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감시용"으로 검색하여,
6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1-07-07터키 산림청(General Directorate of Forestry)에 따르면 2021년 6월부터 산불 화재 감시용 드론이 산림지역 곳곳을 정찰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산림청에서 투입하고 있는 드론은 터키 우주항공업체 TAI(Turkish Aerospace Industries)에서 제작한 AKSUNGUR UAV이다. 군에서 사용되는 정찰 및 공격용 드론이지만 산림청은 안전감시 용도로 활용하고 있다.AKSUNGUR UAV는 적재 용량만 750kg에 달하기 때문에 추후 정찰 외에 화재 진압 및 운송용으로 임무 전환이 용이하다. 최대 비행시간은 49시간으로 주야간 24시간 드론을 운영할 수 있다.현재 산림청은 중단없이 계속 드론을 운영하며 화재 감시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추후 화재 감지 및 진압용으로써 새로운 드론을 개발하거나 기존 모델을 개조하기 위한 데이터도 수집하려는 목적이다.산림청은 열감지 센서 및 인공지능(AI) 등을 접목해 화재 현장 평가부터 경보까지 다양한 기술을 적용할 방침이다. 이제는 군용 드론까지 투입시키며 민간과의 드론 산업을 연계시키고 있다.참고로 터키의 전체 토지면적 중 약 29%는 산림으로 덮여 있다. 지난 10년간 연평균 2209건의 크고 작은 산불이 발생했으며, 7330헥타르 상당의 산림이 훼손됐다.▲2019년 이스탄불 국제방위산업박람회에 전시된 AKSUNGUR UAV(출처 : wikipedia)
-
2021-06-28미국 공군(U.S. Air Force)에 따르면 파리 형태의 정밀 감시용 초소형 드론을 개발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극소형 드론으로써 은밀한 감시 작전을 수행하는 것이 목적이다.현재 공군 산하 공군연구소(Air Force Research Laboratory, AFRL)와 국방기술협력사 에어리온 헬스(Airion Health LLC)가 초소형 무인항공기(Micro-Aerial Vehicle, MAV) 제작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이 초소형 드론은 기존의 고정익 또는 회전익 방식이 아닌 곤충의 날개처럼 펄럭이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파리처럼 자연스럽게 비행하도록 날개의 위치와 속도를 프로그래밍할 계획이다.하지만 곤충만큼의 유동적인 비행이 어렵기 때문에 완전 자율비행이 아닌 조종사가 일부 컨트롤해야 하는 부분도 있다. 좁은 터널을 통과하거나 주요 기계를 검사 및 감시해야 하기 때문에 수동 제어도 필요하다.공군연구소와 에이리온 헬스가 계약한 내용에 따르면 향후 15개월 이내로 초소형 드론 프로토타입이 개발될 예정이다. 작은 새 또는 날개형 곤충에 대한 데이터 수집 및 연구에 많은 기간이 할애될 것으로 판단된다.미공군은 “군사용으로 개발되는 만큼 초기 모델은 감시 및 정찰, 군집 작전 등에 중점을 두겠다”라면서도 “추후 상용화된다면 군사용에만 국한되지는 않을 것이다”라고 밝혔다.▲초소형 드론 소개 영상 중 캡쳐(출처 : 미공군연구소)
-
2021-06-24미국 해군(U.S. Navy)에 따르면 최근 보잉 인시츄(Boeing Insitu)에 저고도 정찰용 무인기 공급을 요청한 것으로 드러났다.보잉 인시츄는 우주항공전문회사 보잉(Boeing)에서 100% 출자한 정찰용 무인기 제조업체다. 대표적으로 블랙잭, 스캔이글 등의 정찰용 드론을 생산하고 있다.미해군은 자국 및 군사 동맹국의 정찰 및 감시체제를 지원하기 위해 정찰용 무인기를 증강할 계획이다. 현재 보잉 인시츄의 두 모델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먼저 24시간 임무가 가능한 RQ-21A 블랙잭이다. 적외선 카메라, 가시광선 이미저, 레이저 거리측정기, 통신 및 자동 탐지 시스템 등이 내장돼 있다.다음은 스캔이글(ScanEagle)로 블랙잭과 마찬가지로 24시간 임무가 가능하다. 단, 가솔린 등 연료로 엔진을 가동하며 무게도 비교적 가볍다. 블랙잭 대비 가성비 좋은 정찰 무인기로 손꼽힌다.이미 메릴랜드주 패턱센트 공군기지는 보잉 인시츄에 US$ 1250만달러 상당의 정찰용 무인기를 주문했다. 추후 미국 전역에서 추가 주문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미해군의 이번 정찰용 무인기 증강 및 배치 계획은 2022년 6월까지 진행될 예정이다. 이에 따라 보잉 인시츄도 정찰용 드론 생산에 박차를 가할 것으로 전망된다.▲블랙잭을 발사대에 장착하고 있는 모습(출처 : 보잉 인시츄)
