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
" summit"으로 검색하여,
15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8-29▲ ‘리얼 서밋(REAL Summit) 2025’ 키노트 연사 소개 [출처=삼성SDS]삼성SDS(대표이사 사장 이준희)에 따르면 2025년 9월11일(목) 서울 코엑스에서 ‘리얼 서밋(REAL Summit) 2025’를 개최하고 인공지능(AI) 에이전트 기술이 이끄는 기업 혁신 전략을 선보인다.2025년 7회차를 맞이한 리얼 서밋은 삼성SDS의 솔루션과 서비스 발전 방향을 소개하고 업종별 고객 적용 사례를 공유하는 행사다.빠르게 변화하는 AI 시대에 기업들이 직면한 다양한 과제를 해결하고 비즈니스 혁신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된 이번 행사는 생성형 AI, 클라우드, 데이터, 기업용 솔루션 등 최신 기술에 관심 있는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삼성SDS는 이번 리얼 서밋의 주제를 ‘내일의 기술을 내 일의 기술로’로 정하고 생성형 AI로 변화하는 기업 업무의 미래 모습을 소개할 예정이다.이번 행사에서 삼성SDS 이준희 대표이사는 ‘삼성SDS와 함께하는 AI 트랜스포메이션 여정’을 주제로 기조연설을 진행한다.이어서 SAP 피터 플루임(Peter Pluim) 엔터프라이즈 클라우드 서비스 총괄과 델 테크놀로지스 마이클 델(Michael Dell) 회장이 삼성SDS와의 파트너십과 협업 사례에 대해 발표할 예정이다.또한 KB금융그룹, 원익그룹, 업스테이지 등 주요 고객들이 직접 발표자로 나서 삼성SDS 솔루션 도입 사례와 효과에 대해 소개한다. 이어지는 특별 세션에는 이세돌 UNIST 특임교수가 발표자로 나서 ‘AI 시대, 인간만의 경쟁력’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한다.오후 세션에는 생성형 AI 서비스 플랫폼 ‘패브릭스(FabriX)’, 생성형 AI 기반 협업 솔루션 ‘브리티 코파일럿(Brity Copilot)’, 업무 자동화 솔루션 ‘브리티 오토메이션(Brity Automation)’ 등 삼성SDS 대표 서비스의 기업 고객
-
2025-03-17▲ 국정원, 'Cyber Summit Korea 2025' 개최[출처=국가정보원]국가정보원(원장 조태용, 이하 국정원)에 따르면 2025년 9월8일부터 11일까지 서울(코엑스)에서 'Cyber Summit Korea 2025'를 개최한다.CSK는 국정원이 사이버안보를 위한 글로벌 연대의 장을 만들고자 마련한 행사다. CSK는 2024년 세계 각국의 사이버안보 리더들이 함께한 자리에서 성공적인 첫 발을 내디뎠다.올해도 변함 없이 '글로벌 사이버안보를 위한 한발 앞선 노력'을 지향하면서 사이버위협으로부터 안전한 미래를 지키기 위해 국제사회·민관 간의 "협력을 통한 신뢰 구축"을 목표로 행사를 개최할 예정이다.CSK 2025에서 함께 할 주요 프로그램은 국제정보교류회의(9.8), 국제사이버훈련(APEX, Allied Power Exercise, 9.8~10), 개회식(9.9), 컨퍼런스(9.9~10), 사이버공격방어대회(CCE, Cyber Conflict Exercise, 9.11), 전시(9.9~10) 등이다.자세한 일정은 2025년 6월 중 CSK 홈페이지(cybersummit.kr)을 통해 공지될 예정이다. 국정원은 안전한 사이버 미래를 만들어 가기위해 많은 관심과 참여를 희망하고 있다.
