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12
" 분기"으로 검색하여,
1,120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11-17▲ 한국씨티은행 본점 전경 [출처=한국씨티은행]한국씨티은행(은행장 유명순)에 따르면 2025년도 3분기 총수익은 2466억 원, 당기순이익은 654억 원을 각각 기록했다.2025년 1~3분기 누적 총수익은 8060억 원, 누적 당기순이익은 2486억 원을 각각 시현했다. 전년도 3분기 누적 대비 총수익은 11퍼센트(%), 당기순이익은 7% 감소했다.2025년 9월 말 현재 BIS 자기자본비율 및 보통주자본비율은 34.40%와 33.52%이며 전년 동기의 34.22% 및 33.20%와 비교해 각각 0.18퍼센트포인트(%p)와 0.32%p 상승했다.3분기 누적 총수익은 8060억 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11% 하락했다. 외환/파생상품/유가증권 관련 수익 등 기업금융 중심의 비이자수익은 전년 동기 대비 37% 증가했다.동기간 소비자금융의 지속적인 자산 감소 및 시장금리 하락에 따른 순이자마진의 감소 영향으로 이자수익이 전년 동기 대비 36% 감소한 것이 주요인이다.3분기 누적 비용은 민생금융지원을 비롯한 2024년도 일회성 영업외비용 영향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4% 감소한 4475억 원을 기록했다.대손비용은 359억 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61% 감소했으며 중견기업 부문의 충당금적립액 감소 및 소비자금융의 자산 감소에 따른 대손비용 감소가 주요인이다.2025년 9월 말 현재 총대출금은 11.7조 원으로 소비자금융 부문의 단계적 폐지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4% 감소했다. 예수금은 20.6조 원으로 기업금융 부문의 예수금 증가에 기인해 전년동기 대비 13% 증가했다.2025년도 3분기 누적 총자산순이익률과 자기자본순이익률은 각각 0.66% 및 6%를 기록했으며 전년 동기 대비 각각 0.19%p와 0.03%p 감소했다.유명순 은행장은 “금리 하락에 따른 이자수익 감소와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로 인한 시장심리 위축에도 불구하고 당행은 안정적인 리스크 관리, 수익 구조 다변화, 그리고 미래 성장 기반 강화에 집중하고 있다. 앞으로도 국제금융 분야의 차별화된 경쟁력
-
▲ 한화생명 63빌딩 [출처=한화생명]한화생명(대표이사 권혁웅 부회장, 이경근 사장)에 따르면 2025년 11월14일(금) 컨퍼런스콜(실적발표회)을 통해 발표한 2025년 3분기 연결 당기순이익은 3074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14.9퍼센트(%) 증가했다.3분기에는 보장성 중심의 신계약 확대와 상품 수익성 개선 노력을 통해 신계약 CSM 성장을 이어가며 중장기적인 수익 기반을 강화했다.특히 한화생명금융서비스 등 GA자회사와 국내 주요 종속법인(손해보험, 자산운용, 증권 등) 호실적, 신규 편입된 주요 해외 자회사(인니 노부은행, 미국 벨로시티 증권 등)를 통한 사업영역 확장 효과 등으로 2025년 누적 연결 당기순이익(2025.1Q~3Q)은 7689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8% 증가했다.◇ 자회사 실적 견인으로 3분기 연결 순이익 ‘훈풍’국내외 주요 자회사의 지속적인 성장세에 따라 2025년 3분기 연결 당기순이익은 3074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14.9% 증가했다.특히 기 진출한 동남아 시장(베트남, 인도네시아 등)에서의 안정적인 이익 창출력 및 2025년 신규 편입된 인도네시아 노부은행 및 미국 벨로시티 증권을 통한 사업영역 확장 효과로 해외법인을 통한 연결 순이익 491억 원을 확보했다.