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교통시스템"으로 검색하여,
4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협력지능형교통시스템(C-ITS)의 기능과 사례 [출처=iNIS]미국 전기자동차(EV) 선도업체인 테슬라는 자율주행자동차에 대한 연구개발을 가장 활발하게 전개하고 있다. 자율주행차는 지능형교통시스템(ITS)를 활용하고 있지만 미래에는 협력지능형교통시스템(C-ITS)으로 안전성과주행성을 높이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C-ITS 연구개발(R&D)이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C-ITS은 ITS에서 발전된 차세대 지능형교통시스템으로서 '2개 이상의 하위 객체(개인, 차량, 도로 및 데이터 센터) 간 양방향 통신과 교통정보의 상호 공유를 통해 도로교통의 안전성, 지속성, 효율성 및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오픈형 교통 플랫폼 시스템'을 의미한다.최근 현황을 살펴보면 C-ITS는 차량, 사람, 도로변 각종 센서·노변장치 및 정보를 생산 관리 배포하는 정보관리센터(C-ITS센터)로 구성된다. 각 구성요소 간 쌍방향 통신을 통해 교통이 정체되는 발생원인을 감소시켜 경제적이면서 최적합화된 교통 경로를 제공한다. C-ITS의 주요 서비스, 국내외 개발 현황, 장단점은 다음과 같다.◇ 스스로 인지할 수 없는 위험 상황에 대처하도록 정보 지원 기존 ITS는 일반 운전환경과 사고 이후의 피해 경감에 중점을 두고 있지만 C-ITS는 운전 지원에 필요한 정보, 인식, 경고 서비스 제공 등에 초점을 맞춘다. 후자는 다양한 정보를 양방향 통신을 통해 제공함으로써 '드라이빙 경고', '센싱 드라이빙', '협력 드라이빙'과 같은 서비스를 구현한다.'드라이빙 경고' 서비스는 V2X(Vehicle to Everything) 통신을 통한 상태 데이터 교환을 서비스한다. 데이터는 위치, 속도, 주행 방향, 차량 결함 등 특수 상황에 대한 정보와 경고 등을 포함한다. 도로 사용자가 통찰력을 갖고 운전할 수 있도록 돕고 아직 눈에 띄지 않는 잠재적인 위험을 인식한다.'드라이빙 경고' 서비스의 사려를 보면 교차로 충돌
-
오스트레일리아 정부 산하 Infrastructure Australia에 따르면 빅토리아(Vic) 주정부가 대중교통시스템의 민영화로 $A 10억달러를 절약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1999년 주정부가 운영하던 비효율적인 대중교통시스템을 민연화하려는 것이다. 이로써 비용을 절감하고 서비스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하고 있다.절약할 수 있는 10억달러는 빅토리아(Vic)주정부가 80대의 신규 E-Class 트램을 구입할 수 있는 충분한 자금이다. 경제전문가들은 2017년부터 2040년까지 최소 총 8억4100만달러에서 10.8억달러까지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한다. ▲빅토리아(Vic) 주정부 홈페이지
-
일본 미쓰비시중공업(三菱重工業)은 2016년 8월 시속 120킬로미터로 주행이 가능한 새로운 교통시스템을 세계 최초로 실용화한다고 밝혔다.전자동 무인운전차량으로 철도에 비해 도입비용이 20~30% 저렴하며 사물인터넷(IoT)기술 활용, 상시 감시가 가능해 보수 및 관리비용 등을 줄일 수 있다.철도 수준의 속도를 확보해 향후 도시 근교의 새로운 교통수단으로 부상할 것으로 전망된다. 신흥국을 중심으로 판매를 강화할 계획이다.
-
2016-05-30일본 이스즈자동차(いすゞ自動車)는 2016년 5월 히노자동차와 공동으로 상용차의 자동운전기술을 개발하기로 합의했다. 각사는 지금까지 각각의 제품인 트럭과 버스의 운전지원기술을 탑재하는 안전기술보급에 대한 노력을 해왔다.이번 합의를 통해 자동운전시스템의 실용화를 위한 지능형교통(ITS)시스템과 첨단운전지원기술에 대해 공동으로 개발을 시작한다.첨단운전지원기술은 ▲비용부담 완화 ▲운전자의 부주의로 인한 사고방지 ▲1명의 운전자가 여러 대의 자동차 운전 ▲인력부족 해결 등을 목표로 한다.양사는 2017년까지 기술을 확립하고 2018년 테스트를 진행해 향후 상품화할 계획이다.▲트럭 GIGA 이미지(출처 : 이스즈)
1