-
▲ 최태원 SK그룹 회장 ‘SK Directors’ Summit 2024’ 오프닝 스피치[출처=SK그룹]SK그룹(회장 최태원)에 따르면 2024년 11월7일 서울 광진구 워커힐 호텔에서 ‘이사회 2.0’을 주제로 ‘SK 디렉터스 서밋(Directors’ Summit) 2024’(이하 서밋)를 시행했다.SK그룹은 거버넌스 체계를 한층 고도화하기 위해 ‘이사회 2.0’ 도입했다. 각 관계사 이사회의 역할을 ‘경영진에 대한 관리, 감독’으로 강화하기 위한 목적이다.이번 서밋에는 최태원 SK그룹 회장, 최창원 SK수펙스추구협의회 의장 등 주요 경영진과 SK그룹 13개 관계사 사외이사 50여 명이 참석했다.2022년부터 시작해 2024년 3회째를 맞은 ‘서밋’은 경영전략회의, 이천포럼, CEO 세미나와 더불어 SK 그룹의 주요 전략 회의 중 하나다.이번 ‘서밋’에서 SK그룹 주요 경영진과 사외이사들은 거버넌스 체계 고도화를 위한 ‘이사회 2.0’을 메인 주제로 논의를 진행했다. ‘이사회 2.0’은 경영 환경의 불확실성이 높아진 상황에서 효율적 대응을 위한 이사회의 진화, 발전 방향을 의미한다.즉 경영진은 ‘의사 결정’에 보다 집중하고 이사회는 ‘사전 전략 방향 수립’과 ‘사후 감독 기능 강화’ 등 ‘업무 감독’ 중심으로 이사회의 역할을 재정의하는 것이다.SK그룹은 ‘이사회 1.0’ 추진을 통해 수펙스추구협의회 소속 상장사 모두 사외이사가 이사회 의장을 맡는 등 이사회 중심 경영의 기반을 마련한 바 있다. 이에 더해 글로벌 스탠다드를 뛰어넘는 수준으로 이사회 중심 경영을 강화하겠다는 것이다.구체적으로 ‘이사회 2.0’ 추진을 통해 이사회는 △중장기
-
2024-08-05▲ 칠레 광산 기업 에나미(Enami)[출처=홈페이지]2024년 7월 4차 칠레 경제동향은 에나미(Enami) 리튬 프로젝트에 8개국 12개 기업이 관심을 표명했다.○ 칠레 광업부(Departmet of Mining)에 따르면 8개국 12개 기업이 칠레의 에나미(Enami) 리튬 프로젝트에 관심을 보였다고 밝혔다.관심 있는 회사에 대한 공고는 국립 광산 회사 에나미와 프로젝트 개발 및 운영을 위한 공공-민간 제휴를 형성하거나, National Lithium Strategy의 틀 내에서 핵심적인 이니셔티브에 대한 자금 제공을 목표로 한다.에나미는 광업부에 특별 리튬 운영 계약(CEOL)을 요청한 High Andean Salt Flats의 일부인 Aguilar, Grande 및 La Isla 소금 평원에 대한 기본 탐사 캠페인에 US$1050만 달러를 투자하고 있다.2024년 5월 에나미(Enami)는 아타카마 지역의 살라레스 알토안디노스(Salares Altoandinos) 리튬 프로젝트를 개발하는 데 관심이 있는 회사와 컨소시엄을 위한 프로세스를 공식적으로 시작했다.참가 기업에는 Axionit(러시아), Besalco(칠레), BTR Consortium(중국), BYD(중국), CNRG(중국), Eramet(프랑스), Errázuriz Group – IBC(칠레), LG Energy Solution(한국), Posco(한국), Rio Tinto(호주), Summit Nanotech – HATCH(캐나다), Tecpetrol(아르헨티나)가 포함된다. ▲ 김봉석 기자[출처=iNIS]
-
2024-08-05▲ 칠레 광산 기업 에나미(Enami)[출처=홈페이지]2024년 7월 4차 칠레 경제동향은 에나미(Enami) 리튬 프로젝트에 8개국 12개 기업이 관심을 표명했다.○ 칠레 광업부(Departmet of Mining)에 따르면 8개국 12개 기업이 칠레의 에나미(Enami) 리튬 프로젝트에 관심을 보였다고 밝혔다.관심 있는 회사에 대한 공고는 국립 광산 회사 에나미와 프로젝트 개발 및 운영을 위한 공공-민간 제휴를 형성하거나, National Lithium Strategy의 틀 내에서 핵심적인 이니셔티브에 대한 자금 제공을 목표로 한다.