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산유국"으로 검색하여,
3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4년 10월7일 개최된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국정감사에서 한국석유공사는 동해 심해 가스전 개발에 관련된 이슈를 곤혹스러워했다. 의원들이 각종 의혹을 제기했기 때문이다. 석유 한 방울 나지 않는 척박한 땅에서 세계 10위 무역 대국으로 성장한 우리나라는 세계사에서 유례를 찾기 어려울 정도로 빠른 경제성장을 달성했다.태양광·풍력·조력·수력·지력 등 신재생 에너지원을 개발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중이지만 에너지 자립 국가로 부상하려면 아직 가야 할 길이 멀다.1859년 미국 펜실베이니아주에서 석유 채굴을 위해 유정을 굴착한 이후 인류는 에너지원을 석탄에서 석유로 전환하기 시작했다. 1908년 이란 마스제드 솔레이만에서 석유가 발견되며 중동은 강대국의 자원쟁탈 전장으로 전락했다.세계 2차 대전 이후 아랍에서 민족주의 바람이 불고 세계 각국이 석유자원 확보에 국운을 걸면서 석유는 전쟁의 불쏘시개로 부상했다.우리나라는 1·2차 오일 쇼크를 경험한 후 1979년 한국석유개발공사를 설립했다. 1999년 한국석유공사(KNOC)로 개칭한 이후 자원외교 실패로 영욕의 세월을 견디고 있다.▲ 한국석유공사의 경영혁신 관련 핵심 이슈 [출처=iNIS]◇ 무차별 해외 자원개발 투자로 자본 잠식... 에너지 안보에 총력을 기울여야 생존 가능해1978년 12월 시작된 2차 오일 쇼크는 중화학 중심의 산업화에 전력을 기울이던 우리나라 경제에 큰 타격을 입혔다. 정부는 자체적으로 해외에서 석유탐사·개발·생산·비축·유통에 관련된 사업을 영위할 필요성을 체감했다.‘에너지 안보와 탄소전환을 선도하는 글로벌 에너지 기업’이라는 비전을 정립한 석유공사의 경영이 실패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우선 한국전력공사·한국수력원자력·한국가스공사 등의 에너지 관련 공기업과 마찬가지로 내부에서 승진된 인사가 1명에
-
뉴질랜드 비즈니스혁신고용부(MBIA)에 따르면 글로벌 유가가 불안정해 국내 휘발유 가격의 인상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국내에 필요한 원유의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이다.특히 국내 휘발유 가격은 6개월 이내에 1리터당 NZ$ 3달러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 세계적으로 직면한 유가 불안정을 감안할 경우 최소 6개월~최대 12개월 까지 국내 휘발유 가격은 안정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2018년 5월 말 현재 국내 휘발유 가격은 1리터당 2.10달러를 상회한 상태이다. 이란에 대한 미국의 경제제재조치도 글로벌 유가 상승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현재 이란은 글로벌 원유생산량의 4%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영향을 제한적일 수 있다. 최대 산유국인 사우디아라비아 정부는 필요하다면 언제든지 이란의 석유생산량 감소분을 추가로 생산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는 상황이다. ▲비즈니스혁신고용부(MBIA) 로고
-
2016-12-14필리핀 에너지부에 따르면 국내 정유회사들이 12월 12일 월요일에 디젤가격을 리터당 1.40페소 인상한 것으로 드러났다. 국내 정유사는 셀, 칼텍스, 피닉스, PTT, 플라잉V 등이다.11월 29일 기준 마닐라 지역의 디젤가격은 리터당 26.15페소에서 30.85페소에 판매되고 있다. 가솔린은 리터당 34.60페소에서 45.60페소이지만 대체적으로 43.68페소를 기록하고 있다.이번주에 정유회사들이 디젤가격을 인상한 것은 12월 10일 비산유국들이 감산하기로 합의했기 때문이다. OPEC과 비산유국이 합의한 결과를 보면 글로벌 원유생산량은 약 2%정도 축소될 것으로 전망된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