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경기불황"으로 검색하여,
3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일본 특수강 제조기업 다이도스틸(大同特殊鋼, Daido Steel Co., Ltd.)에 따르면 2018년 4~6월기 매출액은 1354억엔으로 전년 동기 1191억엔 대비 163억엔 증가했다.동기간 영업이익은 85억엔으로 전년 동기 90억엔 대비 5억엔 줄어들었다. 경상이익은 94억엔으로 전년 동기 93억엔 대비 1억엔 늘어났다.2018년 4~6월기 순이익은 57억엔으로 전년 동기 58억엔 대비 1억엔 감소했다. 이중 동기간 특수강 강재 매출액은 527억엔으로 전년 동기 450억엔 대비 대비 17% 증가했다.강재매출은 34만7000돈으로 전년 동기 32만6000톤 대비 2만1000톤 늘어났다. 글로벌 경기불황에도 불구하고 견조한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Daido Steel▲ 다이도스틸(大同特殊鋼, Daido Steel Co., Ltd.) 로고
-
[우크라이나] 자동차협회(Ukravtoprom), 2015년 자동차 수입량 8.64만 대로 전년 대비 41% 급감... 경기불황으로 상업용·특수목적 차량의 수입량도 72% 감소
-
2013-01-14롯데그룹(이하 롯데)은 일본에서 성공한 기업가였던 신격호 회장인 한국정부의 요청을 받아들여 조국발전을 위해 1967년 설립한 롯데제과가 시초다. 일본에서 성공한 아이템을 한국에서 그래도 론칭하는 방식으로 사업위험을 최소화했고, 제과, 식∙음료 등 국민생활과 밀접한 소비재 위주로 사업을 확장했다. 핵심 요지에 점포를 개설하거나 물류창고를 짓는 등 본업보다는 부동산 투기로 돈을 번다는 평가도 있지만 식∙음료 제조를 넘어 유통까지 장악했다.1990년대 이후 일본의 경기불황이 장기화되면서 저금리의 엔화를 바탕으로 적극적인 M&A를 했고, 친기업적인 MB정부가 출범하면서 계열사 확장은 더욱 가속화됐다. 중소기업 업종, 골목상권 침해논란이 가열되면서 급기야 2012년 ‘롯데불매운동’이 전국적으로 확산됐다.숙원사업인 초고층빌딩 사업도 국방부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허가됐고, 독과점법에 저촉되는 M&A도 무리 없이 성공하면서 정치적 특혜의혹도 받고 있다. 현재 삼성, 현대차, SK, LG에 이어 재계 서열 5위다. ◇ 롯데 그룹의 주요 계열사 탐구롯데의 계열사는 표1과 같이 식품, 유통, 관광, 석유화학/건설/제조, 금융, 서비스/연구/지원 등 6개의 사업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표1. 롯데의 주요 계열사 롯데의 주요 계열사를 사업부문 별로 구분하면 다음과 같다. 식품 부문은 롯데제과, 롯데칠성음료, 롯데아사히주류, 롯데삼강, 롯데리아, 롯데햄, 롯데후레쉬델리카, 롯데브랑제리 등이다. 롯데제과는 제과 및 아이스크림, 롯데칠성음료는 음료회사다.롯데아사히주류는 일본 아사히맥주를 수입/유통한다. 롯데삼강은 아이스크림을 제조/판매하고, 롯데리아는 패스트푸드 체인사업을 한다. 롯데브랑제리는 재벌가의 빵집논란을 일으킨 빵집 브랜드다. 롯데쇼핑이 대주주다.유통부문은 롯데쇼핑, 롯데홈쇼핑, 코리아 세븐, 롯데상사, 롯데닷컴 등이다. 롯데쇼핑은 롯데백화점, 롯데마트, 롯데슈퍼, 롯데시네마, 롯데카드, 롯데닷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