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柏崎刈羽原子力発電所"으로 검색하여,
3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일본 도쿄전력(東京電力)이 운영 중인 원자력발전소 전경 [출처=홈페이지]일본 도쿄전력(東京電力)에 따르면 2024년 4월26일 니가타현에 있는 카시와자키카리바원자력발전소(柏崎刈羽原子力発電所) 7호기에 핵연료 작업을 완료했다.4월15일부터 재가동을 위해 시작된 작업은 4월17일 설비 문제로 약 16시간 동안 작업을 중단했었다. 하지만 4월26일 872개의 핵 연료를 전부 원자로에 옮겼다.현재 안전상의 문제나 외부 환경에 의한 영향이 없어서 원자로를 정상적으로 가동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니가타현 주민의 동의를 얻지 못해 재가동 시점은 미정이다.재가동 시기를 결정할 수 없지만 원자로에 핵연료가 있으므로 비상시에 원자로의 긴급정지에 필요한 설비, 냉각설비 등의 성능을 검사 중이다.니가타현은 원자력발전소에 대한 주민의 의견을 모으고 있다. 도쿄전력은 주민의 반대가 있지만 발전소의 가동에는 문제가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
▲ 일본 도쿄전력홀딩스(東京電力)가 보유한 원자력발전소 전경 [출처=홈페이지]일본 도쿄전력홀딩스(東京電力ホールディングス)에 따르면 카시와자키카리바원자력발전소(柏崎刈羽原子力発電所) 7호기를 재가동하면 연 1200억 엔의 수익을 얻을 것으로 전망된다.하지만 1기만 재가동해도 도쿄전력의 경영을 개선하기에는 역부족일 것으로 판단된다. 2023년 3월기의 적자 규모만 1236억 엔에 달했기 때문이다.2022년 2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국제유가가 상승하면서 발전회사의 경영실적이 악화됐다. 또한 2011년 도호쿠지방의 대지진으로 후쿠시마원자력발전소의 폭발 사고 관련 비용이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현재 후쿠시마원자력발전소의 폐로 비용, 주변 어민의 보상 등에 16조 엔 이상이 필요하다. 연간 5000억 엔 정도를 상환하고 있다.카시와자키카리바원자력발전소는 1985년 1호기를 운행하기 시작한 이후 7개의 원자로를 구축했다. 테러 관련 위험에 대비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운행이 중단됐다가 이번에 재가동을 허락받았다.
-
▲ 도쿄전력의 카시와자키카리와원자력발전소(柏崎刈羽原子力発電所) 전경 [출처=홈페이지]일본 원자력규제청(原子力規制庁)에 따르면 도쿄전력의 카시와자키카리와원자력발전소(柏崎刈羽原子力発電所)의 가동을 허가할 계획이다.2023년 12월4일 개최된 원자력규제위원회의 비공개회에서 기존의 문제가 해결됐다는 보고서를 검토했기 때문이다.원자력규제청은 지난 2년 반 동안 니가타현에 있는 카시와자키카리와원자력발전소가 테러에 대한 대책이 충분한지 조사를 진행했다.원자력규제위원회는 테러 대책이 부실하다는 이유로 사실상 운전을 금지하는 행정 처분을 내렸기 때문이다. 도쿄전력은 재발 방지책을 제시했으며 장류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는 의지를 강조했다.하지만 원자력규제위원회는 도쿄전력이 원전을 운전할 자격을 갖췄는지 적격성을 확인할 방침이다. 필요하다면 현지 방문이나 도쿄전력의 경영진과 면담도 추진할 예정이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