에나미는 광업부에 특별 리튬 운영 계약(CEOL)을 요청한 High Andean Salt Flats의 일부인 Aguilar, Grande 및 La Isla 소금 평원에 대한 기본 탐사 캠페인에 US$1050만 달러를 투자하고 있다.2024년 5월 에나미(Enami)는 아타카마 지역의 살라레스 알토안디노스(Salares Altoandinos) 리튬 프로젝트를 개발하는 데 관심이 있는 회사와 컨소시엄을 위한 프로세스를 공식적으로 시작했다.참가 기업에는 Axionit(러시아), Besalco(칠레), BTR Consortium(중국), BYD(중국), CNRG(중국), Eramet(프랑스), Errázuriz Group – IBC(칠레), LG Energy Solution(한국), Posco(한국), Rio Tinto(호주), Summit Nanotech – HATCH(캐나다), Tecpetrol(아르헨티나)가 포함된다. ▲ 김봉석 기자[출처=iNIS]
-
▲ 일본 반도체 및 전자재료회사인 레조낙(Resonac) 빌딩 [출처=홈페이지]일본 반도체 및 전자재료회사인 레조낙(Resonac)에 따르면 오픈 이노베이션을 통한 '공창형 화학회사'를 목표로 하고 있다.공창은 고객 뿐 아니라 원재료 제조업체, 장비 제조업체 등과 합께 공동으로 창조를 진행한다는 의미다. 레조작이라는 회사 명칭 자체가 공명한다(Resonate)와 화학(chemistry)의 조합한 용어다.레조낙은 2023년 기준 1조2889억 엔의 매출액을 기록했다. 매출액 중 26%는 반도체 및 전자재료에서 나왔을 정도로 중요한 사업이다.특히 반도체를 제조하는 초기 단계에 필요한 특수 가스, 표면을 매끄럽게 하는 재료, 반도체를 굳히는 수지, 반도체 각층의 접착제 기판 재료, 외층의 보호재료 등을 제조 및 판매한다.일본 반도체 업계는 한국과 대만에 의해 협공을 당해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다. 하지만 약 1조 달러에 달하는 반도체 시장에서 점유율을 높이기 위해 증산 능력을 확보하고 연구개발 능력을 강화하고 있다.일본 정부도 반도체 관련 업체의 협력과 연계를 강화하기 위해 'Manufacturing Japan Summit 2024'를 개최했다. 업계와 업종을 넘어 광범위한 협력을 이끌어 내기 위함이다.참고로 레조낙은 2023년 히타치화성과 쇼와전공이 합병해 탄생했다. 히타치화성은 반도체 재료의 복합화와 평가기술에 강점을 갖고 있었다. 반면에 쇼와전공은 특수수지 등 화학제품의 경쟁력이 우수했다.
-
2020-11-06미국 비영리 의료교육기관인 얼티미트메디컬아카데미(Ultimate Medical Academy)에 따르면 기업 파트너를 대상으로 가상현실 서밋(summit)을 진행했다.참가자들은 완전히 몰입할 수 있는 가상현실(VR) 헤드셋을 이용했다. 헤드셋을 착용하면 원형극장에 들어가고 힐스버러 강(Hillsborough River)을 바라볼 수 있다.또한 탬파대(University of Tampa)의 플랜트 홀(Plant Hall)을 보고 탬파 미술관(Tampa Museum of Art)과 같은 시내를 볼 수 있다. 특히 가상현실에서 360도 프리젠터를 배치할 수 있다.이를 통해 의료공감 교육 모듈로 가상현실을 사용하여 기술자와의 상호작용을 시뮬레이션했다. 얼티미트메디컬아카데미는 3개월전부터 가상현실 버전을 개발해 파트너에게 초점을 맞출 수 있는 가상현실을 제공한다.코로나-19로 인한 팬데믹 상황이 지속되고 있기 때문에 향후 가상현실을 이용한 교육이나 회의가 더욱 활성화 될 것으로 전망된다.▲ USA-UMA-VR▲ 얼티미트메디컬아카데미(Ultimate Medical Academy)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2020-10-28미국 다국적 이벤트 가상 플랫폼운영기업인 액셀벤츠(Accelevents)에 따르면아프리카핀테크정상회의인아프리카핀테크서밋(AFTS)을 온라인으로 개최할 계획이다. 