별도 기준 3분기 순이익은 1361억 원을 달성했다. 업계 공통적으로 건강보험 판매 및 의료 이용률이 증가하면서 발생한 보험금 예실차 등으로 인해 보험손익이 감소했지만 금리부자산 확대에 따른 이자수익 확대 및 전략적 자산운용으로 투자손익이 전년 대비 23.8% 상승했다.◇ 3분기 신계약 CSM 5643억 원… 연 2조원 이상 달성 전망3분기 신계약 APE(연납화보험료)는 약 1조60억 원을 기록했다. 그 중 보장성 APE는 전년 동기 대비 13% 증가한 8790억 원으로 보장성 중심의 성장세를 이어갔다.3분기 신계약 CSM은 전년 동기 대비 4.1% 증가한 5643억 원을 달성했다. 건강보험 상품 확대와
-
▲ 세아그룹 본사 전경 [출처=세아그룹]세아제강지주(대표이사 이주성, 조영빈)에 따르면 2025년 3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은 9231억으로 전년 동기 대비 7.3퍼센트(%) 증가했다. 동기간 영업이익은 398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5.2%확대됐다. 글로벌 철강 시황 악화 및 글로벌 보호무역주의 강화 속에서도 미국 현지 법인(SSA, SSUSA)의 오일&가스向 에너지용 강관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했다.해외 법인(이녹스텍, SSUAE)의 중동 지역 프로젝트 공급 물량 확대 및 미국, 베트남, 중동 생산 법인의 안정적 글로벌 유통·공급망 전략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견조한 실적을 기록했다.반면 국내 건설 경기 침체 장기화 및 대미 수출 관세 인상에 따른 수출 부진으로 국내 부문의 수익성이 하락했다.세아제강의 별도 기준 실적은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17.9%↓)이 감소, 영업이익은 적자 전환했다.계절적 비수기 및 건설 등 전방산업 침체 장기화에 따른 수요 위축과 원재료 가격 상승, 미국 철강 관세 부담 가중으로 인한 수출 제품 수익성 감소 영향으로 영업 이익이 적자 전환됐다.4분기 전통적 오일&가스 시장의 계절적 성수기 진입, 제품 차별화 노력 및 친환경 에너지(LNG, 해상풍력, CCUS, 수소 등) 向 고부가가치 강관 판매 확대 추진을 통해 실적 개선이 기대된다.글로벌 보호무역주의 확산 및 대미 수출 관세 강화에 대응해 미국 현지 법인의 생산·판매 비중을 확대하고 미국 오일&가스 시장 내 가격 경쟁력과 안정적 수익 기반을 확보할 계획이다.국제 유가 하락 압력에 따른 오일&가스 向 에너지용 강관 시장 수요 위축 가능성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글로벌 철강 경기 둔화 속에서 중동 등 프로젝트 중심의 고부가가치 제품 공급 전략 강화를 통한 수출 경쟁력을 확대할 계획이다.해상풍력·CCUS·수소 등 성장 잠재력
-
▲ 탄자니아 LPG 기업인 타이파 가스 탄자니아 LTD(Taifa Gas Tanzania LTD)의 다르에스살람(Dar es Salaam) LPG 저장 시설의 모습. [출처=타이파 가스 탄자니아 홈페이지] 2025년 11월17일 아프리카 경제동향은 아프리카와 케냐의 금융, 석유, 통계를 포함한다. 아프리카 시장조사기업인 스티어스(Stears)에 따르면 2025년 3분기 아프리카에서 민간자본 유치율이 가장 높았던 산업군은 정보기술(IT)로 21%를 기록했다. 탄자니아 다국적 복합기업인 타이파 그룹(Taifa Group Ltd)에 따르면 2025년 11월 케냐의 USD 1억3000만달러 규모 액화석유가스(LPG) 공장 프로젝트를 위한 법적 승인을 받았다. ◇ 스티어스, 2025년 3분기 아프리카에서 민간자본 유치율이 가장 높은 산업군 정보기술(IT)로 21%아프리카 시장조사기업인 스티어스(Stears)에 따르면 2025년 3분기 아프리카에서 민간자본 유치율이 가장 높은 산업군은 정보기술(IT)로 21%를 기록했다.IT 부문 내에서는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7% △소비자 디지털 서비스 6%가 투자가 가장 활발한 분야로 전체 IT 투자 거래의 2/3를 차지했다.