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
"CKD"으로 검색하여,
20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종근당 본사 전경 [출처=종근당]종근당(대표 김영주)에 따르면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자체 개발한 항체-약물 접합체(ADC, Antibody-Drug Conjugate) 기반 항암 신약 ‘CKD-703’의 임상 1/2a상 시험을 승인받았다.이번 임상 승인으로 종근당은 미국 내 비소세포폐암 및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단계적 용량 증량을 통해 CKD-703의 안전성과 최대 내약 용량을 확인하고 개념입증(POC, Proof of Concept)을 통해 최적 용량을 도출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약동학, 면역원성, 초기 유효성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예정이다.CKD-703은 종근당이 독자적으로 개발한 간세포성장인자 수용체(c-Met) 타겟의 단일클론항체에 차세대 ADC 플랫폼 기술을 접목해 개발 중인 약물이다. 암세포만을 선택적으로 사멸시키는 혁신적인 항암 신약 후보물질이다.이 약물은 c-Met의 하위 신호를 억제함과 동시에 암세포 내부로 세포독성 약물을 선택적으로 전달해 세포 사멸을 유도한다. 혈중에서 약물이 무분별하게 분리되는 현상을 억제해 안전성을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국내에서 진행한 비임상 연구에서 우수한 세포사멸 유도 효과를 확인했으며 현재 다양한 고형암을 대상으로 적응증 확대를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종근당 관계자는 “CKD-703은 종근당의 독자적 기술과 글로벌 ADC 플랫폼 기술의 융합을 통해 개발된 종근당 최초의 ADC 항암 신약이다”며 “이번 임상 1/2a상의 FDA 승인을 시작으로 국내를 비롯해 아시아와 유럽 등 임상 참여 국가를 확대하고 글로벌 연구 역량을 집중하여 Best-in-Class 항암제로 개발해 나갈 것이다”고 밝혔다.
-
▲ 종근당, 美 보스턴에서 ‘2025 CKD Pharm Golden Ticket’ 개최 [출처=종근당]종근당(대표 김영주)에 따르면 2025년 6월16일(월) 미국 보스턴 Seaport Science Center에서 보스턴 바이오클러스터의 핵심 기관인 랩센트럴(LabCentral)과 함께 ‘2025 CKD Pharm Golden Ticket’을 개최했다.이번 행사는 랩센트럴이 주관하는 ‘Luminescence Rise and Fun(d)’의 프로그램 중 하나로 종근당 김영주 사장과 CKD USA 김호원 법인장, 보스턴 총영사관 김재휘 총영사, 한국보건산업진흥원 김용우 단장 및 박순만 미국지사장, 한국제약바이오협회 노연홍 회장 등이 참석했다. 매해 열리는 Golden Ticket 행사 중 역대 최대 규모인 43개 기업이 참가했다.종근당은 사전 심사에서 선정된 바이오 스타트업 InnDura Therapeutics에 Golden Ticket을 수여하고 랩센트럴 입주 및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을 지원하게 된다. 심사에는 하버드대 박진모 교수와 김영범 교수, 데브라 피티(Debra Peattie) 박사 등이 참여했다.‘Golden Ticket’은 유망한 스타트업이 랩센트럴에 입주해 1년 간 첨단 연구 공간과 커뮤니티를 무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스폰서십 프로그램이다.기술력은 있지만 자금이 부족한 초기 스타트업을 지원해 실질적인 성장 기회를 제공하고 유망한 혁신 신약 후보물질을 발굴하기 위해 마련됐다.종근당은 2024년 보스턴에 설립한 미국법인 CKD USA를 통해 랩센트럴이 운영하는 프리미엄 스폰서십 등급인 골드 멤버십(Gold Membership)에 가입했다. 2025년부터 골드 레벨 후원을 시작해 Golden Ticket을 수여하게 됐다.이를 통해 스타트업의 유망 기술과 파이프라인을 초기 단계에서 선제적으로 파악하고 보스턴 바이오 클러스터에서 입지를 확대할 계획이다.오픈 이노베이션 전략과 연구개
-
