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실증사업"으로 검색하여,
8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9-30▲ 기아가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Riyadh)에서 사우디 기가 프로젝트(Giga Project) 중 하나이자 프로그램 추진 주체인 RSG(Red Sea Global)와 PV5 실증 사업을 시작한다 [출처=기아]기아(대표이사 사장 송호성, 최준영)에 따르면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Riyadh)에서 사우디 기가 프로젝트(Giga Project) 개발사 중 하나인 RSG(Red Sea Global)와 PV5 실증사업을 시작한다.이번 실증사업은 앞서 2024년 3월 현대차그룹이 RSG와 ‘친환경 미래 모빌리티 도입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한 데 따른 후속 조치다.사우디는 원유 중심의 경제구조를 탈피하고 장기적 성장 동력을 마련하기 위해 2016년 '사우디 비전 2030(Saudi Vision 2030)' 전략을 수립한 바 있다.RSG는 네옴(Neom, 미래형 신도시), 키디야(Qiddiya, 엔터테인먼트 복합단지), 로쉰(Roshn, 주택 개발), 디리야(Diriyah, 유적지 개발) 등 사우디가 공식 선언한 '사우디 비전 2030'의 기가 프로젝트 5개 중 하나로 홍해 및 서부 해안의 자연 친화적 럭셔리 리조트 및 웰빙 관광단지 조성을 목표하고 있다.기아는 실증사업을 위해 PV5 패신저 모델 공급 및 차량과 기술 교육을 지원해 RSG 사업지 내 친환경 모빌리티 보급 확대와 생태계 조성에 기여하고 RSG 관광 산업에 최적화된 맞춤형 모빌리티 솔루션을 제공할 예정이다.실증사업 지역은 사우디의 대표 관광지인 ‘더 레드 씨(The Red Sea)’와 서부 해안의 친환경 웰빙 관광단지인 ‘아말라(AMAALA)’로 리조트 단지 내부 및 홍해국제공항(RSI)과의 이동 서비스를 위해 다양한 현장 테스트를 진행한다.이를 기반으로 기아는 리조트 물류에 최적화된 PV5 화물형 모델 및 RSG의 고급 리조트 운영에 특화한 맞춤형 PV5 컨버전 모델 개발을 검토하며 2027년 출시할 대형 전동화 PBV 모델 PV7의
-
전자기기제조업체인 교세라(京セラ)는 2016년 8월 인프라를 정보통신기술(ICT)로 제어해 전력수급을 조정하는 수요응답(DR)의 실증사업을 개시한다고 발표했다.미쯔비시중공업그룹 등의 업체가 운영하는 가스발전기, 공조시설, 축전지, 공장 등을 교세라의 서버를 통해 자동 혹은 수동으로 제어해서 전력을 절감한다.절전하고 싶은 전력량과 실제 절전량을 일치시키는 제어방법을 확립해 전기 사용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실증사업에 참가하는 것은 ▲미쯔미시중공업엔진&터보차저(MHIET)의 본사공장 ▲미쯔비시히타치파워시스템즈(MHPS)의 요코하마공장 ▲간사이지방의 식품슈퍼 8개 점포다. 경제산업성의 실증사업에 채택된 것으로 기간은 2017년 1월까지다.MHIET의 공장은 발전기 7기를 네트워크로 접속해 교세라의 서버가 자동으로 다수의 발전기를 가동시켜 전력회사로부터 구입하는 전력을 줄인다.슈퍼는 공조의 강약조절과 축전지의 방전을 조절하는 자동제어시스템을 도입한다. MHPS는 담당자가 발전기의 운전을 조정한다.MHIET는 3000킬로와트 MHPS는 3500킬로와트의 조정을 예정하고 있다. 슈퍼는 1개 점포당 20킬로와트의 절전에 협력할 수 있다. 교세라의 서버가 각시설의 절전여력을 분석하며 도쿄전력에서 요청한 절전량을 각시설에 배정한다.발전기의 제어까지 자동화한 DR은 드물다. 교세라는 달성을 위한 절전량과 실제 절전량의 오차를 플러스 마이너스 10%로 줄여 정밀도를 높일 계획이다. 지역형 신전력에 대한 채용이나 작은 전원을 묶어 발전소처럼 사용하는 '가상발전소'를 목표로 한다.▲ 1▲교세라 홈페이지
-
전자기기제조업체인 교세라(京セラ)는 2016년 8월 인프라를 정보통신기술(ICT)로 제어해 전력수급을 조정하는 실증사업을 개시한다고 발표했다.미쓰비시중공업그룹 등과 함께 가스발전기, 공조시설, 축전지, 공장 등을 자동 혹은 수동으로 제어해서 전력을 절감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절전하고 싶은 전력량과 실제 절전량을 일치시키는 제어방법을 확립한다.