미국 국부무와 아프리카 국가간의 협력으로 개최되는 제 5회 아프리카핀테크서밋(AFTS)은 2020년 11월 9일~12일까지 가상으로 이루어질 예정이다. 2020년 올해는 중국발 코로나-19 위기로 디지털 무역 및 금융의 전례없는 필요성을 초래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제5회아프리카핀테크서밋(AFTS)에서 핀테크 기술을 통한 경제 회복을 주요 주제로 다룰 계획이다. 올해는 6개 대륙 10개의 다른 시간대에서 1000명 이상의 참석자들과 60명 이상의 연사들이 참석할 예정이다. 참고로 아프리카 대륙은 금융 인프라가 부족해 핀테크산업의 성장 가능성이 높은 편이다.▲아프리카핀테크서밋(AFTS) 홍보 이미지(출처 : 홈페이지)
-
2020-07-06중국 정부에 따르면 2020년 7월10일부터 7월11일까지 2020년 글로벌 산업정보회의(2020 Global Industrial Intelligence Summit)를 개최할 계획이다.회의는 2020년 세계 인공지능 회의(World Artificial Intelligence Conference)의 일부이다. 개회식과 3개의 테마 포럼을 포함한 모든 활동은 온라인으로 진행될 방침이다.사물인터넷(IoT)을 중심으로 80명 이상의 주요 인물이 산업 정보에 대한 견해와 경험을 공유할 예정이다. 금융 분야의 당국과 투자 기관은 금융 서비스 및 산업 사물 인터넷의 협력을 촉진하기 위해 정상회담에 참여한다.특히 상하이 증권 거래소(Shanghai Securities Exchange)와 상하이 푸동 개발 은행(Shanghai Pudong Development Bank)도 참여할 계획이다.또한 개막식에서 세계 최초의 산업정보 상(world’s first award for industrial intelligence)인 잔루 상(Zhanlu Award)이 수여될 예정이다. 잔루(Zhanlu)는 중국 역사에서 유명한 칼의 이름으로 뛰어난 기술과 높은 품질을 상징한다.▲ China-WAIC-AI-2020▲ 2020년 세계 인공지능회의(World Artificial Intelligence Conference)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2019-12-11미국 칩 제조업체인 퀄컴(Qualcomm)에 따르면 연례 기술 서밋(annual tech summit)에서 새로운 5G 모바일 플랫폼과 스냅드래곤 XR2 플랫폼을 발표했다.스냅드래곤 XR2 플랫폼은 세계 최초의 5G-지원 확장 현실(XR) 플랫폼이다. 퀄컴은 참가자에게 플래그십 스냅드래곤(Snapdragon) 865와 중간급 스냅드래곤 765/765G라는 두 가지 새로운 5G 스냅드래곤 모바일 플랫폼을 소개했다.스냅드래곤 865 모바일 플랫폼은 차세대 장치에 탁월한 연결성과 성능을 제공하도록 설계된 글로벌 5G 플랫폼이다. 스냅드래곤 865 기반 장치는 2020년 1분기에 상용화될 것으로 예상된다.스냅드래곤 765/765G는 통합 5G 연결성, 인공지능(AI) 처리 및 일부 퀄컴 스냅드래곤 엘리트 게이밍 경험을 제공한다. 스냅드래곤 XR2 플랫폼은 CPU 및 GPU 성능, 비디오 대역폭, 고해상도 및 AI 개선 측면에서 성능이 크게 향상됐다.또한 이번 기술 서밋에서 퀄컴은 광범위한 퀄컮 스냅드래곤 컴퓨터 플랫폼 포트폴리오를 통해 보안을 강화할 수있는 새로운 3D 음향 지문 기술도 발표했다.5G는 연결, 컴퓨팅 및 의사소통 할 수 있는 새롭고 흥미로운 기회를 열어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세계 각국 정부는 신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5G통신망 보급을 서두르고 있다.▲ USA-Qualcomm-5G ▲ 퀄컴(Qualcomm)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