2025-04-29▲ 인도 TVS모터(TVS Motor)의 스마트 전기스쿠터 iQube 모델의 이미지[출처=TVS모터 홈페이지]2025년 4월29일 서남아시아 경제는 인도와 파키스탄을 포함한다. 인도 TVS모터에 따르면 회계연도 2025년 4분기 운영수익은 전년 동기 Rs 816억9000만 루피에서 17% 늘어난 955억 루피였다.파키스탄 인더스 모터는 소비자 수요 회복 및 코롤라 크로스와 토요타 야리스 등의 주요 모델에서의 지속적인 판매가 매출액 증가에 기여했다고 밝혔다.◇ 인도 TVS모터(TVS Motor), 회계연도 2025년 4분기 순이익 Rs 85억2120만 루피로 전년 동기 대비 76% 증가인도 이륜차 및 삼륜차 제조업체 TVS모터(TVS Motor)는 2025년 3월31일에 마감된 분기 순이익에 대해 Rs 85억2120만 루피로 전년 동기 48억5430만 루피 대비 76% 증가했다고 밝혔다.회계연도 2025년 4분기 운영수익은 전년 동기 816억9000만 루피에서 17% 늘어난 955억 루피였다. 영업 EBITDA는회계연도 2024년 92억6000만 루피에서 133억3000만 루피로 확대돼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회계연도 2025년 4분기 수출을 비롯해 이륜차·삼륜차 판매대수는 121만6000대다. 전기차(EV) 판매대수는 7만6000대로 2024년 3월 마감된 회계연도에 비해 54% 늘어났다. 총매출은 3625억1000만 루피로 전년 동기 3177억6000만 루피와 비교해 14% 증가했다.◇ 파키스탄 인더스 모터(IMC), 회계연도 2024-25년 9개월 간 CKD 및 CBU 자동차 판매대수 2만1890대로 전년 동기 대비 57% 증가파키스탄 인더스 모터(IMC)에 따르면 2025년 3월31일 마감한 분기에 대해 9개월 동안 CKD와 CBU 자동차 판매대수는 전년 동기 1만3922대에서 2만1890대로 57% 증가했다.소비자 수요 회복 및 코롤라 크로스와 토요타 야리스 등의 주요 모델에서의 지속적인 판매가 이바지 했다. 매출액은 1455억3000만 루
-
2024-08-12▲ 릴라이언스 지오(Reliance Jio)의 5G 네트워크 서비스[출처=릴라이언스 지오 공식 홈페이지]2024년 8월12일 서남아시아 경제는 인도와 파키스탄을 포함한다. 인도 통신사 릴라이언스 지오(Reliance Jio)의 국내 데이터 트래픽 점유율이 회계연도 2023-2024 동안 60%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일본 자동차 제조업체 스즈키의 파키스탄 법인 팍스즈키(PSMCL)는 완전분해조립(CKD) 방식 승인이 지연돼 카라치 공장 가동을 무기한 중단하기로 결정했다.◇ 인도 릴라이언스 인더스트리(Reliance Industries), 회계연도 2024년 직원의 11% 감축해 총 4만2000명인도 릴라이언스 인더스트리(Reliance Industries)에 따르면 통신사 릴라이언스 지오(Reliance Jio)의 국내 데이터 트래픽 점유율이 회계연도 2023-2024 동안 60% 증가해 가장 선호되는 네트워크로 자리잡았다.릴라이언스 지오의 총이용자 수는 4억8180만 명이다. 5G 이용자 수는 1억800만 명, 고정 브로드밴드 가입자 수는 1200만 명이다. 지오는 국내에서 유일하게 5G 스탠드얼론 아키텍처를 출시한다.릴라이언스 지오는 향후 4G·5G 네트워크로의 전환을 도모해 자국을 "데이터 다크(Data Dark)"에서 "데이터 리치(Data Rich)"로 바꾸겠다는 목표를 밝혔다.릴라이언스 인더스트리는 회계연도 2024년 동안 직원의 11%를 감축한 결과 총 4만2000명으로 분석된다. 상점 폐쇄와 느린 확장 속도를 경험한 소매 부문에서의 비용 효과를 고려했다.신규 채용은 약 17만1000명이며 전년 대비 3분의 1 이상 감소했다. 국내 경제의 회복세가 더딘 것이 주요인으로 분석된다.◇ 일본 팍스즈키(PSMCL), 파키스탄 카라치 공장 가동 무기한 중단일본 자동차 제조업체 스즈키의 파키스탄 법인 팍스즈키(Pak Suzuki Motor Company Limited, PSMCL)는 2024년 8월9일 완전분해조립(Completely-K
-
2021-02-15영국 온라인 수퍼마켓 기업인 오카도(Ocado)에 따르면 중국발 코로나-19 사태로 판매가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손실 가능성이 제기됐다.정부가 번화가 소매업체들의 고사를 막기 위해 온라인 소매업체들에게 디지털세를 납부하라고 요청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2021년 1월 국내 비식품 매출에서 온라인 쇼핑이 차지하는 비중은 63%로 확대됐다. 이러한 수치는 전년 동월 31% 대비 2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코로나-19 사태는 지난 10년 동안 나타나고 있던 온라인 소매 판매 추세를 가속화시켰다. 오카도를 비롯한 온라인 소매업체들은 역량 초과로 판매의 한계에 부딪치지 않았다면 더 높은 매출을 올렸을 것이다.현재 온라인 소매업체들은 판매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더 많은 투자를 단행해 향후 더욱 매출이 향상될 것으로 전망된다.정부는 번화가 오프라인 소매업체들이 고사하는 것을 그대로 방치할 수도 없으며 보조금으로 연명하게 하는 것도 한계가 있다고 판단했다.또한 디지털 판매세 부과에 대한 압박은 더욱 거세지고 있다. 정부는 향후 디지털 판매세, 더 높은 영업세 및 다른 방법을 통해 온라인 소매업체들에게 세금을 부과할 것으로 예상된다.▲오카도(Ocado) 홈페이지
-