처음으로 IT가민간자본 유치가 가장 높은 것으로 그동안 소비재 및 서비스 부문의 투자율이 가장 높았던 것과 대조된다.IT 다음으로는 △2위 금융 서비스 20% △3위 에너지 및 유틸리티 13%로 조사됐다. 소비재 및 서비스 부문은 5위를 기록했다.아프리카 지역별 민간자본 유치 규모와 허브 국가의 투자 유치 비중은 △1위 남아프리카 (남아프리카공화국 87%) △2위 서아프리카 (나이지리아 70%) △3위 동아프리카 (케냐 65%) △4위 남아프리카 △5위 중앙아프리카 순으로 높았다. ◇ 케냐 중앙은행, 20
-
2025-11-14▲ 한국전력 본사 전경 [출처=한국전력]한국전력(사장 김동철, 이하 한전)에 따르면 2025년 3분기 결산 결과 연결 기준 매출액은 73조7465억 원, 영업비용 62조2051억 원, 영업이익은 11조5414억 원을 각각 기록했다.또한 별도 기준 매출액은 72조4684억 원, 영업비용 66조9324억 원, 영업이익 5조 5360억 원을 기록했다. 이는 연료 가격 안정과 요금 조정, 자구노력 등의 영향이다.2023년 3분기 기점으로 9개 분기 연속 연결 기준 영업이익 흑자를 기록했으나 여전히 누적적자는 연결 기준 23.1조 원, 별도 기준 39.1조 원에 달한다.전년 동기 대비 주요 증감 요인을 살펴보면 전기 판매 수익 판매량이 0.4퍼센트(%) 증가했다. 판매단가는 전년 동기 대비 5.5% 상승해 전기 판매 수익이 3조9037억 원 증가했다.연료비·구입 전력비, 자회사 연료비는 2조8151억 원 감소했고, 민간 발전사 구입 전력비는 2130억 원 감소했다. 연료비 원전 이용률 상승(81.7% → 86.5%)으로 인한 원전 발전량 증가에 따라 자회사의 석탄·LNG 발전량은 감소했다.이와 더불어 연료 가격 하락으로 자회사 연료비는 큰 폭으로 감소했다. 구입 전력비 민간 구입량 증가에도 SMP 하락 등으로 구입 전력비는 감소했다.기타 영업비용은 발전 및 송배전 설비 자산 증가에 따른 감가상각비 증가 등으로 1조3091억 원 증가했다.한전과 전력 그룹사는 국민께 약속드린 자구노력과 재정 건전화 계획을 충실하게 이행해 3분기까지 누적 3.5조 원의 재무 개선 노력으로 영업실적 개선에 기여했다.한전은 고객 참여 부하차단 제도, 계통 안정화 ESS 도입 등 합리적인 전력시장 제도 개편뿐만 아니라 전력 설비 점검 기준 효율화, 긴축예산 운영, 전력공급 외의 투자사업 시기 조정 등을 통해 1.6조 원을 절감했다.전력 그룹사는 예산·사업 심의 강화 및 출자회사 재무개선 추진 등을 통해 1.9조 원을 절감했다.한편
-
2025-11-14▲ HMM 선박 [출처=HMM]HMM(대표이사 최원혁)에 따르면 2025년 3분기 매출액은 2조7064억 원, 영업이익은 2968억 원, 당기순이익은 3038억 원을 각각 기록했다.3분기 영업이익률은 11퍼센트(%)로 글로벌 선사 중 상위권을 기록했다. 글로벌 정세 혼란, 공급과잉 등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상황에서도 2025년 1~3분기 누적 영업이익은 1조1439억 원으로 1조 원을 돌파했다.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는 2025년 3분기 평균 1481포인트(p)로 전년 동기 3082p 대비 52% 하락했다. 2024년 3분기는 미국 보호관세 우려로 선행 물동량이 증가했다.반면 2025년 3분기는 미국 보호관세 본격화로 물동량이 급감한 여파다. 특히 미주 노선 해상운임은 서안과 동안 각각 69%, 63% 급감했다.4분기는 전통적인 연말 비수기 진입으로 전반적 시황 약세가 예상된다. 또한 미국의 관세 정책 변화에 따른 불안정한 상황이 지속될 전망이다.항로별 기항지와 투입 선박 조정으로 운항 효율을 최적화하고 냉동 화물, 대형 화물 등 고수익 특수 화물을 적극적으로 유치하며 신규 영업 구간 개발 등을 통해 수익성을 개선할 방침이다.