-
일본 전자기기업체 도시바(東芝)는 2016년 미즈호정보종합연구소 외 13개 업체와 환경부로부터 이산화탄소(CO2)를 분리 및 회수하는 ‘CCS' 실증사업에 채택됐다고 발표했다.해당 사업은 화력발전소에서 배출되는 CO2를 분리 및 회수하는 대규모 설비를 건설해 기술, 성능, 비용, 환경 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
일본 신에너지산업기술종합개발기구(NEDO)는 인도 제철소와 에너지 절약기술을 도입한 실증사업 2건 관련 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비용의 절감과 동시에 이산화탄소 배출을 감소시키는 것이 목적이다.인도철강공사(SAIL)는 벵갈주와 오디샤주의 제철소에서 실증 사업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벵갈지역은 후지전기가 에너지 절약시설을 설치하며 각 시설의 데이터를 통합 관리하는 '에너지 센터'를 도입해 에너지 수급을 파악하여 설비운전의 합리화를 도모할 계획이다.에너지소비량과 온실가스 배출량을 각각 연간 약 11%정도를 감소시켜 2년간 투자비용을 회수할 계획이다. 실증사업 종료 후에는 전국 17개소의 제철소에도 유사한 시설을 설치할 예정이다.오디샤주의 시설에는 추가이로(Chugai Ro)공업이 축열버너를 설치한다. 버너는 축열체를 내장한 2개 1세트로 총 24 대를 설치하며 2년간에 걸쳐 실증 실험할 예정이다.기술 도입으로 100만톤 생산시 중유 210만리터의 비용 절감을 예상하고 있다. 이산화탄소 배출은 연 6000톤의 절감이 가능하다고 밝혔다.정부는 인도가 2020년에 세계철강소비량 2위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경제 발전을 바탕으로 에너지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환경 문제에 대한 우려 등 에너지 절약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신에너지산업기술종합개발기구 로고
-
일본 신에너지산업기술종합개발기구(NEDO)는 인도 제철소와 에너지 절약기술을 도입한 실증사업 2건 관련 양해각서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비용의 절감과 동시에 이산화탄소 배출 감소가 목적이다.
-
2016-03-31일본 특허청은 2016년부터 특허출원절차 및 심사에 인공지능(AI)의 도입을 위해 실증사업을 시작한다. 해당사업의 예산안은 7000만엔으로 편성했다.연간 30만건의 특허 출원절차는 대부분 온라인상에서 이뤄지며 이 중 6000여건은 창구로 제출되고 있다. 심사관은 1700명으로 구성돼 있으나 ▲방대한 문서 ▲과거이력 선별 등으로 작업량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결국 AI의 실증사업을 통해 ‘심사에 필요한 문서수집’ 작업에 활용해 엄청난 양의 업무량을 대체하는 것이다. 또한 신흥국의 경제성장으로 ▲한국 ▲중국 등 영어권 이외의 출원이 증가하고 있어 정확한 번역능력도 추가돼야 한다.현재 특허권을 출원하기 위해 AI를 활용하는 국가는 미국과 오스트레일리아가 대표적이다. 특허청은 향후 심사에 효율성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국가기관에서도 정보를 공유할 계획이다.▲일본 특허청 로고
-
[일본] 특허청, 2016년 특허출원절차 및 심사에 인공지능(AI) 활용위한 실증사업에 7000만엔 투자...특허출원절차 연 30만건 중 6000건이 창구제출로 수집·번역 작업에 활용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