-
2021-06-17스페인 교통국(DGT)에 따르면 도로 감시용 드론을 투입한 이후 교통법 위반건수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로 감시용 드론의 업무는 단순 모니터링과 위반자 적발 감시로 분류된다.교통국은 2019년부터 도로교통 관리 업무에 드론을 활용하기 시작했다. 모니터링의 업무 효율성은 기존보다 향상됐으며 드론 감시에 따른 운전자들의 경각심도 크게 제고됐다.드론을 투입한 후 1년 뒤인 2020년 도로교통 위반건수는 총 387만7297건으로 2019년에 비해 17.25% 감소했다. 위반 내용은 과속, 음주 운전, 무면허 운전, 안전벨트 미착용, 스마트폰 사용 등이다.기존에는 일정 구역의 CCTV 또는 경찰관들의 단속으로 해당 지역만 벗어나면 운전자들의 긴장감이 풀렸다. 반면 드론은 언제 어디에서 나타날지 모른다는 압박감으로 인해 운전자들이 자연스럽게 경각심을 가지게 된다.교통국이 보유한 도로 감시용 드론은 총 11기이다. 이중 3기만 도로교통 위반자에 대한 적발용으로 투입되며 나머지 8기는 교통 상황을 모니터링하는 데만 활용된다.최근 스페인 교통국은 드론 조종사를 추가 양성하겠다고 발표했다. 공공안전과 보안이 필요한 지역에 드론을 배치하고 기존 인력은 공백이 발생하는 현장의 밀착 업무로 전환한다는 방침이다.▲스페인 민경대가 감시용으로 사용하는 드론(출처 : 스페인 민경대)
-
2021-05-28싱가포르 수자원공사(PUB)에 따르면 2021년 5월 말부터 담당 저수지 6곳에 감시용 드론을 배치할 계획이다. 수질 관리 및 불법 어업활동을 감시하기 위한 목적이다.감시 임무에 투입될 드론은 복합엔지어링업체 ST engineering에서 운영한다. 드론 운영시스템 DroNET을 통해 사전 프로그래밍된 경로로 자율비행이 가능하다.먼저 수질 관리를 위해 실시간 영상 분석이 가능한 카메라와 원격 센서링 시스템이 드론에 탑재 및 내장돼 있다. 카메라로 확보된 각종 데이터를 통해 조류와 탁도를 분석할 수 있다.또한 저수지 내 불법 어업활동을 하는 선박을 감지하도록 드론을 프로그래밍했다. 만약 특정 지점에 선박들이 과밀돼 있다면, 텔레그램 전용 채널을 통해 관련 정보를 인근 경찰서에 전송할 수 있다.그동안 수자원공사 공무원들이 직접 저수지 관리 업무에 투입됐으며 연간 7200시간이 소요됐다. 1일 평균 약 20시간을 관련 업무에 쏟은 셈이다.드론이 투입될 경우 저수지 관리 업무량이 70% 가까이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사람으로 환산하면 1시간당 5000명분의 업무를 드론 6기가 수행하는 것이다.▲드론 영상으로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하고 있는 모습(출처 : 수자원공사 홈페이지)
-
2021-05-27미국 캔자스주 포타와토미 카운티 보안부에 따르면 지역 순찰 및 감시 목적으로 투입할 드론 2기를 구입한 것으로 알려졌다.보안부는 단순 순찰용 드론에 US$ 579달러를, 열화상카메라가 장착된 야간 감시용 드론에 2만8000달러를 각각 지출했다.단순 순찰용 드론은 지역 내 치안유지를 위해 소규모 영역을 대상으로 운영될 계획이다. 범죄현장을 포착하거나 시민들에게 경각심을 줄 수 있다.야간 감시용 드론은 실종자를 수색하거나 야간 범죄자를 추적하는 데 투입된다. 단, 열화상 이미지를 분석할 장치와 감별 전문교육이 필요하다.보안부에서 매입한 드론은 상업용 드론 제조업체 UVT(Unmanned Vehicle Technologies)에서 공급했다. UVT는 드론 운용 교육과 필수 소프트웨어를 제공할 계획이다.일부 시민들은 치안유지용으로 드론을 활용하는 것은 보안 업무에 큰 도움이 된다고 말한다. 그러나 개인정보 보호 차원에서는 여전히 반대의 목소리가 높은 편이다.▲UVT의 순찰 및 감시용 드론 소개(출처 : 홈페이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