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情報通信研究機構"으로 검색하여,
2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일본 오사카대(大阪大)에서 개발한 양자컴퓨터 이미지 [출처=홈페이지]일본 오사카대(大阪大)에 따르면 2023년 12월22일부터 초전도 양자컴퓨터 국산 3호기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시작할 계획이다. 국산 부품이나 소프트웨어를 검증해 개선하기 위한 목적이다.42개 기관이 참여한 '양자소프트웨어컨소시엄'은 양자컴퓨터의 사용 사례를 탐색하고 사용자의 요구나 의견을 반영해 시스템을 발전시킬 방침이다.양자컴퓨터는 기존 컴퓨터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짧은 시간에 많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공동연구그룹은 양자컴퓨터를 초전도 양자비트로 구축해 클라우드를 통해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구축했다.연구자는 원격지에서 양자 알고리즘을 실행하고 소트트웨어의 개량·동작 확인을 하거나 사용 사례를 탐색할 수 있다. 개발된 양자컴퓨터는 이화학연구소(理化学研究所)가 제공한 64 양자 비트칩을 사용하고 있다.이화학연구소는 2023년 3월27일 초전도 양자컴퓨터 초호기의 칩을 클라우드에 공개했다. 당초 3호기에 이화학연구소가 공개한 16양자 비트칩을 장착했다가 동년 11월3일 64양자 비트칩으로 교체했다.3호기는 초호기에서 사용했던 해외에서 수입한 부품을 사용하던 것을 대폭 국산 부품으로 치환했다. 냉동기, 저잡음전원, 저온증폭기, 자기실드 등 많은 부품을 국산으로 교체했지만 높은 수준의 양자 비트 성능을 실현했다.양자컴퓨터는 1980년대부터 이론적으로 연구하기 시작했다. 신재료 개발, 금융, 신약 개발, 기계학습 등을 위해서는 계산을 고속화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현재 구글, IBM, 중국과학기술대, 중국저장대, 미국의 스타트업인 리제티(Rigetti) 등만이 59양자비트 이상의 제어를 실현했다. 다수 기업과 대학이 이러한 목료로 도전했지만 성공한 사례를 찾아보기 어렵다.일본 정부는 2023년 3월 이화학연구소, 후지츠, 오사카대, 산업기술총합연구소 등이 공동으로 50 양자비트 이상의 제어에 성공했다. 직접 개발한 2차원 집적회로와 수직배선패키지를 사용했다
-
▲ 일본 정보통신연구기구(情報通信研究機構) 빌딩 [출처=위키피디아]일본 정보통신연구기구(情報通信研究機構)에 따르면 2017년 3월 드론개발업체인 프로드론과 함께 드론이 촬영한 영상을 암호화해 송신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경비 등을 목적으로 촬영한 영상이 외부로 유출돼 범죄 및 테러에 악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 개발 목적이다. 2020년 도쿄올림픽에 활용하는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드론이 촬영한 영상을 무선통신으로 지상에 보낼 때 안전성이 높은 '원타임 패드 암호' 기술로 데이터를 은닉화할 계획이다. 만약 통신을 감청당하더라도 영상이 유출될 가능성은 낮아진다.2017년 2월 아이치현에서 실시한 외부 실험에서는 중계용 드론도 사용해 매초 1200만비트의 속도로 영상 데이터를 지상에 송신하는데 성공했다. 외부에서도 성능 확인을 끝낸 것이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