-
2025년 11월13일 북중남미 경제동향은 미국, 캐나다, 브라질을 포함한다. 미국 자동차 제조업체는 숙련된 기게직 근로자를 확보하지 못해 경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캐나다는 신규 일자라가 증가하며 실업률이 하락했지만 대부분의 일자리가 파트타임으로 드러났다. 도매와 소매와 같은 유통업은 일자리가 늘어난 반면에 건설업은 줄어들었다.브라질 국영은행은 영업이익이 감소하고 90일 이상 연체된 대출액이 증가하고 있다. 미국과 관세전쟁으로 경제가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브라질 국영 대형 은행인 반코 두 브라질(Banco do Brasil SA) 빌딩 [출처=위키피디아]◇ 미국 포드(Ford), 5000개의 기계직 일자리 오픈미국 자동차 제조업체인 포드(Ford)는 5000개의 기계직 일자리를 오픈한다고 밝혔다. 일반 미국 근로자의 중간 급여인 US$ 12만 달러를 제시했지만 확보하지 못했기 때문이다.비단 포드만의 문제가 아니며 많은 제조업체가 높은 급여를 제시했지만 숙련된 육체 노동자를 충분하게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의 다시 위대하게 만들기 위해 제조업체를 부흥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공장에서 필요한 노동자의 숫자와 공장에서 일하고자 하는 근로자의 숫자 사이에 큰 차이가 있다.응급 서비스, 트럭 운전수, 공장 근로자, 배관공, 전기 기술자, 유통 전문가 등 다수 영역에서 100만 명 이상의 근로자가 부족한 실정이다.◇ 캐나다 통계청(Statistics Canada), 2025년 10월 신규 일자리 6만7000개 창출캐나다 통계청(Statistics Canada)은 2025년 10월 신규 일자리가 6만7000개 만들어졌다고 밝혔다. 10월 기준 실업률은 6.9%로 하락했다.하지만 10월 창출된 일자리 대부분은 파트타임인 것으로 드러났다. 일자리가 늘어난 산업은 도매와 소매 거래로 4만1000가가 생겼다.다른 산업은 교통과 창고업, 정보통신, 문화와 레크레이션, 유틸리티 등이 대표적이다. 반면에 가장 많은 일자리가
-
2025-11-12▲ SK네트웍스 삼일빌딩 전경 [출처=SK네트웍스]SK네트웍스(대표이사 이호정)에 따르면 2025년 3분기 연결 기준 잠정 매출액은 1조9726억 원, 영업이익 223억 원, 세전이익 245억 원을 각각 기록했다.자회사 SK인텔릭스의 신제품 출시 비용 반영으로 전년 동기 대비 영업이익이 22퍼센트(%) 감소했다. 차입금 및 이자 비용 감소 등에 따라 세전이익은 149% 증가했다. 당기순이익 감소는 전년 3분기 SK렌터카 매각 차익 반영에 따른 기저효과로 인한 것이다.SK네트웍스는 3분기 보유 사업 전반에 걸쳐 안정적인 성과를 거뒀다. 정보통신 사업은 네트워크 관리 강화 및 단말기 판매 증가 효과가 나타났다. 워커힐은 호텔 객실과 식음료 매장, 대외 사업 고객 증가에 따라 매출이 한층 증가했다.SK스피드메이트의 경우 정비·부품·ERS 사업의 고른 성장으로 수익성이 개선됐다. 엔코아 또한 솔루션·교육 사업 중심의 매출 확대와 경영 효율화를 통해 흑자전환에 성공했다.실리콘밸리 기반 인공지능(AI) 스타트업 피닉스랩(PhnyX Lab)은 2025년 8월 SK네트웍스의 전략적 투자와 글로벌 AI 리더들의 참여 속에 US$ 400만 달러 규모의 자금을 유치했다.SK인텔릭스는 렌탈시장의 경쟁 심화 속에서 ‘원코크 플러스 얼음물 정수기’가 꾸준한 인기를 끌었다. 10월 ‘초소형 라이트 직수 정수기’ 판매에 나서는 등 지속적인 고객 마케팅을 실시했다.아울러 ‘AI 웰니스 플랫폼’ 기업으로 도약하겠다는 전략 방향성을 앞세워 브랜드 체계를 재정비했다. 이 과정에서 새롭게 개발한 세계 최초 웰니스 로보틱스 브랜드 나무엑스(NAMUHX) 제품 마케팅 비용 등이 발생해 이익 측면에서는 전년에 미치지 못한 실적을 기록했다.SK네트웍스는 2025년 4분기 및 향후 사업별 본원적 경쟁력을 강화하는 동시에 AI 기반 사업 모델 혁신 속도를 높여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제고할 계
-
