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理化学研究所"으로 검색하여,
3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일본 오사카대(大阪大)에서 개발한 양자컴퓨터 이미지 [출처=홈페이지]일본 오사카대(大阪大)에 따르면 2023년 12월22일부터 초전도 양자컴퓨터 국산 3호기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시작할 계획이다. 국산 부품이나 소프트웨어를 검증해 개선하기 위한 목적이다.42개 기관이 참여한 '양자소프트웨어컨소시엄'은 양자컴퓨터의 사용 사례를 탐색하고 사용자의 요구나 의견을 반영해 시스템을 발전시킬 방침이다.양자컴퓨터는 기존 컴퓨터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짧은 시간에 많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공동연구그룹은 양자컴퓨터를 초전도 양자비트로 구축해 클라우드를 통해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구축했다.연구자는 원격지에서 양자 알고리즘을 실행하고 소트트웨어의 개량·동작 확인을 하거나 사용 사례를 탐색할 수 있다. 개발된 양자컴퓨터는 이화학연구소(理化学研究所)가 제공한 64 양자 비트칩을 사용하고 있다.이화학연구소는 2023년 3월27일 초전도 양자컴퓨터 초호기의 칩을 클라우드에 공개했다. 당초 3호기에 이화학연구소가 공개한 16양자 비트칩을 장착했다가 동년 11월3일 64양자 비트칩으로 교체했다.3호기는 초호기에서 사용했던 해외에서 수입한 부품을 사용하던 것을 대폭 국산 부품으로 치환했다. 냉동기, 저잡음전원, 저온증폭기, 자기실드 등 많은 부품을 국산으로 교체했지만 높은 수준의 양자 비트 성능을 실현했다.양자컴퓨터는 1980년대부터 이론적으로 연구하기 시작했다. 신재료 개발, 금융, 신약 개발, 기계학습 등을 위해서는 계산을 고속화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현재 구글, IBM, 중국과학기술대, 중국저장대, 미국의 스타트업인 리제티(Rigetti) 등만이 59양자비트 이상의 제어를 실현했다. 다수 기업과 대학이 이러한 목료로 도전했지만 성공한 사례를 찾아보기 어렵다.일본 정부는 2023년 3월 이화학연구소, 후지츠, 오사카대, 산업기술총합연구소 등이 공동으로 50 양자비트 이상의 제어에 성공했다. 직접 개발한 2차원 집적회로와 수직배선패키지를 사용했다
-
▲ 일본 국책연구기관인 이화학연구소(理化学研究所) 빌딩 [출처=홈페이지]일본 국책연구기관인 이화학연구소(理化学研究所)에 따르면 운용하고 있는 슈퍼컴퓨터인 토미다케(富岳)가 세계 4위의 성능을 기록한 것으로 드러났다. 슈퍼컴퓨터 세계 랭킹 'Top 500'의 집계 결과다.토미다케의 연산 속도는 1초당 44조2010조회로 2022년 2위를 기록했지만 올해 4위로 밀려났다. 고속 계산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는지에 따라 순위를 결정하는 방식이다.토미다케는 산업 이용에 중시되는 시뮬레이션 등의 처리 성능을 측정하는 HPGG, 빅데이터의 해석 성능 등을 나타내는 Graph500 부문에서 8년 연속 1위를 차지했다.인공지능(AI) 개발에 사용되는 지표인 HPL-MxP는 3위로 양호한 성적을 기록했다. 이화학연구소는 이화학 분야의 연구를 통해 일본 산업의 고도화를 추진한다.상위에 포함된 슈퍼컴퓨터를 보면 1위는 미국 오클리지국립연구소의 '프론티어다. 프론티어의 계산속도는 1초당 119경4000조회를 기록했다.2위는 현재 시운전을 하고 있는 미국 아르곤국립연구소의 '오로라'인데 완성되면 프론티어의 연산속도를 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3위는 미국 마이크로소프트(MS)의 '이글'로 올해 순위에 포함됐다.스페인의 바르셀로나슈퍼컴퓨팅센터가 8위, 미국의 엔비디아가 9위로 신규로 이름을 올렸다. Top 10에 포함된 슈퍼컴퓨터 중에서 중국제는 없었지만 정부가 공식적으로 발표하지 않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
일본 이화학연구소(理化学研究所)에 따르면 2016년 8월 30분 후까지의 게릴라 호우를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했다.슈퍼컴퓨터와 기상레이더에서 얻은 데이터를 결합해 해상도 100미터에서 30초마다 새로운 관측데이터를 가져와 갱신하는 날씨예보시뮬레이션을 실현했다. 이에 기상정보, 게릴라뇌우에 의한 사고예방 등의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