과의 면담을 통해 한국의 원전사업 역량을 적극 홍보하고 향후 원전사업 추진을 위한 합동 워크샵 개최 등 후속 조치를 취해 나가기로 했다.또한 탄소저감 기술, 지능형 디지털 발전소(IDPP) 등 에너지 전환을 위한 신기술 분야 협력을 확대하기로 합의했다.▲ 한전, 베트남과 손잡고 원전 및 신사업 협력 강화(김동철 한
-
베트남 국영석유회사 페트로베트남(PVN)에 따르면 중꾸엇(Dung Quat) 에탄올공장 건설사업이 지지부진한 것으로 드러났다.빈손페트로케미컬은 5990.2억동으로 지분의 61%, PV오일은 3805.25억동으로 38.75%, 페트로세트코는 24.55억동으로 0.25% 지분을 보유하게 된다.이 프로젝트는 완료됐지만 상업적인 가동은 시작하지 못하고 있다. 정부가 30%를 투자하는데 이미 막대한 손실을 기록하고 있다.
-
베트남 국영석유공사(PetroVietnam, PVN)에 따르면 2007년 10월 이후 투자한 바이오연료사업 3건 모두 실패로 확인됐다.2007년 총리가 바이오연료사업을 확대하기 위해 '비전 2025'를 수립해 실천하라고 요구해 투자한 사업들이다. 3건의 프로젝트 모두 각 1억리터를 생산할 수 있는 용량을 구비했지만 상업성은 없는 실정이다.현재까지 총 5조4010억동을 투자했으며 은행 대출금이 30%에 달한다. 사업을 중단하지 못하고 손실이 발생하고 있지만 가동하고 있다.
-
베트남 국영석유 및 가스기업 페트로베트남(PVN)의 자료에 따르면 응이손(Nghi Son)과 중꿕(Dung Quat)프로젝트 추진에 애로가 발생했다.응이손석유화학플랜트의 경우 처음 상업운전 후 10년 동안인 2017년까지 공장도가격에 수입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 연료와 윤활유의 경우에는 수입관세가 7%, LPG는 5%, 석유화학제품은 3%로 결정됐다.정부는 페트로베트남의 경영을 보전해 주기 위해서 실제 수입관세와 정부가 보장하는 관세에서 일정부분 차이를 인정할 방침이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