2025년 11월11일 북중남미 경제동향은 미국, 캐나다, 브라질을 포함한다. 미국 인공지능(AI) 클라우드 공급업체의 실적이 데이터센터 공급 붐을 기반으로 호전되고 있다.캐나다 광산업체는 국제 금가격의 상승과 생산량의 증가로 2025년 3분기 매출액과 이익이 급증햇다. 구리 시장의 가격은 큰 변화가 없는 실정이다.브라질 정부는 연금 생활자들이 최저 임금보다 높은 연금을 받을 수 있도록 인상률을 결정할 방침이다. 인상률은 2025년 인플레이션을 고려해 결정한다.▲ 미국 인공지능(AI) 클라우드 공급업체인 코어위브(CoreWeave)가 운영 중인 데이터센터 이미지 [출처=홈페이지]◇ 미국 코어위브(CoreWeave), 2025년 3분기 매출액은 US$ 13억6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5억8390만 달러 대비 134% 증가미국 인공지능(AI) 클라우드 공급업체인 코어위브(CoreWeave)는 2025년 3분기 매출액은 US$ 13억6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5억8390만 달러 대비 134% 증가했다고 밝혔다.3분기 순손실액은 1억1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3억6000만 달러 대비 대폭 줄어들었다. AI 관련 사업이 붐을 일으키면서 사업실적이 대폭 개선되고 있다.코어위브는 엔비디아(Nvidia)의 그래픽처리장치(GPU)를 임대하고 구글을 포함해 클라우드 인프라 공급자로부터 사업을 위탁받았다.3분기 동안 오프AI(OpenAI)와 65억 달러, 메타와 142억 달러 규모의 6개 프로젝트 등을 체결했다. 2025년 전체 매출액은 50억500만 달러에서 51억5000만 달러 사이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캐나다 바릭 마이닝(Barrick Mining Corp.), 2025년 3분기 매출액 US$ 41억5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33억7000만 달러 대비 대폭 상승캐나다 글로벌 광산업체인 바릭 마이닝(Barrick Mining Corp.)에 따르면 2025년 3분기 매출액은 US$ 41억5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33억7000만 달러 대비 대폭 상
-
2025-11-10▲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 의왕연구소 전경 [출처=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대표이사 김연섭)에 따르면 2025년 3분기 연결기준 잠정 매출액는 1437억 원, 영업 적자는 343억 원을 각각 기록했다.미국 전기차 보조금 정책 폐지 등의 영향으로 북미 전기차 시장이 급격히 둔화되며 주요 고객사의 전기차향 판매량이 감소됐다. 이로 가동률 회복이 지연되며 전분기 대비 매출액이 감소했다.4분기 이후에는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의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투자 증가에 따라 관련 회로박 제품의 수요가 큰 폭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또한 전지박은 국내 배터리 고객사들의 ESS(에너지저장장치) 사업 확대로 북미 지역에서의 성장세가 뚜렷할 것으로 전망했다.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는 국내 유일 회로박 제조기지인 전라북도 소재 익산공장의 역량 강화로 글로벌 빅테크 기업의 탈중국 소재 수요 충족과 고객사의 제품 공급 안정성에 기여한다는 방침이다.북미 지역 중심으로 ESS 용도별 차별점에 기술 맞춤형 제품으로 기존 고객사와의 협업을 강화하고 신규 고객을 적극 발굴해 전지박 시장의 수익성 확보에도 집중한다.특히 AI용 고부가 회로박은 글로벌 AI 데이터센터 시장 성장에 따라 관련 소재, 부품, 장비 등의 산업도 큰 폭의 성장이 예상되고 있다.이에 따라 국내/해외 다수의 고객사는 당사에 AI용 회로박 증설을 요청하고 있으며 2026년도 고객사의 주문량은 당사의 현재 생산 CAPA를 초과한 상황이다.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는 국내 유일 회로박 공장인 익산공장의 전지박 라인을 AI용 회로박 라인으로 전환해 AI용 회로박 CAPA를 2026년에는 기존 대비 1.7배, 2028년에는 5.7배까지 확대해 고객사의 수요를 선점할 계획이다.익산공장은 AI 데이터센터의 초고속 데이터 처리를 위해 동박의 신호 전송 손실이 낮은 물성을 충족하는 회로박을 생산하고 있다.또한 국내 배터리 고객사들의 북미 ESS 시장 확대에 따라 극박과 후박 ESS 용도의 동박 기술적 차별점을 토대로 기존 고객사와의
1
2
3
4
5
6
7
8
9
10
1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