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과제 공모"으로 검색하여,
2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4-14▲ 한국수자원공사, 2025 ‘개방형 혁신 연구개발 과제’ 공모[출처=한국수자원공사]한국수자원공사(K-water, 사장 윤석대)에 따르면 국민과 함께 대한민국 물산업에 혁신을 더하기 위해 개방형 혁신 연구개발(R&D) 과제를 공모한다.한국수자원공사의 ‘개방형 혁신 연구개발 과제’는 산·학·연 등이 대상이 된 참여형 공모로 이뤄지는 것이 특징이다.기존 공급자 중심의 연구개발이 아니라 다양한 기관과 연구자가 참여해 제품 및 기술 개발, 학술논문 등 유의미한 연구 결과를 도출하고 현업에 활용해 실질적인 성과를 도출한다.2019년부터 2022년까지 진행된 1기 개방형 혁신 연구개발 과제는 물관리 기술혁신의 바탕이 됐다. 4년간 산·학·연 119개 기관이 참여해 92억 원 규모의 연구과제를 수행해 과학인용색인(SCI) 논문 등재 60건, 특허 17건 등 410건의 유·무형 성과를 도출했다.특히 페트병으로 정수 과정에서 사용되는 활성탄 대체 물질을 개발한 연구는 수질개선 및 미세플라스틱 오염 저감 등의 효과를 입증하기도 했다.2기를 맞이한 이번 공모에서는 한국수자원공사의 물관리 전략과 연계된 주제가 공모과제로 선정됐다. 즉시 사업화가 가능한 과제부터 차세대 전략사업에 방점을 두는 중장기 과제까지 △초격차 △글로벌 선도 △미래 △현안·고유, 총 4개 기술 분야에 대해 모집한다.4월14일부터 5월9일까지 한국수자원공사 누리집(www.kwater.or.kr)에서 공모가 진행되며 기후위기 대응과 물 기술 연구에 관심 있는 산·학·연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과제 선정 시 지원 규모도 확대된다. 최대 2억 원이었던 연구비 지원 규모를 4억 원까지 확대해 활용성 높은 새로운 기술을 더욱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품질 수준도 높인다는 계획이다.문숙주 한국수자원공사 수도부문장은 “이번 공모를 통해 물문제 해결을 위한 혁신적인 연구개발 과제를 발굴하고, 기후위기 시대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핵심 기술을 확보할 계획이다”며 “앞으로도 미래 물 기술 확보와 물문제 해결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다”고 밝혔다.
-
2025-03-13▲ 한국수자원공사, ‘2025 상반기 국가 K-테스트베드’ 과제 공모[출처=한국수자원공사]한국수자원공사(K-water, 사장 윤석대)에 따르면 2025년 3월12일(수) 부터 4월11일(금)까지 혁신 기술을 보유한 국내 유망 중소·벤처기업의 육성을 위해 2025년 상반기 K-테스트베드 지원사업에 참여할 기업을 모집한다.2021년 기획재정부 주관으로 출범한 K-테스트베드는 공공·민간 부문이 보유한 시설과 설비 등 자원을 국내 모든 중소·벤처기업에 개방하여 혁신 기술의 실증 및 판로를 지원하는 사업이다.현재 66개 공공·민간 기관이 참여 중이며 한국수자원공사는 K-테스트베드 사업의 대표 운영기관으로서 운영을 총괄하고 있다.이번 모집 분야는 △연구·개발 △단순 실증 △기술 및 제품 성능 확인 등의 세 가지 분야이며 참여를 희망하는 기업은 K-테스트베드 공식 누리집(www.ktestbed.net)을 통해 신청서 제출 및 공모 상세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K-테스트베드는 출범 이후 현재까지 총 629건의 과제를 선정하고 실증 지원하고 있다. 연 2회 반기별 공모가 진행되며 선정 시 기술 및 제품의 연구·개발과 자체 검증을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평가를 통해 기술·제품의 우수성 등 효과 입증도 가능하다.2024년 7월 시행된 ‘혁신제품 구매운영규정’ 개정으로 K-테스트베드의 기술·제품 성능확인서를 발급받은 제품에는 조달청 혁신제품 지정평가 시 시범 사용 수행역량 평가 면제가 부여된다.지자체 및 공공기관이 경쟁 절차 없이 혁신제품 구매가 가능하게 되어 혁신제품 중소·벤처기업의 판로와 성장 지원이 확대되었다.안정호 한국수자원공사 그린인프라부문장은 “혁신 기술 개발을 희망하는 중소·벤처기업의 많은 참여를 기대한다. 앞으로도 국내 우수한 중소·벤처기업의 혁신 기술 개발과 국내외 판로 개척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