2021-02-08영국 자동차공업협회(SMMT)에 따르면 2021년 1월 신차 판매 대수는 9만249대로 전년 동월 대비 40%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1월의 판매시적은 1970년 이후 최악의 판매 대수로 기록됐다. 중국발 코로나-19 사태로 자동차 전시장이 폐쇄되고 경기 침체가 가중됐기 때문이다.수요 및 제조업 생산량도 위축됐다. 2020년 연간 신차 판매 대수는 전년 대비 29% 감소해 1992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브렉시트의 영향도 보이기 시작했다. 포드(Ford)는 전세계 생산라인의 특성에 의해 일부 모델의 가격을 올렸다. 다른 자동차제조사들도 포드를 따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망된다.2020년 연간 자동차산업의 매출 손실액은 £204억파운드로 집계됐다. 2021년 1월부터 신차 판매 대수 감소로 출발해 향후 전망은 밝지 않다.▲자동차공업협회(SMMT) 홈페이지
-
2021-01-27영국 국내 최대 여행사 체인운영기업인 헤이스 트래벌(Hays Travel)에 따르면 중국발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경제 봉쇄 지연으로 535개 점포 중 89개 점포를 폐업할 예정이다.헤이스 트래벌은 2019년 10월 파산한 동종기업인 토마스 쿡(Thomas Cook)을 인수했다. 또한 2021년까지 점포들의 실적에 대한 검토를 연기해왔다.폐업으로 피해를 입을 388명 직원들의 실직을 최소화하기 위해 대체 작업 조건을 제공할 계획이다. 재택근무를 수행하거나 다른 점포의 빈자리로 옮기는 조건 등이다.참고로 헤이스 트래벌은 7700명의 직원을 고용하고 있다. 이들 중 상당수는 2021년과 그 이후의 휴가 예약 업무를 위해 재택근무하고 있다.▲헤이스 트래벌(Hays Travel) 홈페이지
-
2021-01-14영국 게임 관련 제품의 제작 및 유통기업인 게임즈 워크숍(Games Workshop)에 따르면 2020년 11월 말 기준 지난 6개월 동안 매출액이 £1억8700만파운드로 전년 3800만파운드 대비 급증했다.매출을 이끈 제품은 게임, 피규어, 물감 등이다. 중국발 코로나-19 사태로 집에 머무르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게이머들은 집안 곳곳에 피규어인 판타지 미니어처, 장난감 병사 등으로 꾸미는 취미가 늘었다.게임즈 워크숍은 1975년 영국 런던에서 창립했으며 현재 본사는 영국 노팅엄에 있다. 모형을 이용한 전쟁 시뮬레이션 게임의 시장 점유율은 세계적으로 높다.▲게임즈 워크숍(Games Workshop) 홈페이지
-
나이지리아 라고스상공회의소(LCCI)에 따르면 라고스 지역의 극소기업 및 중소기업(MSME)등이 중국발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최소 N27억나이라의 손실을 입은 것으로 조사됐다.또한 손실의 요인은 다음과 같다. 급격한 나이라화(N) 환율 가치 하락, 지속적인 국내 물가 상승 등이 극소기업 및 중소기업(MSME)들의 생산비와 운영비를 모두 증가시켰기 때문이다. 라고스상공회의소는 정부의 과감한 경제회복 정책을 촉구했다. 생산 비용 및 높은 규제 비용의 감축, 인프라 부족 확충, 화물 통관 지연의 해결로 사업 수행의 용이성 추진 등을 포함한다.당장 과감한 경제회복 정책이 추진되지 않는다면 2021년에도 경기 둔화가 예상된다. 부진한 경기회복 속도로 소비자 수요가 계속 억제되지 않도록 조치하길 기대하고 있다.▲라고스상공회의소(Lagos Chamber of Commerce and Industry, LCCI) 홈페이지
-
2020-08-12나이지리아 석유 및 가스기업인 토탈나이지리아(Total Nigeria)에 따르면 2020년 1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9.3% 감소해 N702억나이라를 기록했다. 중국발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경제봉쇄 조치로 석유 수요가 급감했기 때문이다. 토탈나이지리아 등과 같은 석유기업들은 2020년 2분기 석유제품 수요 급감으로 인한 재고 축소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이에 따라 토탈나이지리아는 2019년 12월 31일 기준 재고 336억나이라에서 2020년 2분기 말 185억나이라로 재고를 45% 축소했다.2020년 2월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세계 석유 수요가 2020년 1일 82만5000배럴 증가할 것으로 예측한 바 있다. 그러나 이후 글로벌 석유 수요는 2019년 대비 2020년 3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1일 9만배럴씩 감소했다.석유 전방사업 부문은 국제유가 급락으로 직격탄을 맞았다. 석유 후방사업 부문 역시 단기간에 국제유가 하락을 이끌었다. 2020년 글로벌 에너지산업 부문은 208%의 실적 하향조정을 겪을 것으로 전망된다.▲토탈나이지리아(Total Nigeria) 홈페이지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